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Manual

MGP16X/MGP12X 사용 설명서
7
믹서의 기초 지식
최적의 믹서 위한 레벨 조정
이퀄라이저 설정
녹음 이퀄라이저로 음질을 조정할 때에는 조금만 사용하
것이
포인트입니다. 소리가 나오지 않을 때에는 HIGH
조금 올립니다. 저음을 강조하고 싶을 때에는 LOW
올립니다. 보정을 위해서만 이퀄라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적의 믹서 위한
예를 들어 피아노의 소리는 저음역에서 중음역의 범위에
음이
있는 악기입니다. 원음에 대해서 평소에 우리가 CD
음악을 들을 때에는 인식하고 있지 않지만 저음역에서
음역의 범위에서 다른 악기의 명료함을 방해하는 경우가
습니다.
기본적으로는 피아노의 소리를 입력하는 채널의 저음역은
조금 컷합니다. 믹스한 소리는 보다 깨끗하게 들리고 다른
기의 저음역의 소리가 보다 선명하게 들립니다. , 피아노
솔로를 연주할 경우에는 필요 없습니다.
반대로 드럼이나 베이스 기타의 경우에는 원음이 되는
음역 이외에 중음역에서 고음역까지 넓은 배음이 있지만
기의 특성(저음역) 그대로 살려서 고음역을 내리고 믹스에
스페이스를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음 과 배음 의 대략적 분포
컴프레서의 세팅
컴프레서에는
과대 입력 시에 뒤틀림 없이 입력 신호를 적절
레벨로 맞추는 리미터의 역할과 믹스 중에 소리를
드러
지게 하기 위해서 소리를 모아서 음질을 좋게 하는
할이 있습니다. 컴프레서는 보통 다이내믹 레인지가 심하게
넓은 보컬이나 베이스 기타 등에 사용합니다. , 컴프레서
과다하게 사용하면 하울링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조금만
사용
합니다.
마이크 입력에는 하이
패스 필터
하이패스 필터는 어느 주파수보다 아래의 주파수 대역의
호를 컷하는 기능입니다. MGP 하이패스 필터를 켜면
100Hz 이하의 초저음역이 컷됩니다
.
보컬의 숨소리 등이 마이크에 닿았을 때의 노이즈, 마이크를
잡을 때의 핸들링 노이즈, 마이크 스탠드를 통한 바닥에서
전해오는 진동 등이 경감합니다. 특히 마이크를 사용하여
리를 모으는 경우에는 하이패스 필터를 켜는 것을 추천합니
.
레벨 조정은 중요한 파트부터
레벨 조정은
어떤 파트부터 시작하면 좋을까요? 간단히 답하
중요한 파트의 레벨을 정하고 나서 외의 파트 레벨을
조정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면 믹스 중에 보컬이 곡의 중심이
되는
경우 보컬의 원음으로 믹스해보십시오. 먼저 보컬의
널을 표준치(nominal)까지 올린 다음, 다른 악기를 믹스에
추가합니다. 보컬 다음에 어떤 악기를 추가할 지는 연주하는
악기의 타입이나 곡의 방향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피아
트리오가 반주를 하는 발라드 곡인 경우, 보컬 다음에
피아노를 믹스에 추가하십시오. 보컬과 피아노의 밸런스를
조정한 다음 전체의 밸런스를 지지하는 베이스나 드럼
가합니다. 반대로 리듬을 강조하는 곡의 경우에는 베이
스와 드럼의 밸런스를 조정한 다음 피아노를 추가합니다.
심벌
피아노
베이스 기타
스네어 드럼
베이스 기타
기타
트럼펫
20 50 100 200 500 1k 2k 5k 10k 20k (Hz)
원음: 악기의 음정감을 주는 주파수의 소리
배음: 외의 주파수의 소리
출력
0 (최소)
10 (최대)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