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레퍼런스 매뉴얼의 사용 방법 QL5/QL1 레퍼런스 매뉴얼(이 책)은 용어의 검색 기능과 링크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용어의 검색 용어를 검색할 때에는 이 책의 내용을 표시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사용합니다. Adobe Reader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검색 바에 용어를 입력하고 컴퓨터 키보드의 를 누르면 입력한 용어를 검색합니다. 이전 화면/다음 화면을 표시 Adobe Reader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이전 화면/다음 화면을표시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의 링크로 페이지를 이동한 뒤,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고 싶은 경우에 편리합니다. FUNCTION TREE의 사용 4페이지 이후에, QL 시리즈의 FUNCTION TREE 그림이 제공되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이나 기능의 설명 페이지를 찾을 때에, 이 FUNCTION TREE 그림을 활용해주세요.
목차 목차 이 레퍼런스 매뉴얼의 사용법..................................................1 Function tree 그림.................................................................................4 SELECTED CHANNEL 섹션......................................................................6 SELECTED CHANNEL 섹션에서의 작업 ................................................ .6 채널 스트립 섹션 ................................................................................11 채널 스트립 섹션에서 작업................................................................
I/O 디바이스와 외부 헤드 앰프.............................................................127 I/O 디바이스의 이용............................................................................127 Rio를 리모트 컨트롤............................................................................129 AMP를 리모트 컨트롤.......................................................................... 131 WIRELESS를 리모트 컨트롤................................................................. 132 외부 헤드 앰프의 이용.......................................................
Funtion Tree 그림 LIBRARY ()내의 페이지는 취급 설명서(책자)의 페이지 번호입니다.
SETUP MIDI/GPI PATCH 138.
SELECTED CHANNEL 섹션 SELECTED CHANNEL VIEW 화면 디스플레이 오른쪽에 있는 SELECTED CHANNEL 섹션은 기존의 아날로그 채널 모듈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주요 파라미터를 패널의 노브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마지막에 [SEL]키로 선택한 채널이 조절의 대상이 됩니다. ST IN 채널, STEREO 채널을 하나의 채널 스트립에 할당한 경우에는 L/R 채널 중에 한쪽만이 선택되며 주요 파라미터는 서로 연동합니다. SELECTED CHANNEL 섹션에서의 작업 SELECTED CHANNEL 섹션에서의 조절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합니다. 순서 1. 페이더 뱅크 섹션에 있는 뱅크 셀렉트 키로 조절하고 싶은 채널이 포함된 뱅크를 선택한다. 2. 톱 패널에 있는 채널 스트립 섹션, 마스터 섹션의 [SEL]키를 사용하여 조절하는 채널을 선택한다. 3.
전송 대상의 버스가 모노 × 2 일 때 ■ GAIN/PATCH 필드 HA(헤드 앰프)의 아날로그 게인/디지털 게인을 설정합니다. 또 HA의 상태가 표시됩니다. ① GAIN 노브 HA의 아날로그/디지털 게인을 설정합니다. 노브를 누르면 GAIN/PATCH 1ch 화면이 표시됩니다. ② G.C. 인디케이터 Gain Compensation이 켜져 있을 때 오디오 네트워크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입니다. ① SEND 노브 해당하는 버스로의 센드 레벨을 설정합니다. ③ OVER 인디케이터 ② PRE 인디케이터 해당하는 버스의 센드 포인터가 표시됩니다. MIX SEND 8ch 화면에서 PRE 버튼을 켜면 표시됩니다. 신호가 클립 하면 점등합니다. ④ φ 인디케이터 위상 설정 상태가 표시됩니다. ③ ON 버튼 해당하는 버스로의 센드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⑤ +48V 인디케이터 HA 팬텀 전원(+48V)의 온/오프 상태가 표시됩니다.
■ PAN/BALANCE 필드 STEREO/MONO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온/오프 전환이나 PAN/밸런스의 설정을 합니다. 이 필드의 표시나 기능은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INPUT 채널/MIX 채널을 선택했을 경우 ① TO STEREO PAN 노브 STEREO 버스로의 PAN을 설정합니다. 노브를 누르면 TO STEREO/MONO 8ch 화면이 표시됩니 다. ST IN 채널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화면에 PAN 노브 또는 BALANCE 노브 중 어느 쪽을 표시할지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MIX 채널인 경우, 신호 타입이 모노일 경우에는 PAN, 스테레오일 경우에는 BALANCE가 됩니다. ■ HPF 필드(INPUT 채널 전용) HPF의 설정을 합니다. 아웃풋 채널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①에 회색 원이 표시되며 ②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① HPF 노브 HPF의 컷오프 주파수를 설정합니다. ② ON 버튼 HPF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 EQ 그래프 필드 ■ INSERT 필드 인서트에 관한 설정을 합니다. EQ의 대략적인 특성이 표시됩니다. 이 필드를 누르면 어테뉴에이터(ATTENUATOR), HPF, EQ의 설정을 하는 HPF/EQ 1ch 화면이 표시됩니다. ① 팝업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INSERT/DIRECT OUT 1ch 화면이 표시됩니다. ② ON 버튼 인서트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③ RACK EDIT 버튼 이펙트와 프리미엄 랙이 인서트되어 있을 때에 표시됩니다. 누르면 인서트된 랙의 에디트 화면이 표시됩니다. ④ IN 인디케이터 인서트 인 패치에 포트가 할당되어 있을 때에 표시됩니다. 인서트 인으로 신호가 보내지면 점등합니다. ■ DYNAMICS1/DYNAMICS2 필드 다이나믹스1/2의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 DIRECT OUT 필드 다이렉트 아웃에 관한 설정을 합니다. ① 팝업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INSERT/DIRECT OUT 1ch 화면이 표시됩니다.
■ FADER 필드 채널의 온/오프 레벨에 관한 표시/설정을 합니다. ① 페이더 현재의 레벨을 페이더로 표시합니다. 레벨 설정에 사용합니다. ② 레벨 표시 현재의 레벨 설정 값이 표시됩니다. 채널 내의 어딘가의 위치에서 클립하면 ΣCLIP 인디케이터가 점등합니다. ③ ON 버튼 채널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패널의 [ON]키와 연동합니다. ■ DCA/MUTE 필드 그 채널이 소속하는 DCA/뮤트 그룹을 선택합니다. ① 탭 DCA 그룹, 또는 뮤트 그룹을 선택합니다. 선택한 탭을 다시 한 번 누르면 DCA/MUTE GROUP ASSIGN MODE 화면이 표시됩니다. DCA 그룹 선택 시 ② DCA 그룹 선택 버튼 채널이 소속하는 DCA 그룹을 선택합니다. ③ 뮤트 그룹 표시 인디케이터 선택 채널이 소속하고 있는 뮤트 그룹이 표시됩니다. 뮤트 그룹 선택 시 ④ 뮤트 그룹 선택 버튼 채널이 소속하는 뮤트 그룹을 선택합니다.
채널 스트립 섹션 ■ CHANNEL NAME 필드 현재 선택되어 있는 8채널의 채널 번호, 채널 이름, 채널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 이름은 하이라이트 표시됩니다. 터치스크린 하부에 배치된 채널 스트립 섹션에서는 인풋 계열 채널, 아웃풋 계열 채널, DCA 그룹을 불러내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페이더 뱅크 섹션에 있는 뱅크 셀렉트 키를 누르면 그 키에 대응하는 채널/DCA 그룹의 페이더/[ON]키/[CUE]키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선택되어 있는 채널 : 선택되어 있지 않은 채널 채널 스트립 섹션에서의 작업 순서 1. 뱅크 셀렉트 키를 사용하여 조절하는 채널/DCA 그룹을 선택한다. 2. 채널 스트립 섹션의 페이더/[ON]키를 사용하여 선택한 채널의 레벨, 온/오프를 설정한다. 3. OVERVIEW 화면 내의 필드와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채널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 USER DEFINED노브에 INPUT GAIN → DIGITAL GAIN을 할당하거나 USER DEFINED 키에 ALTERNATE 기능을 할당해도 디지털 게인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EQ 필드 EQ의 대략적인 특성이 표시됩니다. 이 필드를 누르면 HPF, EQ의 설정을 하는 HPF/EQ 1ch 화면이 표시됩니다. 슬롯에 패치 되어 있는 경우 슬롯 이름이 표시됩니다. 랙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패치와 모듈이 표시됩니다. NOTE DCA, 모니터가 선택되어 있으면 이 필드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 DYNAMICS1/2 필드 다이나믹스1/2의 스레숄드 값과 미터가 표시됩니다. 이 필드를 누르면 DYNAMICS 1/2의 1ch 화면이 표시됩니다. NOTE DCA, 모니터가 선택되어 있으면 이 필드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아웃풋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패치만이 표시됩니다. ■ INPUT DELAY 필드 INPUT 채널의 딜레이 상태가 표시됩니다.
전송 대상의 버스가 VARI(스테레오)일 때 홀수-짝수의 순서로 열거된 2개의 버스가 스테레오인 경우, 왼쪽의 노브가 PAN 노브, 오른쪽의 노브 가 센드 노브로 사용됩니다. MATRIX 채널(모노)/MONO 채널 선택 시 채널 내부의 어딘가에서 클립이 발생하면 Σ 클립 인디케이터가 점등합니다. MATRIX 채널이 스테레오일 때, 또는 STEREO 채널일 때는, 좌우 채널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BALANCE 노브가 표시됩니다. 전송 대상의 버스가 FIXED일 때 노브 대신에 버스마다의 SEND ON/OFF 버튼이 표시 됩니다. ■ DCA 그룹 필드 채널이 소속하는 DCA 그룹(1~16)이 1열과 2열에 표시됩니다. 이 필드를 누르면 DCA/MUTE GROUP ASSIGN MODE 화면이 표시됩니다. ■ TO STEREO/MONO 필드 STEREO/MONO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온/오프 상태와 PAN/밸런스의 설정이 표시됩니다. 이 필드는 선택되어 있는 채널에 따라 표시가 변화합니다.
입출력의 패칭 인풋 패치/아웃풋 패치의 변경 방법 및 인서트 접속과 다이렉트 출력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 하겠 습니다. QL 시리즈가 초기 상태일 때, 각각의 인풋 계열 채널에는 다음과 같은 입력 포트(단자/포트)가 패치 되어 있습니다. 인풋 계열 채널 입력 포트(단자/포트) INPUT1~32 CH33~48 DANTE1~16 CH49~64 DANTE17~32 ST IN1~4 FX5L(A)~FX8R(B) 입력 포트(단자/포트) CH1~16 INPUT1~16 CH17~32 DANTE1~16 ST IN1~4 FX5L(A)~FX8R(B) QL 시리즈가 초기 상태일 때, 각각의 출력 포트(단자/포트)는 다음과 같은 아웃풋 계열 채널에 패치 되어 있습니다.
인풋 패치의 변경 PATCH/NAME 화면 순서 1.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와 톱 패널의 [SEL]키를 눌러 조절하는 인풋 계열 채널을 선택한다. 2. OVERVIEW 화면의 채널 번호/채널 이름의 필드를 누른다. 3. PATCH/NAME 화면의 카테고리 선택 목록에서 포트의 종류를 선택하고, 포트 선택 버튼으로 입력 포트를 선택한다. OVERVIEW 화면 PATCH/NAME 화면 NOTE GAIN/PATCH 화면에서도 입력 포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① PATCH 버튼 현재 선택되어 있는 입력 포트가 표시됩니다. 또 아이콘의 선택이나 채널 이름의 변경을 하고 있을 때, 이 버튼을 누르면 입력 포트 선택의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② 채널 아이콘 버튼 그 채널에서 선택한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아이콘과 채널 이름의 샘플을 선택 하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③ 채널 이름 입력 박스 현재 설정되어 있는 채널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④ 카테고리 선택 리스트 입력 포트의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각각의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은 입력 포트에 대응하고 있 습니다. 채널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카테고리는 바뀝니다. 아웃풋 패치의 변경 패치를 변경 하려면, 아웃풋계열 채널마다 출력 대상이 되는 출력 포트를 선택하는 방법과 출력 포트 마다 출력 소스가 되는 아웃풋 계열 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DANTE1-32......................... DANTE1~DANTE32 · DANTE33-64....................... DANTE33~DANTE64(QL5 전용) 아웃풋 계열 채널마다 출력 포트를 선택 · INPUT/PB OUT.................... INPUT1~32*1, PB OUT(L), PB OUT(R) · SLOT1................................. SLOT1(1)~SLOT1(16) · SLOT2............................
⑦ 포트 선택 버튼 카테고리에서 패치하는 포트를 선택합니다. 선택을 해제하려면 다시 한 번 버튼을 누릅니다. PATCH/NAME 화면 ⑧ 탭 항목을 바꿉니다. ⑨ 닫기 버튼 화면을 닫습니다. 출력 포트마다 아웃풋 계열 채널을 선택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 중앙에 있는 SYSTEM SETUP 필드의 OUTPORT SETUP 버튼을 누른다. 3. OUTPUT PORT 화면 하부의 탭에서 조절하는 출력 포트를 선택한다. 4. 설정하는 포트의 채널 선택 버튼을 누른다. 5. 카테고리 선택 리스트와 채널 선택 버튼으로 전송 소스가 되는 채널을 선택한다. ① PATCH 버튼 아웃풋 채널에 패치되어 있는 포트가 표시됩니다. 다른 탭을 선택하고 있을 때 이 버튼을 누르면 네트워크와 포트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② 채널 선택 버튼 설정하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② 채널 선택 버튼 현재의 카테고리 중에서 출력 포트에 할당하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CH SELECT 화면 ③ CLOSE 버튼 화면을 닫습니다. 채널에 외부 기기를 인서트 접속 INPUT, MIX, MATRIX, STEREO, MONO의 각 채널 신호 경로에 이펙트 프로세서 등의 외부 기기를 인 서트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인서트에 사용하는 입출력 포트의 종류와 인서트 아웃/인의 위치는 채널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① 카테고리 선택 리스트 채널의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각각의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은 채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웃풋 포트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카테고리는 바뀝니다. 순서 1.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와 톱 패널의 [SEL]키를 사용하여 외부 기기를 인서트하고 싶 은 채널을 선택한다. 2.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INSERT 필드에 있는 팝업 버튼을 누른다. 3. INSERT OUT 버튼 또는 INSERT IN 버튼을 누른다. 4.
■ INSERT IN HA 필드 인서트 인에 HA를 장비한 입력 포트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됩니다. INSERT/DIRECT OUT 화면(1ch) ⑥ +48V 버튼 인서트1과 인서트2에 선택되어 있는 HA의 팬텀 전원(+48V)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⑦ A. GAIN 노브 인서트1과 인서트2에 선택되어 있는 HA의 아날로그 게인의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설정 NOTE · INPUT 단자를 인서트 IN에서 사용하는 입력 포트로서 선택한 경우 INSERT IN HA 필드에서 HA 설정을 해 주세요. · INSERT ON/OFF 버튼이 OFF인 경우에도 인서트 아웃에서는 선택한 신호를 계속 보냅니다. ⑧ HA 미터 인서트1과 인서트2에 선택되어 있는 HA의 입력 신호 레벨이 표시됩니다. ⑨ 닫기 버튼 화면을 닫습니다. ■ INSERT 필드 인서트에 관한 설정을 합니다.
② INSERT ON/OFF 버튼 인서트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버튼의 위쪽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인서트 포인트가 표시됩니다. · GEQ RACK................ GEQ1L(A)~GEQ16R(B) ③ INSERT OUT 버튼 인서트1과 인서트2에 선택되어 있는 포트가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출력 포트를 선택하는 PORT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 PREMIUM RACK ........ PR1L(A)~PR2R(B) · EFFECT RACK .......... FX1L(A)~FX8R(B) ② 포트 선택 버튼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에 인서트 아웃/인으로 사용하는 출력 포트를 할당하는 버튼입니다. ④ INSERT IN 버튼 인서트1과 인서트2에 선택되어 있는 포트가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입력 포트를 선택하는 PORT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또 이 버튼의 오른쪽에 있는 인디케이터에서 인서트 인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SERT/DIRECT OUT 화면(1ch) INPUT 채널을 다이렉트 출력 INPUT 채널의 신호는 I/O 디바이스의 OUTPUT 단자, 임의의 OMNI OUT 단자 또는 임의의 슬롯의 아웃풋 채널에서 다이렉트 출력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와 톱 패널의 [SEL]키를 사용하여, 다이렉트 출력하고 싶은 INPUT 채널을 선택한다. 2.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INSERT 필드에 있는 팝업 버튼을 누른다. 3. INSERT/DIRECT OUT 화면의 DIRECT OUT PATCH 버튼을 누른다. 4. 출력 포트를 선택한다. 5. DIRECT OUT ON 버튼을 누른다. ① DIRECT OUT 필드 다이렉트 출력에 관한 설정을 합니다.
DIRECT OUT 화면(8ch) PORT SELECT 화면 1ch 또는 8ch의 INSERT/DIRECT OUT 화면의 DIRECT OUT 버튼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다이렉트 출력에 사용하는 출력 포트를 설정합니다. ① DIRECT ON/OFF 버튼 다이렉트 아웃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버튼의 위쪽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다이렉트 아웃 포인트가 표시됩니다. ① 카테고리 선택 리스트 ② DIRECT OUT PATCH 버튼 현재 선택되어 있는 다이렉트 아웃의 출력 포트가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출력 포트를 선택하는 PORT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출력 포트의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각각의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은 출력 포트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채널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카테고리는 바뀝니다. ③ DIRECT OUT LEVEL 노브 다이렉트 아웃의 출력 레벨이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레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인풋 계열 채널 · HPF(하이 패스 필터) 특정 주파수보다 낮은 대역을 커트하는 하이 패스 필터입니다. 여기에서는 인풋 계열 채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4 BAND EQ(4밴드 이퀄라이저) HIGH, HIGH MID, LOW MID, LOW의 4밴드를 갖추고 있는 파라메트릭 EQ입니다. 인풋 계열 채널의 신호 흐름 인풋 계열 채널은 I/O 디바이스나 리어 패널의 입력 단자, 슬롯 1~2등을 경유하여 입력된 신호를 가공하여 STEREO 버스, MONO 버스, MIX 버스, MATRIX 버스로 보내는 섹션입니다. 인풋 계열 채널에는 다음의 2종류가 있습니다. · DYNAMICS 1 게이트/더킹/익스팬더/컴프레서로서 이용할 수 있는 다이나믹스 프로세서입니다. INPUT 채널(모노) 모노 신호를 가공하는 채널입니다. QL 시리즈가 초기 상태일 때는 아날로그 입력 단자로부터의 신호가 할당되어져 있습니다. ST IN 채널(스테레오) 스테레오 신호를 가공하는 채널입니다.
