Users Guide

OS 실행 중일
$ su
CPU0 설치된 6개의 NVDIMM-N /dev/pmem0으로, CPU1 설치된 6개의 NVDIMM-N /dev/pmem1 표시됩니다.
# ls /dev/pmem*
/dev/pmem0 /dev/pmem1 크기를 보면 NVDIMM-N 16GB이므로 6*16 GB = 96Gb 되어야 합니다.
# lsblk
/dev/pmem0 /dev/pmem1 대한 xfs 파일 시스템을 만듭니다.
# mkfs.xfs /dev/pmem0
/mnt/nvdimm0 and /mnt/nvdimm1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 mkdir –p /mnt/nvdimm0
/dev/pmem0 /dev/pmem1 마운트합니다.
# mount –t xfs –o dax /dev/pmem0 /mnt/nvdimm0
다음 재부팅 디바이스가 마운팅되도록 마운트 지점과 옵션을 저장합니다.
# echo "/dev/pmem0 /mnt/nvdimm0 xfs dax 0 0" >> /etc/fstab
파일을 /mnt/nvdimm0 /mnt/nvdimm1 복사한 다음 종료합니다.
# echo “writing into nvdimm” >> /mnt/nvdimm0/write.txt
# shutdown
인터리브 확인
서버에서 PowerOn 버튼을 누릅니다
OS 실행 중일
$ su
/mnt/nvdimm0 콘텐츠를 확인하고 /mnt/nvdimm1 동일하게 수행합니다.
# cat /mnt/nvdimm0
# shutdown
2개의 마운팅된 장치(/mnt/nvdimm0 /mnt/nvdimm1) 나타나며, 크기는 96GB, 또는 6x NVDIMM-N입니다.
/mnt/nvdimm0 /mnt/nvdimm1 저장된 파일은 재부팅 전반에서 지속됩니다.
읽기 전용 모드 NVDIMM-N
서버에서 PowerOn 버튼을 누릅니다
섹션 4 지침에 따라 BIOS 설정합니다.
Persistence Memory(지속성 메모리) 활성화하고 "NVDIMM Interleave(NVDIMM 인터리브)" 활성화한 다음 "NVDIMM Read-
Only(NVDIMM 읽기 전용)" 활성화합니다.
OS 실행 중일
$ su
Linux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