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D MONITOR quick start guide SyncMaster XL24 ii
구성품이 모두 들어 있는지 확인한 후 누락된 제품이 있으면 구입한 대리점으로 연락해 주세요. 구성품 이외의 별매품을 구입하려면 서비스센터로 연락해 주세요.
DVI 케이블 전원선 USB 케이블 (A-B 타입) 기타 캘리브레이터 별도로 제공된 NCE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도움말을 통 해 사용법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후드 앞면 MODE 버튼 (= 색상 모드) 색상모드를 선택 할 때 누릅니다. 버튼을 반복해서 누르면 설정된 모 드가 반복됩니다. 모니터 전면에 있는 전용버튼을 통하여 사용자 환 경에 맞는 다른 색상 정보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1) 사용자 조정- 이 화면의 밝기와 선명도는 세밀하게 설정한 화면이 지만,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자 눈에 편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메뉴설정 메뉴에 있는 밝기와 선명도를 조정해 주십시 오. 2) sRGB - sRGB 색상 정보를 화면에 나타냅니다. 3) AdobeRGB - Adobe RGB 색상 정보를 화면에 나타냅니다.
) 에뮬레이션 - System Profile이나 기존에 만들어 놓은 색상 정보를 Natural Color Expert를 이용하여 변경하고 저장한 색상 정보를 화면 에 나타냅니다. 주의 : 앞면 버튼을 통해 표현되는 에뮬레이션 정보는 제품의 Color Mode중 에뮬레이션에 저장되며, 이후 에뮬레이션을 선택할 때 마다 저장된 정보로 표현 됩니다. 5) 캘리브레이션 - 캘리브레이션이란 현재 사용중인 모니터의 컬러 특성을 파악하여 어떻게 색상을 받아들이고 표현하는지 색상 정보 값을 프로파일로 작성하여 색공간내에서 서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기준에 맞춘 상태로 상태로 icc profile을 제작할 수 있습니 다. Natural Color Expert 프로그램과 캘리브레이터를 통해 맞춘 색 상 정보를 화면에 나타냅니다. 주의 :앞면 버튼을 통해 표현되는 캘리브레이션 정보는 한 개의 값 만을 나타냅니다. 즉 마지막 저장값만을 저장하여 나타냅니다.
DVI DVI 케이블로 모니터의 DVI 단자와 컴퓨터를 연결합니다. 1. DVI-D (디지털) : 디지털 신호만 입력 가능하므로 PC의 DVI단자만 연결 가능합니다. 2. DVI-I (디지털, 아날로그 겸용) : PC의 DVI, RGB 구별없이 연결 가 능합니다 스탠드 고정핀 모니터를 위아래로 이동하려면 스탠드에 있는 고정핀을 제거합니다. POWER 1. POWER S/W : 모니터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2. POWER : 전원선을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공공장소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난 방지용 장치 입니다. (잠금장치의 구입은 별도로 하셔야 합니다.) 잠금 장치 구입시 사용 방법은 구입처에 문의 하세요. USB 연결단자 USB 다운스트림 포트: 모니터의 DOWN 포트와 USB를 지원하 는 외부기기를 USB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DOWN(다운스트림 포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UP(업스트림용 포트)을 컴퓨터에 연결해야 합니 z 다. USB 연결단자 USB 업스트림 포트: 모니터의 를 USB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z UP 포트와 컴퓨터의 USB 포트 UP 포트와 컴퓨터 USB 포트를 연결하실 때에는 반드시 모니터 구입시 드리는 USB케이블을 사용하세 요. 케이블 연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케이블 연결 항목을 참고하세요.
케이블 연결 전원선을 220V 또는 110V 전용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세요. (전압은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사용하는 컴퓨터에 맞는 연결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세요. 그래픽 카드에서 DVI(디지털) 출력을 사용할 경우 - DVI 케이블로 모니터의 DVI 단자와 컴퓨터의 DVI 단자를 연결하세요. [ DVI-D ] [ DVI-I ] 매킨토시를 사용할 경우 - DVI 케이블로 모니터의 DVI 단자와 매킨토시의 DVI 단자를 연결하세요. 컴퓨터와 연결이 끝나면 전원을 켜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라이딩 스탠드 스탠드 고정핀 회전 스탠드 ( )를 이용하여, 각각 330°씩 회전이 가능한 회전 스탠드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좌우로 화면의 위 치를 조정하실 수 있습니다.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 고무가 제공되어 제품고정에 도움을 줍니다.
( )를 이용하여, 앞으로 숙여지고 뒤로 젖혀져 화면의 각도를 조정하실수 있습니다 스탠드 제거 1. 모니터 전원을 끄고 전원 케이블을 콘센트로 부터 뽑으세요. 2. 평평한 바닥에 모니터 앞면 보호용 천이나 쿠션을 깔고 모니터 앞면이 바닥으로 향하도록 놓 으세요. 3. 받침대에 있는 2개의 나사( )를 풀고 받침대를 분리하세요. 받침대 설치 이 모니터의 받침대 장착면은 200mm x 100mm로서 VESA 표준에 맞게 되어 있습니다.