· INSERT(인서트)(INPUT 채널(MONO) 전용) 임의의 출력/입력 포트를 패치하여 이펙트 프로세서 등 외부 기기를 인서트 합니다. 인서트 아웃/인서트 인의 위치는 EQ의 직전, 페이더의 직전, [ON]키의 직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PATCH/NAME 화면 ■ PATCH 탭 선택 시 · DIRECT OUT(다이렉트 아웃)(INPUT 채널(MONO) 전용) 임의의 출력 포트를 패치하여 입력 신호를 그 출력 포트로부터 다이렉트 출력합니다. 다이렉트 출력의 위치는 HPF 직전, EQ의 직전, 페이더의 직전, [ON]키의 직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METER(미터) 인풋 계열 채널의 레벨을 미터에 표시합니다. 레벨의 검출 위치는 바꿀 수 있습니다(→ P.102). 채널 이름/아이콘/채널 컬러의 설정 QL 시리즈에서는 인풋 계열 채널마다 화면에 표시되는 이름이나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채널 이름/아이콘/채널 컬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순서 1.
■ ICON 탭 선택 시 ■ NAME 탭 선택 시 키보드 화면에서 채널 이름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① 채널 컬러 선택 버튼 채널의 색을 선택합니다. ② 아이콘 선택 버튼 채널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③ 샘플 네임 설정 버튼 프리셋된 샘플 이름을 선택합니다. 나중에 NAME 탭 화면에서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NOTE 채널 이름의 필드는, 샘플 이름을 입력한 후에도 문자의 추가/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Vocal1" "Vocal2"처럼 공통의 이름에 일련번호를 계속 채널의 이름에 붙이고 싶을 때에는 샘플 이름을 입력한 후에 번호를 추가하면 빠르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HA(헤드 앰프)의 설정 GAIN/PATCH 화면(1ch) 인풋 계열 채널의 HA(헤드 앰프)에 관한 각종 설정(팬텀 전원의 온/ 오프 게인, 페이즈)을 합니다. ·HA의 아날로그 게인만을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TOUCH AND TURN] 노브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게인의 설정 HA의 설정은 GAIN/PATCH 화면에서 합니다. 순서 1.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와 톱 패널의 [SEL]키를 눌러 채널을 선택한다. 2.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GAIN/PATCH 필드에 있는 GAIN 노브를 누른다. 3. GAIN/PATCH 화면의 1ch 또는 8ch 탭을 누른다. 4. HA를 설정한다. ① 채널 아이콘, 채널 번호, 채널 이름 표시 채널의 아이콘, 번호, 채널 이름이 표시됩니다. ② HA 섹션 INPUT 채널에 HA가 패치되어 있을 때 표시됩니다. NOTE · 슬롯이 패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롯/MY 카드의 종류, 슬롯의 미터가 표시됩니다.
③ INPUT PORT 버튼 채널에 할당된 포트가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패치하는 포트를 선택하는 PORT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GAIN/PATCH 화면(8ch) ④ 아이콘/채널 이름 버튼 채널의 번호, 아이콘, 채널 이름이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입력 포트의 패칭이나 채널 이름의 설정을 하는 PATCH/NAME 화면이 표시됩니다. ⑤ AG-DG LINK 버튼 아날로그 게인과 디지털 게인의 링크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링크를 켜면 Gain Compensation 이 켜져 있어도 아날로그 게인 조절에 의해 디지털 게인이 연동합니다. ⑥ φ 버튼 HA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정상/역상을 전환합니다. ⑦ D. GAIN(디지털 게인) 노브 디지털 게인의 설정 값이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디지털 게인을 조절합니다. Gain Compensation을 켠 경우, 아날로그 게인으로는 입력 레벨이 바뀌지 않으므로 디지털 게인에서 입력 게인을 조절합니다.
② PATCH 버튼 INPUT 채널에 입력 포트를 패치하는 PORT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③ HA섹션 인풋 채널에 HA가 패치되어 있을 때에 표시됩니다. PORT SELECT 화면 NOTE HA가 확인할 수 없는 슬롯이 패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MY 카드의 종류가 표시됩니다. 버튼 · +48V 버튼 HA가 패치되어 있는 INPUT 채널만 표시됩니다. 버튼을 눌러 팬텀 전원(+48V)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버튼 · A. GAIN(아날로그 게인) 노브 HA 아날로그 게인의 설정 값이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게인을 조절합니다. 게인 Compensation이 켜져 있으면, 켰을 때의 아날로그 게인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됩니다. · 레벨 미터 입력 신호의 레벨을 표시하는 미터입니다. · GC(GAIN COMPENSATION) 버튼 채널마다 게인 Compensation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GAIN/PATCH 화면 (1-32,33-64/ST IN(QL5), ST IN(QL1) 해당하는 인풋 계열 채널의 HA 설정 상태가 표시됩니다. 또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선택되어 있는 헤드 앰프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② OVER 인디케이터 입력 포트나 랙 출력의 신호가 풀 스케일을 넘었을 때에 점등합니다. 이 인디케이터는 INPUT 채널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만 표시됩니다. ③ +48V 인디케이터 각 채널의 +48V의 온/오프 상태가 표시됩니다. ④ φ(페이즈) 인디케이터 각 채널의 페이즈(위상) 설정 상태가 표시됩니다. NOTE HA를 인식할 수 없는 슬롯이 패치된 INPUT 채널에는 1의 위치에 슬롯/포트 번호가 표시됩니다. 3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RACK이 패치된 INPUT 채널에는 1의 위치에 랙의 포트 ID가 표시됩니다. 아무것도 패치되어 있지 않은 INPUT 채널에는 1의 위치에 "----"라고 표시됩니다.
게인 Compensation이 켜져 있을 때의 아날로그 게인과 디지털 게인의 관계 인풋 계열 채널에서 STEREO/MONO 버스로 신호를 전송 게인 Compensation이 켜져 있을 때, 아날로그 게인을 움직이면 I/O 디바이스가 아날로그 게인을 움직인 폭과 같은 양의 보정된 신호를 오디오 네트워크로 내보냅니다. 이 때문에 오디오 네트워크의 신호는 디지털 섹션에서 항상 일정 레벨로 보정된 상태가 됩니다. STEREO 버스/MONO 버스는 메인 스피커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이용합니다. STEREO 버스나 MONO 버스로 신호를 보내는 방법에는 ST/MONO 모드와 LCR 모드의 2가지 모드가 있으며 채널마다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 모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게인의 값을 +30dB로 설정한 상태에서 게인 Compensation을 켠 경우, 아날로그 게인을 +45까지 올려도 오디오 네트워크에는 –15dB 보정되어 +30dB의 레벨로 보내집니다.
순서 1. STEREO/MONO 버스로 신호를 보내고 싶은 인풋 계열 채널의 팬텀 전원, 게인, 페이즈를 설정한다. 2.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와 톱 패널의 [SEL]키를 눌러 STEREO/MONO 버스로 신호를 보내고 싶은 인풋 계열 채널을 선택한다. 3.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PAN/BALANCE 필드의 노브를 눌러 선택하고 다시 1번 노브를 누른다. 4. TO STEREO/MONO 화면의 MODE 선택 버튼을 사용해 채널마다 ST/MONO 모드 또는 LCR 모드를 선택한다. 5. 톱 패널의 MASTER 섹션에서 ST IN 채널(스테레오)/INPUT 채널(모노)의 [ON]키를 켜고 페이더를 적절한 위치까지 올린다. 6. 톱 패널의 INPUT 섹션에서 조절하는 인풋 계열 채널의 [ON]키를 켜고 페이더를 적절한 위치까지 올린다. 다음의 조절은 순서 4에서 ST/MONO 모드를 선택한 채널과 LCR 모드를 선택한 채널에 따라 다릅니다.
④ ST 버튼/MONO 버튼 MODE 버튼이 ST/MONO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그 채널에서 STEREO 버스/MONO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전환하는 버튼입니다. TO STEREO/MONO 화면 (CH1-48, CH49-72/ST IN(CL5) CH49-64/ST IN(CL3), ST IN(CL1)) 해당 인풋 계열 채널에서 STEREO 버스/MONO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상태가 표시됩니다. 또, 선택되어 있는 팬 또는 밸런스를 조절합니다. ⑤ Σ 클립 인디케이터 채널 어딘가의 위치에서 클립이 생겼을 때에 점등합니다. ⑥ TO ST PAN/TO ST BALANCE 노브 INPUT 채널(MONO)에서는 STEREO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좌우 정위를 조절하는 PAN 노브로서 기능합니다. STEREO 채널에서는 PAN 노브로 기능하는 것 외에 STEREO 버스로 보내는 좌우 신호의 음량 밸런스를 조절하는 BALANCE 노브로도 기능합니다.
■ CSR 노브가 100%인 경우 LCR 모드 선택 시의 신호 레벨 LCR 모드를 선택할 경우, CSR 노브와 TO ST PAN 노브의 설정에 따라 STEREO(L/R) 버스와 MONO(C) 버스로 보내는 신호 레벨이 바뀝니다. ■ CSR 노브가 0%인 경우(INPUT 채널(모노)) TO ST PAN 노브가 일반적인 PAN 노브로 사용되며 MONO(C) 버스로는 신호를 보내지 않습니다. ■ CSR 노브가 100%인 경우(ST IN 채널) ■ CSR 노브가 0%인 경우(ST IN 채널(스테레오)) TO ST BALANCE 노브가 일반적인 BALANCE 노브로 사용되며 MONO(C) 버스로는 신호를 보내지 않습니다.
인풋 계열 채널에서 MIX/MATRIX 버스로 신호를 전송 MIX 버스는 주로 스테이지의 폴드 백 스피커나 외부의 이펙트 프로세서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 이용합 니다. MATRIX 버스는 주로 마스터 레코더나 분장실의 모니터 시스템 등의 기기로 STEREO 버스나 MIX 버스와는 다른 믹스를 송신하는 용도로 이용합니다. 인풋 계열 채널에서 MIX/MATRIX 버스로 신호를 보내려면 다음의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MIX 버스에는 센드 레벨이 고정인 FIXED 타입과 센드 레벨이 가변인 VARI 타입이 있습니다. MATRIX 버스는 VARI 타입만 있습니다. 홀수, 짝수의 순서로 나열된 2계통의 MIX 버스 단위로, VARI 타입을 FIXED 타입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전환은 SETUP 버튼 → BUS SETUP 버튼으로 표시되는 BUS SETUP 화면에서 합니다.
■ MIX/MATRIX 버스가 스테레오 버스인 경우 MIX SEND/MATRIX SEND 화면 홀수, 짝수의 번호순으로 나열된 2계통의 MIX/MATRIX 버스의 주요 파라미터를 연동할 수 있습니 다. MIX/MATRIX 버스가 스테레오로 설정되어 있을 때는 2개로 나열된 TO MIX/MATRIX SEND LEVEL 노브 중 왼쪽의 노브가 TO MIX/MATRIX PAN 노브(TO STEREO/MONO 화면에서 BALANCE 모드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BALANCE 노브)로서 기능합니다. NOTE · INPUT 채널(모노)에서는 오른쪽의 노브로 2계통의 MIX/MATRIX 버스로 공통의 센드 레벨을, 왼쪽 의 노브로 2계통의 MIX/MATRIX 버스 간의 정위(PAN)를 설정합니다. 왼쪽의 TO MIX/MATRIX SEND PAN 노브를 왼쪽으로 돌릴수록 홀수 번호의 MIX/MATRIX 버스로, 오른쪽으로 돌릴수록 짝수 번호의 MIX/MATRIX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양이 늘어납니다.
⑧ SEND PAN/BALANCE 노브 스테레오의 전송 대상에 대한 PAN 또는 밸런스를 설정합니다. 보낼 곳이 모노인 경우, 또는 FIX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노브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전송 소스가 모노인 경우에는 PAN이 됩니다. 전송 소스가 스테레오인 경우에는 TO STEREO/MONO 화면의 PAN/BALANCE 모드에서 PAN 또 는 BALANCE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선택한 모드의 노브가 표시됩니다. SENDS ON FADER 섹션 ⑨ SEND LEVEL 노브 선택되어 있는 전송 대상으로의 센드 레벨이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 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전송 대상이 FIXED로 설정되어 있을 때는 회색의 원만이 표시됩니다. 페이더를 사용(SENDS ON FADER 모드) 톱 패널의 페이더를 사용하여 모든 인풋 계열 채널에서 특정의 MIX/MATRIX 버스로 보내는 신호를 설정합니다. 순서 1.
SENDS ON FADER 모드 채널 간의 지연을 보정(인풋 딜레이) 여기에서는 인풋 딜레이를 사용하여 인풋 계열 채널 간의 지연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스테이지의 마이크 배치에 따른 위상 차이의 보정이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사운드에 깊이를 만들어 연출하며, 방송 등에서 영상과 음성의 시간 차이가 있을 때의 보정 등을 위해 인풋 딜레이를 사용합니다. 순서 1.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와 톱 패널의 [SEL]키를 눌러 인풋 계열 채널을 선택한다. 2.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INPUT DELAY 필드를 누른다. 3.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딜레이를 설정한다. 4. DELAY ON 버튼을 누른다. ① MIX/MATRIX 선택 버튼 FUNCTION ACCESS AREA에 표시하는 버스를 MIX와 MATRIX로 바꿉니다.
INPUT DELAY 화면(8ch) INPUT DELAY(CH1-32, CH33-64/ST IN(QL5), ST IN(QL1) 인풋 계열 채널의 딜레이 온/오프와 설정 값을 조절합니다. ① DEALY SCALE 버튼 누르면 DELAY SCALE 화면이 표시되며 딜레이 타임을 표시하는 단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딜레이 스케일은 meter(미터/초), feet(피트/초), sample(샘플 수), ms(밀리 세컨드)의 4종류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② 채널 선택 버튼 현재 선택되어 있는 INPUT 채널이 파랗게 표시됩니다. 누르면 그 채널이 선택됩니다. ③ 딜레이 설정 노브(INPUT 채널 전용) [TOUCH AND TURN] 노브로 값을 조절합니다. 현재의 설정 값은 노브의 위(항상 ms 단위로 표시)와 노브의 아래(현재 선택되어 있는 스케일로 표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LAY SCALE로 ms(밀리 세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노브의 위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채널 라이브러리를 사용 인풋 계열 채널의 각종 파라미터(HA 설정을 포함)를 STORE/RECALL하는 "INPUT CHANNEL LIBRARY"가 있습니다.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려면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LIBRARY 버튼을 누릅니다. 라이브러리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취급 설명서(별지)의 "라이브러리를 사용"을 참조해 주세요.
아웃풋 계열 채널 여기에서는, 아웃풋 계열 채널(MIX 채널, MATRIX 채널, STEREO 채널, MONO 채널)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STEREO 채널/MONO(C) 채널 각각 인풋 계열 채널에서 STEREO 버스, MONO(C) 버스로 보낸 신호를 가공하여 대응하는 출력 포트나 MATRIX 버스로 송출하는 채널입니다. 인풋 계열 채널이 LCR 모드일 때에는 STEREO(L/R) 채널과 MONO(C) 채널을 조합하여 3계통의 아웃풋 채널로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웃풋 계열 채널의 신호 흐름 아웃풋 계열 채널은 인풋 계열 채널에서 각종 버스로 보내진 신호를, EQ나 다이나믹스로 가공하고 출력 포트나 다른 버스로 내보내는 섹션입니다. 아웃풋 계열 채널에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MIX 채널 인풋 계열 채널에서 MIX 버스로 보낸 신호를 가공하여 대응하는 출력 포트, MATRIX 버스, STEREO 버스, MONO(C) 버스로 송출하는 채널입니다.
· ON(온/오프) 아웃풋 계열 채널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오프로 하면, 그 채널은 뮤트됩니다. 채널 이름/아이콘/채널 컬러의 설정 · MATRIX ON/OFF(MATRIX 센드 온/오프) MIX 채널, STEREO(L/R) 채널, MONO(C) 채널에서 MATRIX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순서 1.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와 톱 패널의 [SEL]키를 눌러 아웃풋 계열 채널을 선택한다. 2. OVERVIEW 화면에서 채널 이름/아이콘/채널 컬러를 설정하고 싶은 채널의 채널 번호/채널 이름 필드를 누른다. 3. 인풋 계열 채널( P.24)과 같은 순서로 설정한다. · MATRIX(MATRIX 센드 레벨) MIX 채널, STEREO(L/R) 채널 MONO(C), 채널에서 MATRIX 버스 1~8로 보내는 신호의 센드 레벨을 조절합니다. MATRIX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전송 위치는 페이더의 직전, [ON]키의 직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MIX 채널에서 STEREO/MONO 버스로 신호를 전송 STEREO 버스나 MONO 버스로 신호를 보내는 방법으로는 ST/MONO 모드와 LCR 모드의 2가지 모드가 있으며 채널마다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 모드의 특징은 인풋 계열 채널의 경우와 같습니다. 순서 1.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와 톱 패널의 [SEL]키를 사용하여, STEREO/MONO 버스로 신 호를 보내고 싶은 MIX 채널을 선택한다. 2.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PAN/BALANCE 필드의 노브를 눌러 선택하고 다시 한 번 노브 를 누른다. 3. TO STEREO/MONO 화면의 MODE 선택 버튼을 사용하여 채널마다 ST/MONO 모드 또는 LCR 모 드를 선택한다. 4. 톱 패널의 MASTER 섹션에서 STEREO 채널/MONO 채널의 [ON]키를 켜고 페이더를 적절한 위치 까지 올린다. 5.
③ 모드 선택 버튼 버튼을 누르면 모드가 ST/MONO와 LCR 사이에서 서로 바뀝니다. 현재 선택된 모드가 점등합니다. TO STEREO/MONO 화면 (CH1-32, CH33-64/ST IN(QL5), ST IN(QL1), OUTPUT) 해당하는 채널에서 STEREO 버스/MONO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상태가 표시됩니다. 또 선택되어 있는 PAN 또는 밸런스를 조절합니다. ④ ST 버튼/MONO 버튼 MODE 버튼이 ST/MONO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그 채널에서 STEREO 버스/MONO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전환 버튼입니다. ⑤ Σ 클립 인디케이터 채널 내의 어떤 위치에서 클립이 생겼을 때에 점등합니다.
NOTE · STEREO/MONO 채널은 MASTER 섹션의 [SEL]키를 사용하여 직접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 특정 MATRIX 버스로 보내는 신호를 모니터하려면 페이더 뱅크 섹션의 뱅크 셀렉트 키를 사용 하여 MIX/MATRIX 채널을 불러내고 채널 스트립 섹션의 [CUE]키를 누릅니다. MIX 채널, STEREO/MONO 채널에서 MATRIX 버스로 신호를 전송 MIX, STEREO/MONO의 각 채널에서 MATRIX 버스 1~8로 신호를 보내는 데에는 다음의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SELECTED CHANNEL 섹션을 사용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MATRIX 버스로의 센드 레벨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 을 사용하면, MIX, STEREO(L/R), MONO(C)의 임의의 채널에서 모든 MATRIX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센드 레벨을 조절합니다.
⑦ SEND ON/OFF 버튼 소스 채널마다 센드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⑧ SEND PAN/BALANCE 노브 전송 대상이 스테레오 일 때에 PAN 또는 밸런스를 설정합니다. 전송 대상이 모노일 경우나 FIX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소스가 모노인 경우에는 PAN이 됩니다. 소스가 스테레오인 경우에는 TO STEREO/MONO 화면의 PAN/BALANCE 모드에서 PAN이나 BALANCE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선택한 모드가 표시됩니다. ⑨ SEND LEVEL 노브 선택되어 있는 전송 대상으로의 센드 레벨이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페이더를 사용(SENDS ON FADER 모드) 톱 패널의 페이더를 사용하여 MIX 및 STEREO/MONO 채널에서 특정의 MATRIX 버스로 보내는 신호 를 설정합니다. 순서 1.
NOTE · SENDS ON FADER 버튼을 누르면 SENDS ON FADER 모드로 바뀝니다. 또 채널 스트립 섹션과 마스터 섹션의 페이더는 각각의 채널에서 현재 선택된 MIX/MATRIX 버스로의 센드 레벨 값으로 페이더가 이동합니다. 또 [ON]키도 SEND ON 상태로 바뀝니다. · 현재 선택되어 있는 MIX/MATRIX 버스 선택 버튼을 다시 한 번 누르면 대응하는 MIX/MATRIX 채널의 큐 모니터가 켜집니다. 선택한 MIX/MATRIX 버스로 보내는 신호를 모니터 하고 싶을 경우에는 이 방법이 편리합니다. · USER DEFINED 키에 SENDS ON FADER의 기능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특정 MIX/MATRIX 버스로의 SENDS ON FADER 모드로 재빨리 바꾸거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OUTPUT PORT 화면 채널 간의 지연을 보정(아웃풋 딜레이) 아웃풋 딜레이는 떨어진 위치에 설치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타이밍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⑥ DELAY 버튼 출력 포트 딜레이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PORT TO PORT 기능을 사용 ⑦ φ(페이즈) 버튼 출력 포트에 할당된 신호의 위상을 정상(흑색) 또는 역상(황색)으로 전환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의 화면 중앙에 있는 SYSTEM SETUP 필드의 OUTPUT PORT 버튼을 누른다. 3. OUTPUT PORT 화면에서 채널 선택 버튼을 누른다. 4. CH SELECT 화면에서 출력 포트를 선택한다. ⑧ GAIN 노브 출력 포트의 아웃풋 게인을 조절합니다. 설정 값을 변경하려면 화면의 노브를 눌러 선택하고 [TOUCH AND TURN] 노브로 조절합니다. 노브를 돌리는 것으로 1.0dB 단위로, 노브를 누르면 서 돌리는 것으로 0.1dB 단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의 설정 값은 노브의 바로 아래에 표 시됩니다. ⑨ 레벨 미터 출력 포트에 할당된 신호의 레벨이 표시됩니다.
CH SELECT 화면 ① 카테고리 선택 리스트 채널의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PORT TO PORT 기능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와 채널은 다음과 같 습니다. · INPUT IN .......................................... INPUT1~32*1 · SLOT1 IN ......................................... SLOT1(1)~SLOT1(16) · SLOT2 IN ......................................... SLOT2(1)~SLOT2(16) · PLAYBACK OUT ................................ PB OUT(L), PB OUT(R) *1. QL1: INPUT1~16 ② 채널 선택 버튼 현재의 카테고리 중에서 출력 포트로 할당하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③ CLOSE 버튼 화면을 닫습니다.
EQ/다이나믹스 NOTE · OVERVIEW 화면의 EQ 필드에서 EQ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OVERVIEW 화면에서 SELECTED CHANNEL 섹션의 EQ 노브를 사용하여 파라미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QL 시리즈의 인풋 계열 채널/아웃풋 계열 채널에는 4밴드 EQ와 다이나믹스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EQ는 모든 인풋 계열 채널/아웃풋 계열 채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EQ의 직전에는 어테뉴에이터가 탑재되어 있어 EQ의 GAIN 설정으로 신호가 클립 하지 않도록 입력 신호의 레벨을 감량(어테뉴에이트)할 수 있습니다. 또, 인풋 계열 채널에서는 EQ로부터 독립된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EQ의 설정은 전용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언제든지 저장/불러오기를 할 수 있습니다. 또 여러 악기 및 용도에 따른 프리셋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⑤ COMPARE 버튼 누르면 현재의 EQ 설정 값과 버퍼 메모리의 데이터가 교체됩니다. 버퍼 메모리에 유효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아무변화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⑰ EQ 파라미터 설정 노브 LOW, LOW MID, HIGH MID, HIGH 각 밴드의 Q, FREQUENCY, GAIN 파라미터가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⑥ 채널 아이콘/번호/채널 이름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아이콘, 번호, 이름이 표시됩니다. ⑱ HA HPF ON 인디케이터 외부 HA의 HPF 온/오프 상태가 표시됩니다. ⑦ LOW SHELVING ON/OFF 버튼 켜면 LOW 밴드가 셀빙 타입으로 바뀝니다. ⑲ FREQUENCY 외부 HA의 HPF 컷오프 주파수가 표시됩니다. ⑧ HPF ON/OFF 버튼(아웃풋 채널 전용) 켜면 LOW 밴드가 하이 패스 필터로 바뀝니다.
HPF/EQ 화면(8ch) HPF/EQ 화면(CH1-32, CH33-64/ST IN(QL5), ST IN(QL1), OUTPUT) 8채널 단위로 인풋 계열 채널 또는 아웃풋 계열 채널의 EQ 설정이 표시됩니다. SELECTED CHANNEL 섹션의 노브를 사용하여 EQ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해당하는 인풋 계열 채널(또는 아웃풋 계열 채널)을 동시에 표시합니다. 이 화면은 표시만 하는 것으로 파라미터 조절은 할 수 없습니다. 여러 EQ 설정을 빠르게 확인하거나 떨어진 위치의 채널에 EQ의 설정을 카피/페이스트 하고 싶을 때에 편리합니다. ① 채널 선택 버튼 조절하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버튼 내에 각 채널의 아이콘과 번호, 버튼의 아래에 이름이 표시됩니다. ② EQ 그래프 EQ나 필터의 파라미터 설정 값이 표시됩니다. 또, 그래프의 밑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EQ 타입이 표시됩니다. ③ EQ ON/OFF 버튼 EQ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다이나믹스의 사용 DYNAMICS1/2 화면(1ch) 인풋 계열 채널은 2계통, 아웃풋 계열 채널은 1계통의 다이나믹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이나믹스의 모든 파라미터를 채널별로 표시/변경할 수 있습니다. 특정 채널의 다이나믹스를 자세하게 설정하고 싶을 때에 편리합니다. 순서 1. 뱅크 셀렉트 키와 [SEL]키를 사용하여 다이나믹스를 조절하고 싶은 채널을 선택한다. 2.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DYNAMICS1/2 필드에 있는 스레숄드 노브를 누른다. 3. DYNAMICS1/2 화면의 1ch 탭을 누른다. 4. DYNAMICS ON 버튼을 누르고 DYNAMICS의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SELECTED CHANNEL VIEW 화면 DYNAMICS1/2 화면 NOTE · OVERVIEW 화면의 DYNAMICS1/2 필드에서 다이나믹스의 온/오프와 게인 리덕션의 양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⑦ 다이나믹스 타입 전환 버튼 다이나믹스의 타입을 바꿉니다. 선택할 수 있는 다이나믹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⑪ KEY IN SOURCE 선택 버튼 누르면 다이나믹스를 실행시키는 키인 신호를 선택하는 KEY IN SOURCE 화면이 표시됩니다. · INPUT 채널의 다이나믹스1 GATE, DUCKING, COMPRESSOR, EXPANDER · INPUT 채널의 다이나믹스 2 COMPRESSOR, COMPANDER-H, COMPANDER-S, DE-ESSER · OUTPUT 채널의 다이나믹스1 COMPRESSOR, EXPANDER, COMPANDER-H, COMPANDER-S ⑧ 다이나믹스 그래프 다이나믹스의 입출력 특성이 표시됩니다. ⑨ 다이나믹스 파라미터 설정 노브 다이나믹스의 파라미터 설정 값이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의 종류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타입에 따라 다릅니다.
③ 다이나믹스 그래프 다이나믹스의 파라미터 설정 값이 표시됩니다. 또, 그래프의 아래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다이나믹스의 타입이 표시됩니다. 그래프를 누르면 그 채널의 DYNAMICS 1ch 화면이 표시됩니다. DYNAMICS1/2 화면(8ch) 8채널 단위로 인풋계열 채널 또는 아웃풋계열 채널의 다이나믹스 설정이 표시됩니다. 좌우의 채널을 확인하면서 스레숄드 등 특정의 파라미터를 조절하고 싶을 때에 편리합니다. ④ THRESHOLD 노브 다이나믹스의 스레숄드 값이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⑤ DYNAMICS ON/OFF 버튼 다이나믹스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DYNAMICS1/2 화면(CH1-32, CH33-64/ST IN(QL5), ST IN(QL1), OUTPUT) 해당하는 채널의 다이나믹스에 관한 전체적인 설정을 합니다. ① 채널 선택 버튼 조절하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버튼 내에 채널의 아이콘과 번호, 버튼의 아래에 이름이 표시됩니다.
② 다이나믹스 파라미터 다이나믹스의 타입이나 각종 미터가 표시됩니다. 누르면 그 채널의 DYNAMICS 1ch 화면으로 바뀝니다. 다이나믹스의 타입이 DUCKING, EXPANDER, COMPANDER(H/-S), DE-ESSER일 때, 상부에는 타입 이름이 표시됩니다. 하부에는 다이나믹스 통과 후의 레벨을 표시하는 미터, GR 미터, 스레숄드의 설정 값(수치)이 표시됩니다. 또 타입이 GATE일 경우 이외에는 스레숄드의 설정 값을 표시하는 세로의 선이 표시됩니다. EQ/다이나믹스의 라이브러리를 사용 EQ/다이나믹스에서는 설정을 스토어(저장)/리콜(읽기)하는 전용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이나믹스 라이브러리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취급 설명서(별지)의 "라이브러리를 사용"을 참조해 주세요.
CHANNEL JOB 여기에서는 여러 채널의 레벨과 뮤트를 일괄적으로 조절하는 DCA 그룹/뮤트 그룹, 여러 채널의 파라미터를 연동시키는 채널 링크 및 채널 사이의 파라미터를 카피/이동하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DCA 그룹 QL 시리즈에서는 여러 채널의 레벨을 일괄적으로 조절하는 16개의 DCA 그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DCA 그룹은 인풋 계열 채널을 16개의 그룹에 등록하고 DCA 페이더를 사용하여 레벨을 일괄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같은 DCA 그룹에 속하는 인풋 계열 채널이라면, 레벨 차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1개의 DCA페이더로 레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드럼용 마이크의 그룹핑을 하는 경우 등에 편리합니다. DCA 그룹에 채널을 할당 FUNCTION ACCESS AREA DCA 그룹에 채널을 할당하려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DCA/MUTE GROUP ASSIGN MODE 화면 DCA 그룹별로 할당하는 채널을 설정합니다. ⑥ POST ONLY 버튼 DCA 그룹의 뮤트 대상을 POST만으로 설정합니다. ⑦ PRE & POST 버튼 DCA 그룹의 뮤트 대상을 PRE와 POST로 설정합니다. 이 설정을 한 DCA 그룹의 아래에는 PRE & POST 인디케이터가 표시됩니다. ⑧ CLOSE 버튼 화면을 닫습니다. ■ 특정 채널이 소속하는 DCA 그룹을 선택 순서 1. 인풋 계열 채널의 [SEL]키를 눌러 설정하는 채널을 선택한다. 2.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DCA 그룹 선택 버튼을 눌러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을 할당하는 DCA 그룹을 선택(여러 개 선택 가능)한다. ① CLEAR ALL 버튼 현재 선택되어 있는 DCA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채널을 모두 해제합니다.
■ 특정의 뮤트 그룹에 소속할 채널을 선택 DCA 그룹의 조절 DCA 페이더를 사용하여 DCA 그룹을 조절합니다. 순서 1. DCA 그룹에 인풋 계열 채널을 할당한다. 2. 톱 패널의 채널 스트립 섹션과 마스터 섹션의 페이더를 사용하여 사용하고 싶은 DCA 그룹에 속하 는 인풋 계열 채널끼리의 상대적인 밸런스를 조절한다. 3. 뱅크 셀렉트 키로 [ST IN/DCA] 키를 누른다. 4. 채널 스트립 섹션을 사용하여 DCA 그룹을 조절한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CH JOB 버튼을 누른다. 2. CH JOB 메뉴의 MUTE GROUP 버튼을 누른다. 3. DCA/MUTE GROUP ASSIGN MODE 화면의 뮤트 그룹 마스터 버튼을 사용하여 채널을 할당할 뮤 트 그룹을 선택한다. 4. 인풋 계열 채널/아웃풋계열 채널의 [SEL]키를 눌러 설정하는 채널을 선택(여러 개 선택 가능)한 다. ■ DCA 그룹의 각종 조절 DCA 그룹의 조절은 스트립 섹션을 사용합니다.
⑥ 뮤트 모든 뮤트 뮤트 DCA/MUTE GROUP ASSIGN MODE 화면 뮤트 그룹별로 할당하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세이프 버튼 뮤트 그룹 중에서 특정 채널을 어사인 설정에 관계없이 제외하고 싶을 때에 사용합니다. 그룹 어사인 표시 필드에는 뮤트 그룹에서 제외된 채널이 표시됩니다. 세이프에 대해서는 "뮤트 세이프 기능을 사용"((→ P.60)을 참조해 주세요. ⑦ 뮤트 그룹 마스터 버튼 뮤트 그룹마다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⑧ DIMMER LEVEL 노브 뮤트 그룹마다 디머 기능이 사용될 때의 레벨을 설정합니다. NOTE · QL1인 경우, 그 기종에 없는 페이더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 디머 레벨이 -∞dB 이외로 설정되어 있고, 그 뮤트 그룹 마스터 버튼이 ON일 때는, 버튼이 주황색이 됩니다. ⑨ CLOSE 버튼 화면을 닫습니다. ■ 특정의 채널이 소속하는 뮤트 그룹을 선택 순서 1. 인풋 계열 채널/아웃풋 계열 채널의 [SEL]키를 눌러 조절하는 채널을 선택한다. 2.
뮤트 그룹의 조절 뮤트 그룹을 조절하려면, MUTE GROUP ASSIGN 화면 내의 뮤트 그룹 마스터 버튼으로 조절할 수 있지만 USER DEFINED 키에 뮤트 그룹 1~8의 온/오프 기능을 할당하면 조절하기 편리합니다. NOTE USER SETUP 화면에서는 유저마다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한하거나 동작 환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에는 여러 페이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화면 아래쪽의 탭을 사용하여서 페이지를 선택합니다. ■ USER DEFINED 키에 뮤트 그룹을 할당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 좌측 상단의 USER SETUP 버튼을 누른다. 3. USER SETUP 화면의 USER DEFINED KEYS 탭을 누른다. 4. 뮤트의 온/오프 기능을 할당하고 싶은 USER DEFINED 키의 버튼을 누른다. 5.
NOTE 뮤트 세이프로 설정한 채널의 [SEL]키가 점등하고 그 채널에 해당하는 페이더의 색상이 초록 색으로 하이라이트 표시됩니다. 점등하고 있는[SEL]키를 다시 한 번 눌러 소등시키면 뮤트 세 이프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NOTE · 순서 4에서 파라미터를 선택한 것만으로는 리콜 세이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리콜 세이프의 온/오프를 바꾸려면 반드시 순서 5의 설정도 해주세요. · 버스의 설정은 리콜 세이프의 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항상 리콜한 SCENE이 재현됩니다. 이에 따라 링크 그룹에 포함된 특정의 채널 또는 스테레오로 설정된 2개의 버스 중 어느 한쪽 이 리콜 세이프로 설정되어 있으면 그 채널의 파라미터 설정이 다른 채널과 다른 경우가 있습 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다음번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를 조절하면 자동적으로 다시 링크됩니다. 채널 링크는 글로벌 파라미터에서 일괄적으로 세이프 할 수 있습니다.