A. 받침대 장착면 B. 받침대(별매품) 1. 모니터 전원을 끄고 전원 케이블을 콘센트로 부터 뽑으세요. 2. 평평한 바닥에 모니터 앞면 보호용 천이나 쿠션을 깔고 모니터 앞면이 바닥으로 향하도록 놓 으세요. 3. 받침대에 있는 나사를 풀고 받침대를 분리하세요. 4. 모니터의 받침대 연결부위에 있는 홈과 장착하려는 받침대(팔걸이용, 벽걸이용 또는 기타 연 결받침대)에 있는 홈을 일치시키고 4개의 나사로 단단하게 고정시키세요. z z z z z z z 표준 규격보다 긴 나사를 사용하면 제품 내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VESA 표준 규격을 따르지 않는 벽걸이(WALL MOUNT)는 그 규격에 따라 필요한 나사 의 길이가 다를 수 있습니다. VESA 표준 규격에 맞지 않는 나사를 사용하거나 과도한 힘으로 조립하지 마세요. 제품 이 파손되거나 제품이 떨어져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당사가 책임지 지 않습니다.
모니터 좌우측 면의 홈( 합니다. )에 후드의 돌출된 고리부분( )을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워넣어 사용 윗면은 장착된 양쪽 후드의 윗부분의 홈에 맞게 끼워주세요.
확인해 보세요 서비스를 의뢰 하기전에, 아래의 사항을 확인해 보세요. 그래도 해결이 안될 때에는 서비스센터나 구입처로 문의 하세요. 문제 화면이 안 나와요. 전원이 안켜져요. 확인사항 해결방안 전원선이 제대로 연결 되었나요? 전원선을 다시 잘 연결하세요. 화면에 "케이블 연결 확인" 메시지가 나타났나요? (DVI 케이블을 연결한 경우)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도 화면에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모니터가 아날로그로 선택 되어있어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모니터 전면의 [ ]버튼을 눌러 모니터가 입력신호를 다시 체크하게 해주세요. 전원이 들어오는 상태이면 컴퓨터를 다시 부팅하여 처음 화면 (컴퓨터 로그인화면)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세요. 안전모드로 부팅한 후 그래픽 카드에서 주파수를 바꿔 주세요. (표준신호모드표 참조) 처음 화면(컴퓨터 로그인화면)이 나타나지 않으면 서비스센터로 연락하세요. 화면에 "지원하지 않는 모드입니다.
다.) 화면에 영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전원표시등이 1초 간격으로 깜빡입니까? 절전 기능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마우스와 키보드의 아무 버튼을 누르면 다시 화면이 켜집니다. 그래도 안되면 모니터 전면의 [ ]버튼을 한 번 누른 후 다시 마우스를 움직이거나 키보드를 조작해 보세요. DVI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되었나요? DVI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컴퓨터를 부팅한 후 연결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던 중 DVI 케이블을 분리했다가 다시 연결하면 일부 그래픽 카드에서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화면이 안 나올 수 있습니다. DVI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다시 부팅 해주세요. 조정화면이 안 나와요. 화면조정 내용을 해제 했나요? MENU버튼을 5초 이상 눌러 해제 하세요. 색상이 이상해요. 흑백으로 나타나요. 화면 전체가 셀로판 종이를 통해 보이는 것 처럼 한가지 색상으로 보이나요? 컴퓨터 연결케이블을 다시 잘 연결해 주세요.
DDC) 모니터를 찾았습니다.' 라는 문구가 나타나요. 그래픽 카드 사용설명서를 참조하여 Plug&Play(VESA DDC)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지 확인하세요. 드라이버 설치를 참조하여 모니터 드라이버를 설치하세요. 고장 발생시 아래와 같이 확인해 보세요. 1. 컴퓨터 연결 케이블 및 전원선이 잘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2. 컴퓨터 부팅시 비프음이 3번 이상 울리는지 확인하세요. ("삐삐" 하는 소리가 3번 이상 울리면 컴퓨터 본체를 서비스 받으시기 바랍니다.) 3. 신규 그래픽 카드를 설치하거나 PC를 조립하셨다면 어댑터(비디오) 드라이버 및 모니터 드라이 버를 설치하셨는지 확인하세요. 4. 비디오 화면 주사율이 56Hz~75Hz로 설정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단, 최대 해상도를 사용시에는 60Hz를 넘지 않게 주의하세요.) 5. 설정이 잘 안된다면 부팅후 "제어판 →시스템 →장치관리자"의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제거 후 재부팅하여 어댑터(비디오)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 하시기 바랍니다.
3. 모니터를 켜세요.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 경우는 비디오 케이블의 연결이 끊어지거나 손상을 입은 경우입니다. 4. 모니터를 끄고 비디오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 다음, 컴퓨터와 모니터를 켜세요. 자체 진단을 하는 동안 전원 표시등은 파란색이고 패턴은 정지된 상태에서 남아 있습니다. 만일 이런 방법으로도 모니터 화면이 까만 상태로 있으면, 비디오 조정기와 컴퓨터를 확인 해 보세요. 모니터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화면 메시지 입력 신호에 문제가 있을 경우 전원 표시등이 켜 있을지라도 화면에 메시지가 나타나거나 공백 상태입니다. 이 메시지는 모니터가 주파수 범위 밖에 있거나 신호케이블 점검을 필요 로 함을 의미합니다. 환경영향 모니터의 위치 설정과 배치는 화질과 기타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만일 확성용 스피커가 모니터 근처에 있다면 확성용 스피커는 다른 공간으로 옮기세 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