② CH RECALL SAFE 필드 현재 리콜 세이프로 설정되어 있는 채널이 표시됩니다. ⑤ 채널 선택 버튼 리콜 세이프를 설정하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NOTE 이 버튼으로 설정하는 채널을 바꿔도 패널에서 선택되어 있는 채널은 연동하지 않습니다. 모든 파라미터가 리콜 세이프인 채널 ⑥ 설정 채널 표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아이콘/번호/컬러/이름이 표시됩니다. 일부의 파라미터만 리콜 세이프인 채널 리콜 세이프가 해제된 패널 ③ SET BY SEL 버튼 패널의 [SEL]키를 사용하여 리콜 세이프로 설정하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입니다. 이 버 튼을 켜고 리콜 세이프로 설정하고 싶은 채널의 [SEL]키를 누르면 리콜 세이프가 활성화됩니 다. 다시 한 번 더 같은 [SEL]키를 누르면 선택이 해제됩니다. ④ GLOBAL RECALL SAFE 표시 필드 채널 단위가 아닌 리콜 세이프 설정과 랙의 리콜 세이프 설정 상태를 인디케이터로 표시합니다.
· STEREO 채널인 경우 · MONO 채널인 경우 글로벌 파라미터의 리콜 세이프가 켜져 있는 경우에는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세이프 파라미터 선택 버튼이 다음과 같이 녹색으로 점등합니다. 버튼명 대응 파라미터 INSERTPATCH*2 DIRECTOUT MIXON MATRIXON DELAY NAME OUTPUTPATCH 인서트 패치의 설정 다이렉트 아웃의 설정 MIX 센드의 온/오프 MATRIX 센드의 온/오프 딜레이의 설정 채널 이름 아웃풋 패치의 설정 BAL BALANCE 파라미터의 설정 인풋 채널 MIX 채널 MATRI X 채널 ○*3 ○*3 ○ ○ ○ ○ ○ ○ ○ ○ ○ STEREO/ MONO 채널 ○ ○ ○ ○ ○ ○ ○ ○ (STEREO Only) *1. 초기 설정에서는 ALL이 켜져 있습니다. *2. 인서트1과 인서트2가 모두 설정됩니다. *3. ST IN 채널인 경우에는 없습니다.
채널 링크에 대해서 임의의 인풋 계열 채널을 링크 여기에서는 인풋 계열 채널의 특정 파라미터를 링크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채널 링크"란 인풋 계열 채널의 페이더 조절이나 EQ등의 파라미터를 연동(링크)시키는 기능입니다. 2개 이상의 인풋 계열 채널을 링크시키는 것을 "링크 그룹"이라고 부릅니다. 만들려는 링크 그룹의 수 및 각각의 링크 그룹에 포함시키는 인풋 계열 채널의 수나 조합에 제한은 없습니다. 또, 연동시키는 파라미터의 종류는 링크 그룹마다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연동하는 파라미터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헤드 앰프의 설정 · 디지털 게인의 설정 · HPF의 설정 NOTE 채널 링크의 설정은 SCENE의 일부로서 저장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CH JOB 버튼을 누른다. 2. CH JOB 메뉴의 CH LINK 버튼을 누른다. 3. 인풋 계열 채널에서 링크 소스의 [SEL]키를 누르면서 링크 대상의 [SEL]키를 눌러 채널을 링크 시킨다. 4.
③ LINK PARAMETERS 필드 필드 내의 버튼을 사용하여 연동시키는 파라미터를 선택합니다. 이것은 링크 그룹마다 설정할 수 있습니다. LINK PARAMETERS 필드에서 선택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CH LINK MODE 화면 링크시키는 채널을 표시하거나, 연동시키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할 수 있습니다.
④ SEND PARAMETER 필드 LINK PARAMETER 필드에서 MIX ON, MIX SEND, MATRIX ON, MATRIX SEND의 각 버튼을 켠 경우 이 필드의 버튼을 사용하여서 전송 대상이 되는 버스를 지정합니다. MIX1 - 16 MIX 버스 1-16 MTRX1 - 8 MATRIX 버스 1˜ 8 CH LINK SET 화면 CH LINK MODE 화면의 채널 표시 필드를 누르면 표시됩니다. 이 화면에서 채널을 링크시킬 수도 있 습니다. NOTE SEND PARAMETERS 필드에서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센드의 온/오프나 센드 레벨은 연동하지 않습니다. ■ 채널 링크의 각종 조절 · 3채널 이상의 링크 링크 소스의 [SEL]키를 누른 상태에서 링크 그룹에 포함하고 싶은 채널의 [SEL]키를 차례로 누릅니다. · 기존의 링크 그룹에 새로운 채널을 추가 그룹 내의 임의의 [SEL]키를 누르면서 그룹에 추가하는 [SEL]키를 누릅니다.
⑤ CLOSE 버튼 화면을 닫습니다. 채널의 카피/이동/초기화 NOTE QL5의 설정 데이터를 QL1에서 사용할 경우 그 기종에 없는 채널에 어사인 되어 있으면 버튼 위에 취소선이 표시됩니다. 여러 채널 사이에서 믹스 파라미터를 카피/이동하거나 특정 채널의 파라미터를 초기 설정 값으로 되돌리거나 할 수 있습니다. 채널의 파라미터를 복사 각 채널의 믹스 파라미터 설정 값을 다른 채널에 카피할 수 있습니다. 카피를 실행하면, 카피 대상의 파라미터에 덮어쓰기 됩니다. 카피를 할 수 있는 채널의 조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풋 계열 채널끼리 · STEREO L/R 채널과 MONO 채널 · MIX 채널끼리 · MATRIX 채널끼리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CH JOB 버튼을 누른다. 2. CH JOB 메뉴의 COPY 버튼을 누른다. 3. [SEL]키를 눌러 카피 소스의 채널을 선택한다. 4. 카피 대상 채널의 [SEL]키를 누른다(여러 개 선택 가능). 5.
CH COPY MODE 화면 채널 설정을 복사하는 작업을 합니다. 카피 소스가 MIX/MATRIX 채널인 경우 카피하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버튼이 표시됩니다. COPY TARGET 필드 · MODULE PARAMETERS 선택 채널의 모듈 파라미터 · WITH MIX SEND 선택 채널로의 SEND 파라미터 ② DESTINATION CHS 필드 카피 대상의 채널이 표시됩니다. 카피 소스를 설정하면 패널의 [SEL]키로 카피 대상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여러 개 선택 가능), 이 필드에 하이라이트 표시됩니다. 카피 대상으로 선택한 채널을 모두 해제하려면 DESTINATION CHs 필드를 누릅니다. NOTE QL1인 경우, 그 기종에 없는 페이더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③ COPY 버튼 카피를 실행하는 버튼입니다. 카피 소스와 카피 대상을 지정한 후 버튼을 누르면 카피가 실행됩니다. ① SOURCE CH 필드 카피 소스의 채널이 표시됩니다.
CH MOVE MODE 화면 채널 파라미터의 이동 인풋 계열 채널끼리, 특정 채널의 설정 내용을 다른 채널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동을 실행하면 이동 소스와 이동 대상의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의 번호가 1씩 앞뒤로 이동합니다. 이동 1 1 2 5 3 2 4 3 5 4 1개씩 이동합니다. 이동을 할 수 있는 채널의 조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PUT 채널끼리 · ST IN 채널끼리 ① SOURCE CH 필드 이동 소스의 채널이 표시됩니다. 이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 패널의 [SEL]키로 INPUT 채널을 1개 선택하면 이 필드에 대응하는 채널이 하이라이트 표시됩니다. 이동 소스로 선택한 채널을 다시 선택하려면 이 채널을 누릅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CH JOB 버튼을 누른다. 2. CH JOB 메뉴의 MOVE 버튼을 누른다. 3. [SEL] 버튼을 눌러 이동 소스의 채널을 선택한다. 4. 이동 대상 채널의 [SEL]키를 누른다. 5.
④ CLOSE 버튼 화면을 닫고 원래의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CH DEFAULT MODE 화면 파라미터를 초기화하는 작업을 합니다. 채널의 파라미터를 초기화 채널의 파라미터를 초기 설정 값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모든 채널에 대해서 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CH JOB 버튼을 누른다. 2. CH JOB 메뉴의 DEFAULT 버튼을 누른다. 3. 초기화하는 채널의 [SEL] 버튼을 눌러 점등시킨다(여러 개 선택 가능). 4. DEFAULT 버튼을 눌러 초기화를 실행한다. ① TARGET CHS 필드 초기화의 대상으로 선택된 채널이 표시됩니다. 이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 패널의 [SEL]키로 INPUT 채널을 선택하면(여러 개 선택 가능), 이 섹션에 표시됩니다. 다시 한 번 같은 [SEL] 키를 누르면 선택이 해제됩니다. NOTE · 채널이 선택된 상태에서 이 필드를 누르면 선택한 채널이 모두 해제됩니다.
씬(SCENE) 메모리 SCENE 필드 QL 시리즈에서는, 믹스 파라미터나 입출력 포트의 패칭(PATCHING) 등의 설정에 이름을 붙여 SCENE 으로서 메모리에 스토어(저장)/리콜(읽기)을 할 수 있습니다. 씬(SCENE)에는 000~300의 씬(SCENE) 번호가 붙여져 있습니다. 000은 믹스 파라미터를 초기 값으로 되돌리기 위한 읽기 전용의 씬(SCENE)이며 001~300은 읽고 쓰기가 가능한 씬(SCENE)입니다. SCENE 필드를 누르면 씬(SCENE)을 보다 상세히 표시/설정할 수 있는 SCENE LIST 화면이 표시됩니 다. 1개의 씬(SCENE)에는, 톱 패널의 페이더 위치나 [ON]키의 상태 이외에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가 포함됩니다. ① 씬(SCENE) 번호 현재 선택되어 있는 씬(SCENE) 번호가 표시됩니다. 새로운 씬 번호를 선택하면 번호가 점멸하며 현재 불러져 있는 씬 번호와 다르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씬(SCENE)의 스토어/리콜 SCENE STORE 화면 현재의 믹스 설정을 씬 메모리에 스토어/리콜하려면 SCENE LIST 화면을 사용합니다. SCENE의 저장 ■ SCENE LIST 화면을 사용 순서 1. 톱 패널의 각 조절 단자나 터치스크린의 버튼을 사용하여 믹스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2. FUNCTION ACCESS AREA의 SCENE 필드를 누른다. 3. [TOUCH AND TURN] 노브를 돌려 저장하는 씬 번호를 선택한다. 4. SCENE LIST 화면의 STORE 버튼을 누른다. 5. 필요에 따라 씬에 제목이나 코멘트를 입력한다. 6. SCENE STORE 화면 하부의 STORE 버튼을 누른다. 7. STORE CONFIRMATION 대화 상자의 OK 버튼을 눌러 스토어를 실행한다. NOTE · 저장하는 씬 번호는 여러 개 선택할 수 있습니다.
SCENE LIST 화면 ⑥ 커런트 씬(CURRENT SCENE) 목록에서 테두리가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씬(SCENE)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씬(SCENE) (커런트 씬(SCENE))입니다. 다른 행의 씬(SCENE) 번호를 누르면 그 씬(SCENE)이 커런트 씬의 위치에 오도록 리스트 전체가 위아래로 이동합니다. 씬의 각종 조절을 합니다. 이 화면은 SCENE 필드를 누르면 표시됩니다. ⑦ SCENE SELECT 노브 [TOUCH AND TURN] 노브로 씬을 선택합니다. 노브 아래의 숫자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씬(SCENE)의 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누르면서 돌리면 연속하는 여러 개의 씬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⑧ MULTI SELECT 버튼 이 버튼을 켜고 [TOUCH AND TURN] 노브를 돌리면 연속하는 여러 씬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⑨ LAST SCENE 버튼 마지막으로 리콜한 씬(SCENE)을 선택합니다.
씬(SCENE)의 리콜 USER DEFINED 키를 사용하여 리콜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CENE 필드를 누른다. 2. [TOUCH AND TURN] 노브를 돌려 리콜하는 씬 번호를 선택한다. 3. SCENE LIST 화면의 RECALL 버튼을 누른다. USER DEFINED 키를 사용하면 키를 1회 누르는 것만으로 선택한 씬(SCENE)을 직접 리콜하거나 씬(SCENE)을 차례로 보내거나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하려면 우선 USER DEFINED 키에 씬(SCENE)을 리콜하는 기능을 할당해야 합니다. USER DEFINED 키에 할당 가능한 리콜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RECALL 현재 읽혀져 있는 씬(SCENE)을 직접 리콜합니다. SCENE LIST 화면 · INC RECALL 현재 읽혀져 있는 씬(SCENE)의 다음 번호의 씬(SCENE)을 직접 리콜합니다.
씬(SCENE) 메모리의 편집 여기에서는 씬(SCENE) 메모리에 저장한 씬(SCENE)의 정렬, 제목 변경, 카피(복제)/페이스트(붙이기) 등의 편집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씬(SCENE) 메모리의 정렬 SETUP화면 USER SETUP 화면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CENE 필드를 누른다. 2. SCENE LIST 창 하부의 COMMENT 탭을 누릅니다. . 3. 톱 패널에 있는[TOUCH AND TURN] 노브를 돌려 씬을 선택한다. 4. 씬을 편집한다.
① SORT(정렬) 버튼 누른 장소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렬합니다. 씬(SCENE) 메모리의 편집에 대해서 씬(SCENE) 메모리에 저장한 씬(SCENE)은 다른 씬(SCENE) 번호에 카피/페이스트 하거나, 클리어(삭제) 하거나 할 수 있습니다. 씬(SCENE)의 편집은 SCENE LIST 화면의 상부에 있는 버튼으로 합니다. · NO. 씬(SCENE) 번호 순서로 정렬합니다. · TITLE 제목의 숫자/알파벳 순서로 정렬합니다. · COMMENT 코멘트의 숫자/알파벳 순서로 정렬합니다. ① COPY 버튼 누르면 선택한 씬(SCENE)이 버퍼 메모리에 카피됩니다. ② PASTE 버튼 누르면 버퍼 메모리의 씬(SCENE)이 선택한 씬(SCENE)에 PASTE(붙이기) 됩니다. · TIME STAMP 작성 날짜의 순서로 정렬합니다. ③ CLEAR 버튼 누르면 선택한 씬(SCENE)이 삭제됩니다. NOTE 같은 곳을 반복해서 누르면 목록의 정렬방법(오름차순과 내림차순)이 바뀝니다.
씬(SCENE)의 카피/페이스트 씬(SCENE)의 컷(CUT) 임의의 씬(SCENE)을 버퍼 메모리에 카피하고 다른 씬(SCENE) 번호에 페이스트(붙이기) 합니다. 여기에서는 씬(SCENE)을 컷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씬(SCENE)을 컷하면 그 이후의 씬(SCENE) 번호가 앞으로 와서 그것을 채웁니다. 또 컷(CUT)한 씬(SCENE)은 임의의 위치에 페이스트/인서트 할 수 있습니다. 씬을 컷하는 경우에는 씬 번호순으로 씬 리스트를 정렬해 주세요. NOTE 글로벌 페이스트 기능을 이용하면, 커런트 씬(SCENE)의 임의의 채널/파라미터 설정 내용을 카피하여 메모리 내의 임의의 씬(SCENE) 데이터(여러 개 선택 가능)에 페이스트 할 수도 있습니다(→ P.78).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CENE 필드를 누른다. 2. [TOUCH AND TURN] 노브를 돌려 카피하는 씬(SCENE) 번호를 선택하고 COPY 버튼을 누른다. 3.
글로벌 페이스트 기능의 사용 GLOBAL PASTE 화면 글로벌 페이스트는 커런트 씬(SCENE)의 임의의 채널/파라미터의 설정 내용을 메모리의 씬(SCENE) 데이터(여러 개 선택 가능)에 카피 & 페이스트 하는 기능입니다. 커런트 씬(SCENE)의 변경 내용을 저장된 여러 씬(SCENE)에 일괄적으로 반영시키고 싶을 때에 편리합니다. NOTE 유저 레벨에서 SCENE LIST의 STORE/SORT가 켜져 있는 유저만이 글로벌 페이스트 기능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CENE 필드를 누른다. 2. SCENE LIST 화면의 GLOBAL PASTE 버튼을 누른다. 3. GLOBAL PASTE 화면의 탭을 사용하여 카피할 항목을 고른다. 4. 톱 패널의 [SEL]키를 사용하여 카피 소스가 되는 채널을 선택하고 화면상의 버튼을 눌러 파라미 터를 선택한다. 5. [TOUCH AND TURN] 노브로 페이스트 대상이 되는 씬의 범위를 선택한다. 6.
DYNA2 MIX SEND MATRIX SEND FADER CH ON INSERT*1 INSERT PATCH*1 DIRECT OUT MIX ON MATRIX ON TO STEREO MONO TO *1. 인서트1과 인서트2의 · PATCH/NAME 탭 선택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이나믹스2의 설정(KEY IN SOURCE를 포함) MIX 버스로의 센드 레벨, PAN, PRE/POST MATRIX 버스로의 센드 레벨, PAN, PRE/POST 페이더의 레벨 [ON]키의 온/오프 상태 인서트의 온/오프, 인서트 포인트 인서트 인/아웃의 패치, 인서트 헤드 앰프의 설정 다이렉트 아웃의 온/오프 레벨, 다이렉트 아웃 포인트, 패치 MIX 버스로의 센드 온/오프 MATRIX 버스로의 센드 온/오프 TO ST/TO LCR의 온/오프, PAN/밸런스의 설정 MONO의 온/오프 파라미터를 한꺼번에 선택합니다.
포커스(FOCUS) 리콜 기능의 사용 SCENE LIST 화면 "포커스(FOCUS) 리콜 기능"이란 씬(SCENE)을 리콜 했을 때에 그 씬의 파라미터를 부분적으로 리콜하는 기능입니다. 씬(SCENE)마다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씬(SCENE)의 인풋 계열 채널 설정만을 리콜하려는 경우 등에 편리합니다. NOTE 포커스 리콜 기능과는 반대로 특정 채널/파라미터를 리콜에서 제외하는 "리콜 세이프" 기능도 있습니다. 단, 포커스 리콜 기능은 씬(SCENE)마다 설정할 수 있는 것에 비해 리콜 세이프 기능의 설정은 모든 씬(SCENE)에 공통으로 적용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CENE 필드를 누른다. 2. SCENE LIST 화면 하부의 FOCUS 탭을 누른다. 3. SCENE LIST 화면에서 설정하고 싶은 씬의 SET 버튼을 누른다. 4. "리콜 세이프 기능의 사용"(→ P.61)의 순서3 이후와 같이 설정한다. 5.
FOCUS RECALL 화면 리콜하는 파라미터를 씬마다 설정합니다. ③ SET BY SEL 버튼 이 버튼을 켜면 [SEL]키로 채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채널을 선택에 추가하려면 이 버튼을 켜고 추가하는 채널의 [SEL]키를 누릅니다. 다시 한 번 같은[SEL]키를 누르면 선택이 해제됩니다. NOTE QL1인 경우 그 기종에 없는 채널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④ FOCUS PARAMETER 표시 필드 모든 씬에서 리콜의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 및 랙이 표시됩니다. 사용 방법과 내용은 RECALL SAFE MODE 화면(→ P.61)과 같습니다. ⑤ 채널 선택 버튼 포커스 리콜을 설정하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NOTE 이 버튼으로 설정하는 채널을 바꿔도 패널에서 선택되어 있는 채널은 연동하지 않습니다. ⑥ 설정 채널 표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아이콘/번호/컬러/이름이 표시됩니다.
SCENE LIST 화면(FADE TIME 필드) 페이드 기능의 사용 페이드 기능이란 씬(SCENE)을 리콜 했을 때에, 임의의 채널/DCA 그룹의 페이더가 새로운 값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 시간을 들여 연속 변화시키는 기능입니다. 페이드 기능은 씬(SCENE)마다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CENE 필드를 누른다. 2. SCENE LIST 화면 하부의 FADE TIME 탭을 누른다. 3. SCENE LIST 화면에서 설정하고 싶은 씬의 SET 버튼을 누른다. 4. 채널/DCA 그룹의 [SEL]키를 눌러 페이드 효과를 추가하는 채널/DCA 그룹을 선택한다(여러 개 선 택 가능). 5.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페이드 타임을 조절한다. 6. OK 버튼을 눌러 FADE TIME 화면을 닫는다. 7. SCENE LIST 화면의 FADE 버튼을 눌러 페이드 기능을 켠다. 8. 페이드 기능을 켠 씬을 리콜한다.
FADE TIME 화면 씬 리콜에 연동하여 외부 기기에 컨트롤 신호를 출력(GPI OUT) 페이드 효과를 추가하는 채널을 선택하거나 페이드 타임을 조절하거나 할 수 있습니다. SCENE LIST 화면의 FADE TIME 필드에 있는 SET 버튼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어떤 씬을 리콜했을 때 QL 시리즈의 GPI 단자에 접속한 외부 기기에 대해서 컨트롤 신호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조절합니다. NOTE GPI OUT의 설정에 대해서는 "GPI OUT의 사용"(→ P.204)을 참조하십시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CENE 필드를 누른다. 2. SCENE LIST 화면 하부의 GPI OUT 탭을 누른다. 3. GPI OUT의 각 포트로 출력하고 싶은 컨트롤 신호를 씬마다 설정한다. 4. GPI OUT을 출력하는 씬을 리콜한다. ① 채널 표시 필드 페이드 효과를 주는 채널/DCA 그룹을 하이라이트 표시합니다.
SCENE LIST 화면(GPI OUT 필드) 씬 리콜에 연동하여 오디오 파일을 재생 어떤 씬을 리콜했을 때, USB 메모리에 있는 특정 오디오 파일이 재생되도록 링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특정 상황에서 효과음이나 BGM을 자동으로 재생하고 싶을 때에 편리합니다. NOTE · 재생하는 오디오 파일은 YPE 폴더 안의 SONGS 폴더에 저장해 주세요. 루트 디렉터리 및 다 른 폴더에 저장하면 지정할 수 없습니다. 또한 재생을 실행하면 TITLE LIST 화면의 패스 (PATH)는 \YPE\SONGS\로 이동합니다. · 녹음 중이나 녹음 대기 중에는 재생할 수 없습니다. · 재생 모드의 설정에 관계없이 지정된 오디오 파일은 1번만 재생됩니다. · 지정한 파일은 파일 이름 8문자 + 확장자 3문자로 식별됩니다. 지정 후에 파일명을 변경하거 나 파일의 삭제와 복사를 반복하거나 하면 지정한 파일을 가끔 인식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NOTE · 씬을 리콜하고 오프셋 타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FUNCTION ACCESS AREA에 카운트다운이 표시됩니다. SONG SELECT 화면 씬에 링크시키는 오디오 파일과 오프셋 타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은 SONG SELECT 버튼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 씬 리콜 시에 재생 중인 다른 곡이 있는 경우, 오프셋 타임 설정에 관계없이 현재 재생중인 곡은 씬 리콜 시에 정지합니다. SCENE LIST 화면(PLAYBACK LINK 필드) ① 계층 이동 버튼 현재의 계층에서 하나 위의 계층으로 이동합니다. NOTE \YPE\SONGS\보다 상위 계층으로는 이동할 수 없습니다. ① PLAY 버튼 플레이백 링크 기능의 온/오프를 씬(SCENE)마다 설정합니다. ② 패스 표시 현재의 계층이 표시됩니다. ② 송 선택 버튼 누르면 송의 선택과 오프셋 타임(씬(SCENE)을 리콜한 다음 재생을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의 설정을 하는 SONG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⑦ OFFSET 노브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리콜 후 오디오 파일의 재생까지 걸리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마찬가지로 커런트 씬의 변경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 및 외부로 통지가 전달됩니다. · QL Editor · StageMix ⑧ 스크롤 장치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스크롤 합니다. · MIDI Tx · GPI OUT PREVIEW 모드의 사용 PREVIEW 모드란 커런트 씬의 신호 처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 된 씬의 설정을 확인/ 변경하기 위한 모드입니다. 이 모드에서 씬을 리콜하면 새로 리콜 한 씬의 설정 값이 QL 시리즈의 패 널에 표시되지만, 커런트 씬의 신호 처리는 리콜 이전 상태를 유지합니다. 또한 설정을 수정하여 씬을 신규 / 덮어 쓰기로 저장해도 커런트 씬의 신호 처리는 리콜 전의 상태릉 유지합니다. 실전에서 다음 번 리콜하려는 씬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일부를 수정 한 후 저장하고 싶은 경우 등에 유용합니다.
· MONITOR SELECT(모니터 선택) 모니터 소스를 선택합니다. 모니터/큐 모니터 기능이란 니어 필드 모니터나 헤드폰 등을 사용하여 각종 아웃풋을 모니터하는 기능입니다. QL 시리즈의 프런트 패널 아래에는 모니터용 PHONES 아웃 단자가 장착되어 있어 모니터 소스로서 선택한 신호를 항상 모니터할 수 있습니다. 또, MONITOR OUT L/R/C 채널을 임의의 출력 단자에 할당하면 같은 신호를 외부 스피커에서도 모니터 할 수 있습니다. · METER(미터) 모니터 신호 및 큐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표시합니다. · DIMMER(디머) 모니터/큐 신호를 일정 레벨만큼 감쇠시킵니다. 모니터 소스로서 선택할 수 있는 신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STEREO 채널의 출력 신호 · MONITOR LEVEL(모니터 레벨) MONITOR OUT L/R/C 채널의 출력 레벨을 조절합니다. PHONES LEVEL LINK가 ON인 경우 PHONES 아웃 단자의 레벨에도 영향을 줍니다.
모니터 기능의 이용 여기에서는 임의의 모니터 소스를 선택하고 PHONES OUT 단자 또는 외부의 모니터 스피커로 모니터 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MONITOR 화면 MONITOR 화면의 MONITOR 필드에서는 모니터의 설정 상황을 확인하거나, 온/오프를 바꿀 수 있습니다 순서 1. 리어 패널의 OMNI OUT 단자, 2TR OUT DIGITAL 단자 등에 모니터 시스템을 연결한다. 헤드폰으 로 모니터하는 경우에는 프런트 패널 아래의 PHONES OUT 단자에 헤드폰을 연결한다. 2. FUNCTION ACCESS AREA MONITOR 버튼을 누른다. 3. MONITOR 화면의 MONITOR 표시 버튼 또는 미터 필드를 누른다. 4. MONITOR 화면의 소스 선택 버튼을 사용하여 모니터 소스를 선택한다. 5. 미터 필드의 MONITOR OUT PATCH 버튼(L/R/C) 중 하나를 눌러 모니터 신호 L, R, C의 출력이 되는 포트를 지정 (여러 개 선택 가능). 6.
④ MONITOR FADER 필드 모니터 레벨을 조절하는 모니터 페이더의 설정/표시를 합니다. MONITOR 화면 모니터의 상세설정을 합니다. 이 화면은 MONITOR 화면의 MONITOR 표시 버튼 또는 미터 필드를 누 르면 표시됩니다. · MONITOR FADER LEVEL 노브 모니터 페이더의 레벨을 조절합니다. · FADER ASSIGN 표시 현재 모니터 페이더에 할당되어 있는 페이더의 종류가 표시됩니다. 표시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할당 없음 · MASTER A ..........................마스터 A만 · MASTER A+..........................마스터 A, 마스터 B, 커스텀 페이더 뱅크 · MASTER B............................마스터 B만 · MASTER B+..........................
② DIMMER 필드 모니터 레벨을 일시적으로 감쇠시키는 디머 기능에 관한 설정을 합니다. ⑧ MONITOR FADER 필드 모니터 레벨을 조절하는 모니터 페이더의 설정/표시를 합니다. · DIMMER 노브 디머 기능이 활성화일 경우의 모니터 레벨의 감쇠를 조절합니다. · MONITOR FADER LEVEL 노브 모니터 페이더의 레벨을 조절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 DIMMER ON/OFF 버튼 디머 기능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이 버튼을 켜면 모니터 신호가 감쇠합니다. · FADER ASSIGN 표시 현재 모니터 페이더를 담당하고 있는 페이더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각각의 표시가 나타내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③ TALKBACK DIMMER 필드 TALKBACK을 켰을 때 모니터 신호를 일시적으로 감쇠시키는 디머 기능의 설정을 합니다.
⑩ 미터 필드 NOTE ASSIGN 필드에서 선택할 수 있는 모니터 소스는 최대 8계통입니다. 8계통의 모니터 소스를 선 택하면 그 이상은 선택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우선 불필요한 소스의 버튼은 꺼주세요. · 미터 모니터의 L/R/C채널의 출력 레벨을 표시합니다. 큐 기능의 이용 큐의 그룹에 대해 QL 시리즈의 큐 신호는 다음의 4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 INPUT CUE 그룹 인풋 계열 채널의 큐 신호입니다. 이 그룹의 큐를 활성화 하려면 INPUT 채널의 [CUE]키를 눌 러 켭니다. INPUT 채널 [CUE]키 DANTE1~64*1 OMNI1~16*2 DIGI OUT L/R SLOT1-1~SLOT2-16 오디오 네트워크로의 출력 채널1~64*1 OMNI OUT 단자1~16*2 본체의 DIGITAL OUT 단자 슬롯 1~2에 삽입된 각 I/O 카드의 출력 채널 1~16 ② DCA CUE 그룹 DCA 그룹의 큐 신호입니다.
③ OUTPUT CUE 그룹 아웃풋계열 채널의 큐 신호입니다. 이 그룹의 큐를 활성화 하려면 아웃풋 계열 채널 중 어느 하 나의 CUE] 키를 누릅니다. 큐 기능의 조절 여기에서는 임의의 채널/DCA 그룹의 [CUE]키를 사용하여 큐 신호를 모니터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NOTE MONITOR 팝업 화면의 CUE INTERRUPTION을 끄면 접속한 모니터 스피커 등에 큐 신호가 보내지지 않으므로 주의해 주세요. 단, 프런트 패널 아래의 PHONES 아웃 단자에서는 모니터의 온/오프 설정과는 관계없이 항상 큐 신호가 출력됩니다. 모니터 기능의 설정에 대해서는 "모니터 기능의 이용"(→ P.88)을 참조하십시오. 아웃풋 계열 채널의 [CUE]키 MIX/MATRIX 채널의 [CUE]키 ④ 그 밖의 CUE 그룹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버튼을 사용하여 설정하는 큐 신호입니다.
NOTE · 모니터 아웃이나 PHONES 아웃 단자로는, CUE OUTPUT 버튼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CUE 신호가 보내집니다. 단, CUE INTERRUPTION을 끄면 모니터 아웃으로 큐 신호를 보내지 않게 됩니다. PHONES 아웃 단자로는 CUE INTERRUPTION의 설정에 관계없이 항상 큐 신호를 보냅니다. MONITOR 화면 MONITOR 화면의 CUE 필드에서는 큐의 설정 상황을 확인하거나 큐의 온/오프를 전환하거나 할 수 있 습니다. · SENDS ON FADER 화면의 MIX/MATRIX 버스 선택 버튼을 사용할 때, 선택한 버튼을 다시 한 번 누르면 대응하는 MIX/MATRIX 채널의 큐가 활성화 됩니다(→ P.36). · 큐의 조절과 채널 선택의 조절을 연동시키고 싶으면 USER SETUP 화면의 PREFERENCE 탭 에서[CUE]→[SEL] LINK를 켜주세요(→ P.168).
⑥ CLEAR CUE 버튼 큐를 일괄적으로 해제합니다. MIX CUE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는 선택되어 있는 채널이 모두 해제됩니다. ③ DCA CUE 필드 DCA의 큐에 관한 설정을 합니다. · 큐 포인트 선택 버튼 DCA의 큐 포인트를 PRE PAN(PAN의 직전) 또는 POST PAN(PAN의 직후) 중에서 선택합니다. CUE 화면 큐의 상세설정을 합니다. 이 화면은 INPUT/DCA/OUTPUT CUE 필드를 누르면 표시됩니다. · DCA TRIM 장치 DCA를 큐(CUE) 할 때의 모니터 레벨을 표시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 UNITY 버튼 켜면, 각각의 DCA 그룹의 마스터 레벨을 0dB(UNITY GAIN)로 설정했을 때와 같은 음량으로 들어봅니다. ④ OUTPUT CUE 필드 아웃풋 채널의 큐에 관한 설정을 합니다.
⑤ 미터 필드 · 미터 큐의 L/R 채널 출력 레벨이 표시됩니다. · CUE OUT PATCH 버튼 누르면 큐 출력의 L/R 채널에 패치하는 출력 포트를 선택하는 PORT SELECT 팝업 화면이 표시 됩니다. DANTE1~64 *1 오디오 네트워크로의 출력 채널 1~64 *1 OMNI1~16 *2 OMNI OUT 단자 1~16 *2 DIGI OUT L/R 본체의 DIGITAL OUT 단자 SLOT1-1~SLOT2-16 슬롯 1~2에 삽입된 각 I/O 카드의 출력 채널 1~16 *1. QL1:1~32 *2. QL1:1~8 ⑥ CUE OUTPUT 버튼 큐 출력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버튼입니다. ⑦ CUE LEVEL 노브 큐 아웃의 출력 레벨이 표시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⑧ ACTIVE CUE 인디케이터 현재 모니터하고 있는 큐의 종류를 인디케이터(인풋: 파랑, DCA: 노랑, 아웃풋: 오렌지색)의 점 등으로 표시합니다.
토크 백/오실레이터 토크 백의 이용 임의의 입력 단자에 입력된 신호를 임의의 버스로 보냅니다. 토크 백이란 TALKBACK 단자에 접속된 마이크의 신호를 임의의 버스로 내보내는 기능입니다. 주로 오퍼레이터의 지시를 연주자나 스탭에게 전달하는 목적으로 이용합니다. 또 QL 시리즈에는 사인파나 핑크 노이즈를 임의의 버스로 출력하는 오실레이터가 내장되어 있어 외부 기기의 점검이나 공연장의 특성을 테스트하는데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토크 백/오실레이터 신호의 흐름은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 MONITOR 버튼을 누른다. 2. MONITOR 화면의 TALKBACK 표시 버튼 또는 ASSIGN 필드를 누른다. 3. 리어 패널의 INPUT 단자에 마이크를 접속한다. 4. TALKBACK 화면에 있는 ASSIGN 필드의 버튼을 눌러 토크 백 신호의 전송 버스를 선택(여러 개 선택 가능)한다. 5. 토크 백을 활성화 하려면 TALKBACK ON 버튼을 눌러 켠다. 6.
MONITOR 화면 TALKBACK 화면 MONITOR 화면의 TALKBACK 필드에서는 토크 백의 설정 상황을 확인하거나 토크 백의 온/오프를 바 꾸거나 할 수 있습니다. TALKBACK 팝업 표시 버튼 또는 ASSIGN 필드를 눌러 TALKBACK 화면을 표시합니다. 이 화면에서는 토크 백의 상세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① INPUT TO TALKBACK 필드 입력 포트에 접속된 마이크를 토크 백에 입력합니다. · INPUT TO TALKBACK PATCH 버튼 누르면 입력 포트를 선택하는 PORT SELECT 팝업 화면이 표시됩니다. 선택한 포트 이름이 버튼 안에 표시됩니다. ① TALKBACK 표시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토크 백의 상세설정을 하는 TALKBACK 화면이 표시됩니다. · +48V 버튼 선택한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팬텀 전원(+48V)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② TALKBACK ON 버튼 토크 백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MONITOR 화면 ③ ASSIGN 필드 MONITOR 화면의 OSCILLATOR 필드에서는 오실레이터의 설정 상황을 확인하거나 오실레이터의 온/오 프를 바꾸거나 할 수 있습니다. · 채널 선택 버튼 토크 백 신호를 보내는 채널(버스)을 선택합니다. · CLEAR ALL 버튼 누르면 모든 선택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오실레이터의 이용 내장 오실레이터의 사인파와 핑크 노이즈를 임의의 버스로 출력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 MONITOR 버튼을 누른다. 2. MONITOR 화면의 OSCILLATOR 표시 버튼 또는 ASSIGN 필드를 누른다. 3. OSCILLATOR 화면의 OSCILLATOR MODE 필드에 있는 버튼을 눌러 출력하고 싶은 신호의 종류를 선택한다. 4. 파라미터 필드의 노브 및 버튼을 사용하여 오실레이터의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5.
⑤ OSCILLATOR OUTPUT 버튼 오실레이터 출력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 FREQ 노브................. 사인파의 주파수를 표시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모드=PINK NOISE OSCILLATOR 화면 오실레이터의 상세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은 MONITOR 화면의 OSCILLATOR 표시 버튼을 누 르면 표시됩니다. · LEVEL 노브................ 핑크 노이즈의 출력 레벨을 표시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 HPF노브.................... 핑크 노이즈를 가공하는 HPF의 컷 오프 주파수를 표시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노브 밑에 있는 버튼으로 HPF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 LPF노브..................... 핑크 노이즈를 가공하는 LPF의 컷오프 주파수를 표시합니다.
③ ASSIGN 섹션 오실레이터 신호를 보내는 채널을 선택합니다. 밑에 나열된 3개의 탭으로 표시하는 채널의 종류를 선택하고 버튼을 눌러 각각의 채널을 지정합니다(여러 개 선택 가능). 선택된 탭은 "ASSIGNED"의 인디케이터가 녹색으로 점등합니다. CLEAR ALL 버튼을 누르면 모든 선택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NOTE QL1인 경우 그 기종에 없는 채널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④ 미터 섹션 오실레이터의 출력 레벨이 표시됩니다. ⑤ OSCILLATOR OUTPUT 버튼 오실레이터 출력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켜면 오실레이터의 신호가 ASSIGN 섹션에서 선택한 인풋 채널과 버스로 보내집니다. 다시 한 번 버튼을 누르면 오실레이터가 꺼집니다.
미터 NOTE QL1인 경우, 그 기종에 없는 채널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여기에서는, 모든 채널의 입출력 레벨미터를 표시하는 METER 화면에 대한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 습니다. OUTPUT METER 화면 모든 아웃풋 채널의 미터와 페이더가 일람 표시됩니다. METER 화면의 사용 METER 화면을 불러오면 모든 채널의 입출력 레벨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레벨미터의 미터 포인트(레벨 을 검출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METER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FUNCTION ACCESS AREA의 METER 필드를 누릅니다. INPUT METER 화면 모든 인풋채널의 미터와 페이더가 일람 표시됩니다. INPUT/OUTPUT 탭 INPUT METER 화면과 OUTPUT METER 화면을 전환합니다.
페이더 레벨 / 미터 표시 채널의 미터와 페이더가 표시됩니다. METERING POINT 필드 레벨을 검출하는 미터 포인트를 다음 중에서 선택합니다. 레벨미터의 미터 포인트는 인풋계열 채널과 아웃풋계열 채널에서 모두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INPUT METER의 경우 ・PRE GC......................... GAIN COMPENSATION의 직전 ・PRE D.GAIN................... DIGITAL GAIN의 직전 ・POST D. GAIN.................DIGITAL GAIN의 직후 ・PRE FADER.................... 페이더의 전(INPUT DELAY 직전) ・POST ON....................... [ON]키의 직후 ■ OUTPUT METER의 경우 ・PRE EQ......................... .EQ의 직전 ① 채널 번호 채널의 번호가 표시됩니다. ・PRE FADER.............
그래픽 EQ/이펙트/PREMIUM RACK NOTE QL 시리즈에서는, GEQ/이펙트/PREMIUM RACK 전용 버추얼 이외에 I/O 디바이스(Rio 시리즈 등)나 외부 헤드앰프(야마하 AD8HR, SB168-ES 등)를 장착하기 위한 랙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I/O 디바이스와 외부 헤드앰프’(→P.127)를 참조해주세요. 여기에서는 내장 그래픽 EQ와 이펙트, PREMIUM RACK의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버추얼 랙에 대해서 QL 시리즈에서는 내장 그래픽 EQ(이하 ‘GEQ’)와 이펙트/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신호를 가공 할 수 있 습니다. GEQ는 31밴드(대역)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31BandGEQ와 31밴드 중 임의의 15밴드를 조절할 수 있는 Flex15GEQ의 두 가지 타입이 이용 가능합니다. 16ch Automixer나 8ch Automix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이펙트에서는 54종류의 이펙트 타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➃ INPUT PATCH 버튼 타입이 이펙트인 경우에는 L/R의 2개 버튼, Flex15GEQ 또는 8Band PEQ인 경우에는 A/B 2개의 버튼, 31BandGEQ인 경우에는 1개의 버튼만이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랙의 인풋에 패치하는 신호경로를 선택하는 CH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VIRTUAL RACK 화면 ① 랙 탭 화면에 표시할 랙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GEQ (GEQ 랙), EFFECT(이펙트 랙), PREMIUM (프리미엄 랙)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 가능한 카테고리와 채널은 다음과 같습니다. ・MIX/MATRIX...........................................MIX1-16、MATRIX1-8*1 ② 랙 마운트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랙에 장착하는 타입을 선택하는 RACK MOUNTER 화면이 표시됩니다. ・ST/MONO..............................................
⑤ OUTPUT PATCH 버튼 타입이 이펙트인 경우에는 L/R의 2개 버튼, Flex15GEQ인 경우에는 A/B의 2개의 버튼, 31BandGEQ인 경우에는 1개의 버튼만이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랙의 아웃풋에 패치하는 신호경로를 선택하는 CH SELECT화면이 표시됩니다. ⑥ 랙 컨테이너 랙의 설정내용이 표시됩니다. RACK MOUNTER 화면에서 선택한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바뀝 니다. ・ 아무것도 장착 되어있지 않은 경우 누르면, 랙에 장착 하는 GEQ/이펙트를 선택하는 RACK MOUNTER 화면이 표시됩니다. ・ 31BandGEQ의 경우 각 밴드의 설정, GEQ의 온/오프, 입출력의 레벨이 표시됩니다. 누르면, GEQ의 설정을 전환하는 EQ EDIT 화면이 표시됩니다. 선택 가능한 카테고리와 채널은 다음과 같습니다. ・ CH1-32...................................................
➃ CANCEL 버튼 RACK MOUNTER 화면에서 변경한 것을 취소하고 화면을 닫습니다. ⑤ OK 버튼 RACK MOUNTER 화면에서 변경한 것을 확정하고 화면을 닫습니다. ⑦ 링크 인디케이터 31BandGEQ의 홀수-짝수 번호의 랙끼리 또는 Flex15GEQ의 A/B가 링크되어있을 때에 표시됩니다. RACK MOUNTER 화면 랙에 GEQ 또는 이펙트를 장착합니다. 이 화면은 VIRTUAL RACK 화면의 랙 장착 버튼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NOTE 랙에 장착되어있던 GEQ/이펙트를 해제하고 RACK MOUNTER 화면을 닫으면 그 GEQ/이펙트 의 파라미터 변경은 모두 파기되오니 주의해 주세요. 화면을 닫기 전이라면 다시 같은 GEQ/ 이펙트를 장착하면 복귀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 EQ의 사용 QL 시리즈의 GEQ는 GEQ1-8랙에 장착 하고 MIX/MATRIX 채널, STEREO/MONO 채널의 인서트 아웃 /인에 패치해서 이용합니다.
GEQ를 채널에 인서트 여기서는, 선택한 채널에 GEQ를 인서트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① 랙 변환 탭 GEQ1~8, EFFECT1~8을 전환합니다. Flex15GEQ를 장착한 랙의 탭은 xA, xB와 같이 2개로 분할됩니다(x는 랙 번호). 순서 1. ‘버추얼 랙의 사용’(→P.103)의 순서 1~8을 참고하여 랙에 GEQ를 장착하고 랙의 입력/출력을 설 정한다. 2. GEQ 필드의 랙 또는 EFFECT 필드의 랙 중에서 GEQ가 장착된 랙 컨테이너를 누른다. 3. 스테레오 소스를 이용할 때에는 GEQ LINK 버튼을 눌러 2대의 GEQ를 링크시킨다. 4. GEQ ON/OFF 버튼을 눌러 GEQ를 켠다. NOTE 스테레오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Flex15GEQ를 장착 하던가 홀수, 짝수 순서의 번호로 나란히 있는 2개의 랙에 31Band GEQ를 장착합니다. 이렇게 설정해 두면 나중에 2대의 GEQ를 링크할 수 있습니다.
31BandGEQ의 조절 ① EQ 그래프 31BandGEQ의 현재 대략적인 특성이 표시됩니다. 채널 스트립 섹션의 페이더 1~8과 [ON]키를 사용하여 31BandGEQ를 조절합니다. ② 페이더 31BandGEQ의 각 대역의 부스트/컷 양을 페이더로 표시합니다. 설정 값은 아래의 수치 박스에 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GEQ 필드 또는 EFFECT 필드의 랙 중에서 31BandGEQ가 장착된 랙의 랙 컨테이너를 누른다. 2. GEQ ON/OFF 버튼을 눌러 31BandGEQ를 켠다. 3. FADER ASSIGN 필드의 각 버튼을 눌러서 조절하는 대역(범위)을 선택한다. 4. 채널 스트립 섹션의 페이더로 선택한 대역을 조절한다. 5. 조절이 끝났으면 FADER ASSIGN 필드의 버튼을 끈다. ③ FADER ASSIGN 필드 채널 스트립 섹션의 페이더를 사용하여 조절하는 대역을 선택합니다.
AUTO MIXER에 대해서 순서 1. Flex15GEQ가 장착 된 랙의 랙 컨테이너를 누른다. 2. GEQ ON/OFF 버튼을 눌러 Flex15GEQ를 켠다. 3. FADER ASSIGN 필드의 각 버튼을 눌러 조절하는 대역을 선택한다. 4. 채널 스트립 섹션의 페이더로 선택한 대역을 조절한다. 5. 조절이 끝나면 FADER ASSIGN 필드의 버튼을 끈다. QL 시리즈는 오토 믹서를 표준장착하고 있습니다. 오토 믹서는 대본이 없는 스피치 등에 있어 유효한 마이크를 검출하여 게인 배분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것으로 엔지니어가 페이더 조절에 얽매이는 일 없이 여러 마이크에서 일관된 시스템 게인을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NOTE ・ 채널 스트립 섹션의 페이더가 중앙(플랫)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대응하는 [ON]키가 소등합니 다. 이것은 그 대역이 변경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페이더를 조금이라도 위아래로 움직이면 [ON]키가 점등합니다. 이것은 그 대역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오토 믹서를 채널의 포스트 페이더에 인서트 여기서는, 버추얼 랙에 오토 믹서를 장착하여 오토 믹서의 입출력을 임의의 채널(ST IN 채널 제외)의 포스트 페이더(POST ON)에 인서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오토 믹서의 사용법에 대해서는 다음의 ‘오토 믹서의 조절’을 참조해주세요. ■ 채널 컨트롤 필드 각 채널은 항상 man/auto/mute 중 하나의 모드로 되어 있습니다. 활성화된 채널 모드의 인디케이터가 점등합니다. 모드를 선택하려면 그 모드 버튼이나 마스터 필드의 PRESET 버튼을 누릅니다. 순서 1. ‘버추얼 랙의 조절’(→P.103)의 순서 1~8을 참고하여, 랙1에 오토 믹서를 장착하고 랙의 입력/출력을 설정한다. 2. ‘채널에 외부기기를 인서트 접속’(→P.18)을 참고하여 오토 믹서를 포스트 페이더 (POST ON의 필드)에 인서트 한다. 오토 믹서의 조절 ① 레벨 인디케이터 음성이 오토 믹스에 적절한 레벨이 되면 녹색으로 점등합니다.
오토 믹서는 그룹 내의 모든 입력 믹스에 대한 특정 채널의 입력 레벨의 비율을 계산합니다. 다음의 예로 weight 컨트롤 구조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임의의 채널에서 웨이트 설정 값을 올린 경우 ・그 채널의 auto mix gain 미터의 표시 값은 올라가고 다른 채널의 값은 내려갑니다. ・웨이트 설정 값이 높은 채널은 다른 채널에 비해 시스템 게인을 얻기 쉬워집니다. ⑧ preset 마스터 필드의 PRESET 버튼을 눌렀을 때의 채널모드(man、auto、mute)를 선택합니다. 채널마 다 프리셋을 프로그램 하면 preset 버튼이 점등합니다. ■ 마스터 필드 ■ 임의의 채널에서 웨이트 설정 값을 내린 경우 ・그 채널의 auto mix gain 미터의 표시 값이 내려가고 다른 채널의 값은 올라갑니다. ・여러 마이크에서 동시에 말하고 있는 경우, 다른 마이크와의 분별이 어려워집니다.
■ STEREO 타입의 이펙트 내장 이펙트의 조절 QL 시리즈의 내장 이펙트는 EFFECT 랙 1-8에 장착하여 아웃풋계열 채널의 출력/인풋계열 채널의 입 력에 패치하거나 각 채널에 인서트해서 이용합니다. 랙에 장착한 이펙트는 각각 54종류의 이펙트 타입 중에서 1개를 선택합니다. 초기상태에서 랙 5~8은 MIX 채널13~16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며 ST IN 1~4(L/R)로 출력됩니다. 랙 1~4에는 아무것도 할당되지 않습니다. NOTE 이펙트 타입에 따라서는 랙 1, 3, 5, 7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내장 이펙트를 센드/리턴 경유로 사용하려면 MIX 채널 등의 출력을 이펙트 입력에, 이펙트의 출력을 인풋계열 채널에 할당합니다. 이 경우, 해당하는 아웃풋계열 채널을 이펙트 센드용의 마스터 채널로, 인풋계열 채널을 이펙트 리턴용 채널로서 사용합니다.
NOTE ・ 스테레오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랙의 L/R입력에 스테레오로 설정한 MIX 채널의 L/R을 할 당합니다. ・ 이펙트의 출력을 스테레오로 사용하려면 랙의 R출력에도 순서3에서 선택한 ST IN 채널의 R입 력을 할당합니다. ・ 이펙트의 출력대상은 여러 개 선택 가능합니다. ・ 이펙트 파라미터의 설정방법에 대해서는 「내장 이펙트의 파라미터를 조절」(→P.114)을 참조해주세요. ■ 인풋계열 채널의 이펙트 센드 레벨 조절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의 SEND 필드에서 랙 입력소스로 설정한 MIX 버스의 TO MIX SEND LEVEL 노브를 눌러서 선택하고 [TOUCH AND TURN] 노브로 각 채널에서 그 MIX 버스로 보내는 신호의 센드 레벨을 조절합니다. NOTE ・ 이펙트 센드 레벨을 조절할 때는 랙의 출력대상으로 선택한 ST IN 채널에서 해당하는 MIX 버 스로의 센드 레벨을 반드시 -∞dB로 설정해 주세요.
내장 이펙트의 파라미터 조절 EFFECT EDIT 화면 이펙트 타입을 변경하거나, 파라미터를 조절하거나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펙트가 장착 된 랙에는 VIRTUAL RACK 화면에 다음과 같은 정보가 표시됩니다. 이펙트의 파라미터를 조절합니다. NOTE ・ 이펙트 타입별 파라미터의 내용에 대해서는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QL 데이터 리스트를 참조해주세요. ・ 이펙트의 파라미터 조절 중에 톱 패널의 [SEL]키를 누르면 그 채널에 인서트되어 있는 GEQ, 이펙트, 프리미엄 랙의 팝업 화면으로 바뀝니다. ① 이펙트 타이틀/타입 이펙트의 타이틀, 사용되고 있는 타입의 명칭, 이미지가 표시됩니다. 또, 이펙트의 입출력 채널 수(1 IN/2 OUT 또는 2 IN/2 OU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입력/출력 미터 이펙트 통과전/통과후의 신호 레벨이 표시됩니다. 순서 1. 조절하고 싶은 이펙트가 장착되어 있는 랙의 랙 컨테이너를 누른다. 2.
■ PLAY/REC 이펙트 타입으로 FREEZE가 선택되어있을 때 표시됩니다. ・ PLAY 버튼/REC 버튼 프리즈 이펙트의 녹음(샘플링)과 재생을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프리즈 이펙트 의 이용」(→P.118)을 참조해주세요. ■ SOLO 이펙트 타입으로 M.BAND DYNA. 또는 M.BAND COMP.가 선택되어 있을 때 표시됩니다. ・ HIGH/MID/LOW 버튼 선택한 대역(범위)만을 통과시킵니다(여러 개 선택 가능). ・ 게인 리덕션 미터 각 대역의 게인 리덕션 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인 리덕션 미터 이펙트 타입으로 Comp276/276S 또는 Comp260/260S가 선택되어있을 때 표시됩니다. ・ 게인 리덕션 미터 컴프레서가 걸려있을 때, 게인 리덕션의 양이 표시됩니다. NOTE ・ 라이브러리를 리콜하여 이펙트 타입을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 타입 이펙트 타입으로 Equalizer601이 선택되어있을 때 표시됩니다. ・ 이펙트 타입 ‘HQ.
⑧ 이펙트 파라미터 필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이펙트 타입의 파라미터가 표시됩니다. 필드 내의 노브를 누르면 일렬로 늘 어서 있는 노브를 [TOUCH AND TURN] 노브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 노브를 누르면서 돌리 면 미세한 단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⑨ MIX BAL. 노브 이펙트의 출력신호에 있어 원음과 이펙트 음의 밸런스를 조절합니다. 이 노브를 눌러 선택하면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펙트를 센드/리턴 경유로 이용할 때는 100%(이펙트 음으로만)로 설정합니다. ⑩ 툴 버튼 현재 표시되어 있는 이펙트 설정을 다른 랙의 이펙트에 카피하거나, 초기화합니다. 툴 버튼의 조절 방법에 대해서는 취급설명서(별지)의 ‘툴 버튼 사용하기’를 참조해주세요. SETUP화면 USER NOTE 이펙트 설정은 전용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언제든지 스토어/리콜을 할 수 있습니다. SETUP화면 ⑪ 랙 변경 탭 EFFECT1~8을 전환합니다.
■ 탭 템포 기능의 사용 USER DEFINED 키를 누른 간격의 평균값(BPM)이 산출되어 그 값이 BPM 파라미터에 반영됩니다. 각 간격의 평균이 파라미터에 입력된다(a, b, c의 평균) 탭템포 화면 이펙트와 템포의 동기 NOTE ・ 평균값이 20~300BPM의 범위를 벗어나면 무시됩니다. ・ 특수 파라미터 필드의 MIDI CLK 버튼을 켜면, MIDI 포트에 입력되는 MIDI 타이밍 클럭의 템포에 따라 BPM 파라미터의 값이 변화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RACK 버튼을 누른다. 2. VIRTUAL RACK 화면의 EFFECT 탭을 누른다. 3. 조절하고 싶은 이펙트가 장착된 랙의 랙 컨테이너를 누른다. 4. EFFECT EDIT 화면의 이펙트 타입 필드를 누른다. 5. EFFECT TYPE 화면에서 BPM 파라미터를 포함한 이펙트 타입을 선택한다. 6. 이펙트 파라미터 필드의 SYNC 파라미터를 켠다. 7.
프리즈 이펙트의 이용 예1:SYNC=ON、DELAY=250ms、TEMPO=120으로 NOTE를 8분 음표에서 4분음표로 변경 한 경우 DELAY= 변경 후의 NOTE x 4 x (60/TEMPO) = (1/4) x 4 x (60/120) = 0.5 (sec) = 500 ms 이렇게 되며, DELAY는 250 ms에서 500 ms로 바뀝니다. 간단한 샘플러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펙트인 ‘FREEZE’의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 이펙 트 타입이 선택되어있을 때에는 화면의 조절로 녹음(샘플링)이나 재생을 할 수 있습니다. NOTE 이펙트 타입 ‘FREEZE’와 ‘HQ.PITCH’는 랙1/3/5/7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2:SYNC=ON、DELAY=250 ms、NOTE=8분음표로, TEMPO를 120에서 121로 변경한 경우 DELAY= NOTE x 4 x (60/변경 후의TEMPO) = (1/8) x 4 x (60/121) = 0.2479 (sec) = 247.
EFFECT EDIT 화면(FREEZE 선택 시) 프리미엄 랙의 조절 이펙트 타입 ‘FREEZE’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수 파라미터 필드에 PLAY 버튼, REC 버튼, 프로 그레스 바가 표시됩니다. 랙의 입출력 패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이펙트 랙과 같습니다(→P.112). 프리미엄 랙에서, 센드/리턴경유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랙1~2뿐입니다. 랙3~8은, 인서트 패치만 됩 니다(「버추얼 랙 조절하기」(→P.103)를 참조해주세요). ① PLAY 버튼 ② REC 버튼 ③ 프로그레스 바 NOTE 이펙트 타입을 변경하는 대신에 이펙트 라이브러리에서 이펙트 타입 ‘FREEZE’를 리콜 할 수도 있습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RACK 버튼을 누른다. 2. VIRTUAL RACK 화면 상부의 PREMIUM 탭을 누른다. 3. PREMIUM RACK 필드에서 장착하는 랙의 랙 마운트 버튼을 누른다. 4.
NOTE ・ 스테레오 소스를 사용하는 채널에 인서트하는 경우에는 순서5, 6과 같은 요령으로 프로세서의 R 입력/출력에 R채널의 인서트 아웃/인서트 인을 할당해주세요. ・ 파라미터의 조절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에 나오는 「프리미엄 랙의 파라미터 조절」을 참조해주 세요. ・ 프로세서의 입력/출력단에서 신호가 OVER 되지 않게 디지털 게인 및 프로세서의 파라미터를 조절해주세요. 프리미엄 랙의 파라미터 조절 프리미엄 랙의 각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습니다. ■ 프로세서의 마운트 방법 각 프로세서에는 2종류의 마운트 방법이 있습니다. ・ DUAL.........................프로세서를 모노 2계통으로 사용합니다. ・ STEREO....................프로세서를 스테레오 1계통으로 사용합니다. DUAL 버튼, STEREO 버튼에는 그 프리미엄 랙이 몇 U를 사용할 것인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U76은 2U, 그 외는 1U 사용합니다.
■ Portico 5033 Portico 5033은 Rupert Neve Designs(RND)의 5밴드 아날로그 EQ를 재현한 프로세서입니다. 5033EQ는 Rupert Neve씨가 개발한 왕년의 명기로 평가되는 "1073"의 역사를 이어받아 독특한 음질 조절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또, Rupert Neve씨가 스스로 설계한 인풋/아웃풋 트랜스포머까지도 VCM 테크놀로지로 모델링함에 따라 바이패스 상태에서도 매우 음악성이 높은 사운드를 실현하는 모델입니다. 그 특성은 저음을 차단하면 저음이 타이트하게 되어 고음을 올려도 귀가 아프지 않고 필요한 대역이 강조되는 독특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⑥ LMF/MF/HMF IN 버튼 LMF/MF/HMF의 EQ를 각각 온/오프 합니다. ⑦ LF/HF IN 버튼 LF와 HF의 EQ를 동시에 온/오프 합니다. ⑧ 그래프 표시 EQ의 특성이 시각적으로 표시됩니다.
FF 회로 방식은 현대의 컴프레서에 있어서 주류의 방식입니다. 음색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제대 로 컴프레션을 걸고 싶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FB회로 방식은 빈티지 컴프레서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음색에 대해서 기기 고유의 색깔을 덧붙이면서 부드러운 컴프레션을 걸고 싶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➃ GAIN REDUCTION 미터 게인 리덕션의 양이 표시됩니다. ■ U76 U76은 다양한 상황에서 만능으로 활약하는 대표적인 빈티지 컴프레서를 재현한 프로세서입니다. 일반적인 컴프레서에 있는 스레숄드 파라미터가 따로 없으며 입력 게인과 출력 게인의 밸런스로 컴프레서가 작용하는 상태를 설정합니다. RATIO 파라미터의 "All 모드"라고 불리는 설정은 매우 강력한 컴프레션 사운드가 되며 이 모델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음질은 풍부한 배음을 부가하며 공격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냅니다. ⑤ THRESHOLD 노브 컴프레서가 걸리기 시작하는 레벨을 조절합니다. ⑥ RATIO 노브 압축의 비율을 조절합니다.
⑤ METER 전환버튼 미터표시를 바꿉니다. ・ GR...............컴프레서가 작용할 때의 게인 리덕션 양을 표시합니다. . 출력 신호 레벨의 기준을 -18dB로 하고 그 기준에서 +4dB 또는 +8dB한 값을 0VU로 표시합니다. ■ Opt-2A Opt-2A는 진공관 광학식 컴프레서의 대표적인 빈티지 모델을 재현한 프로세서입니다. 레벨의 제어에 CdS-Cell이나 EL panel과 같은 광학 소자를 사용한 부드러운 컴프레션과 진공관 회로의 따뜻한 디스토션에 의한 아름다운 고역의 배음으로 우아하고 세련된 사운드를 만듭니다. ・ OFF............. 미터 표시를 끕니다. ⑥ OUTPUT 노브 출력 레벨을 조절합니다. INPUT 레벨을 조절하여 게인 리덕션의 상태를 조절하면 청감상의 음량도 변화합니다. 이때 OUTPUT 노브로 음량을 조절합니다. ① GAIN 노브 출력 레벨을 조절합니다. ② PEAK REDUCTION 노브 신호의 압축 양을 조절합니다.
■ EQ-1A EQ-1A는 패시브형 EQ의 대표라고 불리는 빈티지 EQ를 재현한 프로세서입니다. 저역과 고역의 2가지 대역을 각각 부스트와 컷하여 컨트롤하는 독특한 스타일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EQ와는 전혀 다른 주파수 특성은 이 모델들만의 개성적인 캐릭터가 되었습니다. 또, 입출력 회로와 진공관에 의한 소리의 질감도 매우 음악적이며 밸런스가 좋은 사운드를 만듭니다. ⑦ (HIGH) BOOST 노브 HIGH FREQUENCY 노브로 설정한 주파수 대역의 증폭 양을 조절합니다. ⑧ (HIGH) ATTEN 노브 ATTEN SEL 노브로 설정한 주파수 대역의 감쇠 양을 조절합니다. ⑨ (HIGH) ATTEN SEL 노브 ATTEN 노브로 감쇠하는 주파수 대역을 바꿉니다. ■ Dynamic EQ Dynamic EQ는 특정의 모델을 재현한 것이 아니라 새로 개발된 이퀄라이저입니다.
③ SIDECHAIN LISTEN 버튼 켜면 다이나믹스에 연동시킨 사이드 체인 신호를, 인서트하고 있는 채널이 송신되고 있는 버스(STEREO 버스나 MIX/MATRIX 버스 등)로 출력합니다. 이 때, 그래프에는 사이드 체인 필터의 특성이 표시됩니다. ⑬ 그래프 표시 이퀄라이저의 특성이 표시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주파수나 동작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레퍼런스 EQ 그래프, 동적으로 변화하는 EQ의 특성을 표시하는 다이나믹 EQ 그래프가 표시됩니다. ⓸ FILTER TYPE 버튼 메인 버스 이퀄라이저와 사이드 체인 필터의 타입을 바꿉니다. 메인 EQ와 사이드 체인 필터는 다음과 같이 연동합니다. FILTER TYPE (Low Shelf) (Bell) (Hi Shelf) 메인 EQ Low Shelf Bell Hi Shelf 사이드체인 필터 LPF BPF HPF SIDECHAIN CUE 또는 SIDECHAIN LISTEN을 켜면 사이드 체인 필터의 특성이 표시됩니다.
그래픽 EQ/이펙트/프리미엄 랙의 라이브러리를 조절 ■ 프리미엄 랙 라이브러리 ■ GEQ 라이브러리 GEQ의 설정을 STORE/RECALL하려면 "GEQ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QL 시리즈에서 사용하는 모든 GEQ는 이 GEQ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1Band GEQ와 Flex 15GEQ의 2가지 타입이 있지만 타입이 달라도 리콜 할 수 있습니다. 단 Flex 15GEQ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밴드 수가 15밴드 이하인 31Band GEQ만을 Flex 15GEQ에 리콜 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에서 리콜할 수 있는 설정 수는 200입니다. 000번은 읽기 전용의 프리셋이며 그 밖의 라이브러리 번호는 자유롭게 읽고 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GEQ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려면 GEQ 팝업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 화면의 상부에 있는 LIBRARY 버튼을 누릅니다. 프리미엄 랙은 각 모듈 타입에 라이브러리가 6종류 있습니다.
I/O 디바이스와 외부 헤드앰프 I/O DEVICE 화면(DANTE PATCH 페이지) 여기서는, QL 시리즈에 접속하는 I/O 디바이스와 외부 헤드앰프의 조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 조 절 전에 DANTE-SETUP으로 마운트 하는 I/O 디바이스를 결정해주세요. 자세한 사항은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에 있는 I/O 디바이스를 마운트’(→P.197)를 참조해주세요. I/O 디바이스의 이용 QL 시리즈는, Dante 단자에 접속한 I/O 디바이스(Rio 시리즈 등)를 채널마다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습 니다. QL 시리즈와 I/O 디바이스의 접속에 대해서는, 취급설명서(별지)의 ‘I/O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참조해 주세요. I/O 디바이스의 패치 Dante 단자에 접속한 I/O 디바이스와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와의 패치를 합니다. 순서 1. QL 시리즈와 I/O 디바이스를 접속한다. 취급설명서(별지)의 ‘I/O 디바이스와의 접속’이나 ‘퀵 가이드’를 참조해주세요. 2.
DANTE INPUT PATCH 화면 I/O DEVICE 화면(DANTE PATCH 페이지)에서 DANTE I/O 디바이스에서 콘솔로 입력하는 64채널을 설정합니다. ③ 포트선택 버튼 INPUT PATCH 버튼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누르면, PORT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버튼의 상단은 ‘Dante Device ID번호(16진수)-채널 번호(10진수)’가 표시됩니다. 버튼의 하단은 각 포트채널 라벨(Dante Audio Channel Label)의 앞 8글자가 표시 됩니다. 패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단에 ‘---’라고 표시되며 하단은 표시 없음이 됩니다. NOTE ・ QL 시리즈가 서포트 하고 있는 I/O 디바이스 이외의 제품을 접속한 경우, 버튼 상단의 표시가 ‘DEVICE LABEL의 처음 4글자―채널번호(10진수)’로 됩니다. ・ Dante Audio Channel Label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하단은 표시 없음으로 됩니다.
Rio를 리모트 컨트롤 ③ CLOSE 버튼 설정을 종료하고 화면을 닫습니다. Dante 단자에 접속한 Rio를 리모트 컨트롤합니다. OUTPUT PATCH 화면 I/O DEVICE 화면(DANTE PATCH 페이지)에서 I/O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누르면 표시됩니다. 아웃풋 패치를 설정합니다. 순서 1. I/O DEVICE 화면상부의 Rio 탭을 눌러, I/O DEVICE 화면(Rio페이지)을 표시시킨다. 2. HA 측의 I/O 디바이스가 장착된 랙을 누른다. 3. I/O 디바이스의 HA를 리모트 컨트롤한다. 4. 인풋 채널에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경우에는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이 표시되어 있지 않 다면, SELECTED CHANNEL 섹션 중 노브 하나를 누른다. 5. 조절하고 싶은 채널의 GAIN/PATCH 필드를 눌러, GAIN/PATCH 화면을 표시시킨다. 6. GAIN/PATCH 화면에서, I/O 디바이스의 HA를 조절한다. 7.
■ HA 표시 I/O 디바이스의 HA 설정을 표시합니다. 화면을 누르면, HA를 상세히 설정하는 I/O DEVICE HA 화면 이 표시됩니다. I/O 디바이스 화면(Rio페이지) ⓸ 아날로그 GAIN 노브 아날로그 게인의 설정 값을 표시합니다. 이 화면은 단지 표시뿐이며 값을 변경할 수는 없습니 다. ⑤ +48V 인디케이터 포트마다의 +48V 팬텀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합니다. ⑥ OVER 인디케이터 입력 레벨이 클립(CLIP)하는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입니다. ⑦ HPF 인디케이터 포트마다 하이패스 필터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합니다. ■ INPUT 표시 I/O 디바이스의 INPUT을 표시합니다. ① 표시 전환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해당하는 I/O 디바이스가 표시됩니다. 이 버튼을 계속 누르면 해당하는 I/O 디바이스의 모든 LED가 점멸합니다. 이 버튼의 아래에 표시되는 VIRTUAL/CONFLICT/DUPLICATE에 대해서는 P.127의 ①「I/O 디바이스 리스트」를 참조해주세요.
I/O DEVICE HA 화면 I/O DEVICE 화면(Rio페이지)에서 HA 측의 I/O 디바이스가 장착된 랙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QL 시 리즈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노브나 버튼, 또는 톱 패널의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I/O 디바이스의 HA를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 인풋채널에서 리모트 컨트롤하는 경우 QL 시리즈의 인풋 채널에서 I/O 디바이즈의 HA를 리모트 컨트롤하려면 조절하고 싶은 채널의 GAIN/PATCH 화면에서 조절합니다. AMP의 리모트 컨트롤 Dante 단자에 접속한 AMP를 리모트 컨트롤합니다. 순서 1. I/O DEVICE 화면 상부의 AMP 탭을 누른다. 2. I/O DEVICE 화면(AMP 페이지)에서 표시된 I/O 디바이스를 누른다. 3. OUTPUT PATCH 화면에서 필요에 따라 출력포트를 설정한다. 설정은 ‘I/O 디바이스의 패치’의 순서7(→P.127) 이후를 참조해주세요.
I/O DEVICE의 화면(AMP 페이지) WIRELESS를 리모트 컨트롤 Dante 단자에 접속한 WIRELESS를 리모트 컨트롤합니다. 순서 1. I/O DEVICE 화면 상부의 WIRELESS 탭을 누른다. 2. I/O DEVICE 화면(WIRELESS 페이지)에서 표시된 I/O 디바이스를 누른다. 3. OUTPUT PATCH 화면에서 필요에 따라 출력포트를 설정한다. 설정은 ‘I/O 디바이스의 패치’의 순서7(→P.127) 이후를 참조해주세요. I/O DEVICE 화면(WIRELESS 페이지) ① 표시 전환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대응하는 I/O 디바이스가 표시됩니다. 이 버튼의 아래에 표시되는 VIRTUAL/CONFLICT/DUPLICATE에 대해서는 P.127의 ①「I/O 디바이스 리스트」를 참조해주세요. ② ID/기종 이름 표시 I/O 디바이스의 ID번호, 기종 이름, 버전을 표시합니다.
③ DANTE SETUP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오디오 네트워크 설정을 하는 DANTE SETUP 화면이 표시됩니다. 외부 헤드앰프의 이용 슬롯 경유의 헤드앰프 컨트롤에 대응한 I/O 카드(MY16-ES64 등)를 QL 시리즈의 슬롯에 장착하면 외 부 헤드앰프(야마하 SB168-ES나 AD8HR)의 팬텀 전원(+48V)의 온/오프, 게인, HPF 등의 파라미터를 QL 시리즈에서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I/O카드의 설정에 대해서는 I/O카드의 취급설명서를 참조해주세요. QL 시리즈와 AD8HR의 접속 QL 시리즈를 사용하여 AD8HR을 리모트 컨트롤하려면, 우선 EtherSound 카드 MY16-ES64를 QL 시 리즈의 슬롯1에 장착하고 이더넷 케이블로 NAI48-ES와 접속합니다. 그 다음 NAI48-ES의 HA REMOTe 단자와 AD8HR의 HA REMOTE 1단자를 RS422 D-sub9 핀 케이블을 사용하여 접속합니다.
QL 시리즈와 SB168-ES의 접속 ■ 링 접속 QL 시리즈를 사용하여 SB168-ES를 리모트 컨트롤하려면 EtherSound 카드 MY16-ES64를 QL 시리즈 의 슬롯 1에 장착하고 이더넷 케이블로 SB168-ES와 접속합니다. 이 접속에 의해 QL 시리즈에서 SB168-ES를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여러 개의 SB168-ES를 데이지 체인 접속 또는 링 접속하여 QL 시리즈의 슬롯에 확장 카드 MY16-EX를 1장 장착함에 따라 최대 2대의 SB168-ES를 동시에 리모트 컨트롤할 수도 있습니다. NOTE 리모트 컨트롤하는 정보는 QL 시리즈의 SLOT1에서만 송수신할 수 있습니다. ■ 데이지 체인 접속 NOTE MY16-ES64/MY16-EX 카드나 EtherSound 네트워크의 셋업에 대해서는 SB168-ES 취급설명 서를 참조해주세요.
외부 헤드앰프의 리모트 컨트롤 I/O DEVICE 화면(EXTERNAL HA 페이지) MY16-ES64나 NAI48-ES 등을 사용하여 접속한 외부 헤드 앰프(이하 ‘외부 HA’)를 QL 시리즈에서 리 모트 컨트롤합니다. QL 시리즈와 외부 HA의 접속방법에 대해서는 「외부 헤드앰프의 이용」(→P.133) 이나 외부 HA의 취급설명서를 참조해주세요. 순서 1. QL 시리즈와 외부 HA를 접속한다. 2. FUNCTION ACCESS AREA의 RACK 버튼을 누른다. 3. I/O DEVICE 화면 상부의 EXTERNAL HA 탭을 누른다. 4. I/O DEVICE 화면(EXTERNAL HA 페이지)에서 랙에 대응하는 EXTERNAL HA PORT SELECT 버튼 을 누른다. 5. EXTERNAL HA PORT SELECT 화면의 PORT SELECT 버튼을 사용하여 외부 HA의 오디오 출력을 접속한 입력포트를 선택한다. 6.
⑤ VIEW 전환 버튼 버추얼 랙을 SB168-ES용과 AD8HR용 중에서 선택합니다.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따라 전환해주 세요. ⑥ COMM PORT 전환 버튼 슬롯에 접속된 외부 헤드앰프를 사용할 때에 리모트 컨트롤하는지를 설정합니다. 조절할 때는 ‘SLOT1’을 선택합니다. EXTERNAL HA 화면 외부 HA를 리모트 컨트롤합니다. 이 화면은, I/O DEVICE 화면(EXTERNAL HA 페이지)의 버추얼 랙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EXTERNAL HA PORT SELECT 화면 외부 HA의 입력포트를 설정합니다. 이 화면은 I/O DEVICE 화면(EXTERNAL HA 페이지)의 EXTERNAL HA PORT SELECT 버튼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① +48V MASTER 외부 HA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 팬텀 전원의 온/오프 상태가 표시됩니다. (온/오프의 전환은 외부 HA 본체에서 합니다). ② +48V 버튼 채널별 팬텀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 QL 시리즈의 인풋채널에서 외부 HA를 리모트 컨트롤 INTERNAL HA 화면 외부 HA를 I/O 디바이스나 본체의 HA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AIN/PATCH 화면에 대해서 는 ‘HA (헤드앰프) 의 설정’ (→P.26)을 참조해주세요. 순서 1. 뱅크 실렉트 키와 [SEL]키를 사용하여 HA를 조절하고 싶은 채널이 포함된 SELECTED CHANNEL VIEW 화면을 표시시킨다. 2. 외부 HA를 조절하고 싶은 채널의 GAIN/PATCH 필드를 누른다. 3. GAIN/PATCH 화면의 PATCH 버튼을 눌러 외부 HA가 할당된 입력포트를 선택한다. 4. GAIN/PATCH 화면에서 외부 HA를 리모트 컨트롤한다. ① +48V MASTER 마스터 팬텀 전원의 온/오프 상태가 표시됩니다. SELECTED CHANNEL VIEW화면 ② +48V 버튼 채널별 팬텀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합니다. GAIN/PATCH화면 ③ A.GAIN 노브 내부 HA의 게인 양을 표시합니다.
MIDI NOTE MIDI 메시지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포트는 리어 패널의 MIDI IN/OUT 단자, 슬롯 1에 장착된 I/O 카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포트는 위에서 말한 모든 기능에 해당됩니다. 여기에서는, 외부 기기에서 QL 시리즈로 MIDI 메시지를 보내서 QL 시리즈의 파라미터를 조절하거나, 반대로 QL 시리즈 조절에 따라 MIDI 메시지를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다음 그림은, MIDI IN/OUT 단자를 사용하여 MIDI 메시지의 송수신을 하는 접속의 예입니다. MIDI의 기본설정 QL 시리즈가 송수신하는 MIDI 메시지의 종류, 사용하는 MIDI 포트, MIDI 채널 등을 선택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 중앙의 MIDI/GPI 버튼을 누른다. 3. MIDI/GPI 화면의 MIDI SETUP 탭을 누른다. 4.
MIDI/GPI 화면(MIDI SETUP 페이지) 송수신하는 MIDI 메시지의 종류 및 사용하는 포트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③ PROGRAM CHANGE MODE 필드 프로그램 체인지의 송수신 방식을 선택합니다. ・ SINGLE......................이 버튼이 켜지면 단일 MIDI 채널의 프로그램 체인지만을 송수신합니다(싱글 모드). ・ MULTI........................이 버튼이 켜지면 여러 MIDI 채널의 프로그램 체인지를 송수신합니다 (멀티 모드). ・ OMNI.........................이 버튼이 켜지면 싱글 모드에서 모든 MIDI 채널의 프로그램 체인지를 수신합니다. 싱글 모드의 송신, 멀티 모드의 송수신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BANK........................ 이 버튼이 켜지면 싱글 모드에서 뱅크 셀렉트 메시지(사용하는 프로그 램 체인지의 그룹을 전환하는 기능)의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MIDI SETUP 화면(포트 선택용) MIDI 메시지를 송수신할 포트를 선택합니다. 이 화면은 PORT/CH 필드에 있는 송신(Tx) 또는 수신 (Rx)의 포트선택 버튼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MIDI SETUP 화면(채널 선택용) MIDI 메시지를 송수신할 채널을 선택합니다. 이 화면은 PORT/CH 필드의 채널 선택 버튼을 누르면 표 시됩니다. ① TERMINAL 필드 MIDI 메시지의 송신 또는 수신을 하는 포트를 선택합니다.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NONE MIDI SLOT1 ① CH 필드 MIDI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채널을 CH1~CH16에서 선택합니다. ② OK 버튼 설정한 내용을 확정하고 화면을 닫습니다. 포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리어 패널의 MIDI IN(Rx), OUT(Tx) 단자 리어 패널의 슬롯 1에 장착된 시리얼 통신을 서포트하는 카드 ② PORT NO.
프로그램 체인지로 씬/라이브러리의 리콜을 조절 QL 시리즈에서는 프로그램 체인지의 번호마다 특정 이벤트(씬(SCENE)의 리콜/이펙트 라이브러리의 리콜)를 할당하여 QL 시리즈에서 실행하면 해당하는 번호의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를 외부 기기로 송신할 수 있습니다. 또, 외부 기기로부터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이벤트를 실 행할 수 있습니다. MIDI/GPI 화면(PROGRAM CHANGE 페이지) PROGRAM CHANGE 페이지에서는 프로그램 체인지의 송수신 방법이나, 프로그램 넘버별로 할당하는 이벤트(씬의 리콜/이펙트 라이브러리의 리콜)를 설정합니다. 순서 1. QL 시리즈와 외부기기를 접속한다. 2. ‘MIDI의 기본설정’(→P.138)을 참고로 프로그램 체인지를 송수신할 포트와 MIDI 채널을 선택한다. 3. MIDI/GPI 화면의 PROGRAM CHANGE 탭을 누른다. 4.
・ 싱글 모드(SINGLE 버튼이 켜져 있을 때) MIDI SETUP 페이지에서 설정된 송신(Tx)/수신(Rx) 채널의 프로그램 체인지만을 송수신합니다. Rx 채널의 프로그램 체인지를 수신하면 목록 내에서 해당 채널의 대응하는 프로그램 번호에 할당된 이벤트를 실행합니다. ・ PROGRAM CHANGE EVENT...........각각의 채널(뱅크넘버) /프로그램 넘버에 할당된 이벤트의 종류/번호/타이틀이 표시됩니다. 각 이벤트의 표시부분을 누르면 할당하는 이벤트를 선택하는 MIDI PROGRAM CHANGE 화면이 표시됩니다. QL 시리즈에서 특정의 이벤트를 실행했을 때는 목록 내의 Tx 채널 중에서 해당하는 프로그램 번호의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가 송신됩니다(동일 이벤트가 같은 채널의 여러 프로그램 번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낮은 프로그램 번호가 발송됩니다). ⓸ 스크롤 노브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상하로 스크롤 할 수 있습니다.
① TYPE 필드 이벤트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NO ASSIGN 할당 없음 SCENE 씬(SCENE) 메모리를 리콜하는 작업 EFFECT PREMIUM RACK 이펙트 라이브러리를 리콜하는 작업 프리미엄 랙 라이브러리를 리콜하는 작업 순서 1. QL 시리즈와 외부기기를 접속한다. 2. ‘MIDI의 기본설정’(→P.138)을 참고로, 컨트롤 체인지를 송수신할 포트와 MIDI 채널을 선택한다. 3. MIDI/GPI 화면의 CONTROL CHANGE 탭을 누른다. 4. 컨트롤 체인지의 송수신 모드 및 송수신 온/오프, 또는 에코출력의 설정을 한다. 5. 컨트롤 넘버마다의 이벤트 할당을 변경하려면, 리스트의 해당하는 이벤트를 눌러 이벤트의 종류와 리콜 대상이 되는 씬/라이브러리를 선택한다. ② DESTINATION 필드 라이브러리를 리콜할 랙을 선택합니다. TYPE 필드에서 EFFECT 또는 각 프리미엄 랙을 선택했 을 때는 랙 번호가 표시됩니다.
MIDI/GPI 화면(CONTROL CHANGE 페이지) 컨트롤 체인지의 송수신 방법이나, 컨트롤 넘버별로 할당하는 이벤트(페이더/노브의 조절, [ON]키의 온/오프 전환 등)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③ 리스트 컨트롤 넘버별로 할당된 이벤트(페이더/노브의 조절, [ON]키의 온/오프 전환 등)가 표시됩니다. ・ NO....................컨트롤 넘버를 나타냅니다. 사용할 수 있는 컨트롤 넘버는 1~31, 33~95, 102~119입니다. ・ CONTROL CHANGE EVENT.............각각의 컨트롤 넘버에 할당된 이벤트의 종류를 표시/선택 합니다. 각 이벤트를 누르면, 컨트롤 넘버로의 할당을 변 경하는 MIDI CONTROL CHANGE 화면이 표시됩니다. ⓸ CLEAR ALL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리스트내의 이벤트 할당이 모두 삭제됩니다. ⑤ INITIALIZE ALL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리스트내의 이벤트 할당이 초기상태로 돌아갑니다.
MIDI CONTROL CHANGE 화면 파라미터 체인지로 파라미터를 조절 CONTROL CHANGE 페이지의 각 이벤트를 누르면 표시됩니다. 이 화면에서, 컨트롤넘버에 할당하는 이벤트를 설정합니다. QL 시리즈에서는, 컨트롤 체인지나 NRPN 대신에 ‘파라미터 체인지’라 불리는 SysEx 메시지를 사용하 여 특정 이벤트(페이더/노브의 조절, [ON]키의 온/오프 전환, 시스템 설정이나 유저 설정의 변경 등) 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송수신할 수 있는 파라미터 체인지에 대해서는 QL 데이터 리스트에 있는 ‘MIDI 데이터 포맷’을 참조해 주세요. 순서 1. QL 시리즈와 외부 기기를 접속한다. 2. ‘MIDI의 기본설정’(→P.138)을 참고로, 파라미터 체인지를 송수신할 포트와 MIDI 채널(디바이스 넘 버)을 선택한다. 3. MIDI SETUP 페이지의 PARAMETER CHANGE 필드에 있는 Tx 버튼/Rx 버튼을 사용하여 파라미터 체인지의 송수신을 켠다.
레코더 레코더의 입출력에 채널을 할당 여기서는 레코더의 기능 및 조절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USB 메모리 레코더의 입력/출력에 채널을 패치 합니다. 입력에는 임의의 아웃풋계열 채널 또는 INPUT 채널의 다이렉트 출력을, 출력에는 임의의 인풋계열 채널을 패치 할 수 있습니다. USB 메모리 레코더에 대하여 QL 시리즈에는, 간단한 조절로 내부 신호를 USB 메모리에 녹음하거나, USB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USB 메모리 레코더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녹음의 파일 포맷은 MP3 (MPEG-1 Audio Layer-3)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 재생에는 MP3 이외에 WMA(Windows Media Audio), AAC(MPEG-4 AAC)의 각 파일도 재생할 수 있습니다. 단,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에는 대응하고 있지 않습니다.
NOTE RECORDER INPUT CUE 버튼과 동시에 켤 수 없습니다. RECORDER 화면(USB 탭 선택 시) 이 화면에서는 USB 메모리 레코더의 입출력에 신호를 할당하거나 녹음/재생을 합니다. ⑧ 미터 레코더의 출력신호 레벨이 표시됩니다. CH SELECT 화면 RECORDER INPUT L/R 버튼 또는 PLAYBACK OUTPUT L/R 버튼을 누르면 표시됩니다. ① 카테고리 리스트 채널 종류를 선택합니다. ② 채널선택 버튼 USB 메모리 레코더의 입출력에 패치 할 채널을 선택합니다. 입력과 출력으로 패치 할 수 있는 채널이 다릅니다. ① RECORDER INPUT L/R 버튼 누르면 레코더 인풋의 L/R 채널에 패치할 신호를 선택하는 CH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② RECORDER INPUT GAIN 노브 레코더에 대한 입력 신호의 레벨을 설정합니다. ③ RECORDER INPUT CUE 버튼 켜면, 레코더에 입력되는 신호를 모니터 할 수 있습니다.
레코더의 출력에 패치 할 수 있는 채널 ・ CH1~64(QL5), CH1~32(QL1) .................................................. INPUT 채널 1~64(QL5), INPUT 채널 1~32(QL1) RECORDER 화면(USB 탭 선택 시) ・ STIN 1L/1R~STIN 8L/8R............. ST IN 채널 1~8의 L/R USB 메모리에 녹음 임의의 출력 채널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우측의 USB 단자에 장착된 USB 메모리에 오디오 파일(MP3) 로서 녹음합니다. 순서 1. ‘레코더의 입출력에 채널을 할당’(→P.146)을 참고로 USB 메모리 레코더의 입출력에 채널을 할당한 다. 2. 충분히 빈 용량이 있는 USB 메모리를 USB 단자에 장착한다. 3. 레코더에 녹음하는 신호를 모니터 할 수 있도록 레코더의 입력에 패치한 채널의 페이더를 올린다. 4.
⑤ REC RATE 버튼 녹음시의 녹음 레이트를 선택합니다. 96kbps, 128kbps, 192kbps가 선택 가능합니다. 비트 레이트가 커질수록 음질이 향상되지만 데 이터의 사이즈도 커집니다. ■ USB 메모리의 계층 USB 메모리를 USB 단자에 장착하면 USB 메모리의 루트 디렉터리에 YPE 폴더, 또 YPE 폴더 내에 SONGS 폴더가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녹음으로 만들어진 파일은, 위에서 말한 SONGS 폴더, 또는 그 아래 계층에 있는 폴더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폴더에 저장됩니다. NOTE 오디오 파일의 샘플링 레이트는 QL 시리즈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워드 클록의 레이트가 자동 으로 선택됩니다. YPE 폴더 ⑥ 표지 전환 버튼 송 리스트의 하부에 RECORDER INPUT/PLAYBACK OUTPUT 필드를 표시시킬지의 여부를 선택 합니다. 루트 디렉터리 ⑦ REW 버튼 재생 포인트를 커런트 송의 처음으로 이동하고 정지합니다.
RECORDER 화면 USB 메모리의 오디오파일을 재생 USB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파일을 재생합니다. QL 시리즈 본체에서 녹음된 파일 이외에 컴퓨터에서 USB 메모리에 카피한 파일도 재생할 수 있습니다. 재생 가능한 파일 포맷은 MP3(MPEG-1 Audio Layer-3), WMA (Windows Media Audio)와 AAC (MPEG-4 AAC)의 3종류이며 샘플링 레이트는 44.1kHz/48kHz, 비트 레이트는 64kbps에서 320kbps입 니다. NOTE ・ 오디오파일을 재생하려면, YPE 폴더 안의 SONGS 폴더 또는 그보다 아래 계층의 폴더에 오 디오파일을 저장해주세요. 다른 폴더에 있는 파일이나 대응하지 않는 포맷의 파일은 인식할 수 없습니다. ・ QL 시리즈에서 인식할 수 있는 파일명은 최대 64글자(반각)입니다. 그보다 긴 파일명인 경우 에는 희망하는 파일이 올바르게 재생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하나의 디렉터리에서 관리할 수 있는 곡수는 최대 300곡입니다.
➃ 서브 디렉터리 각 송의 트랙 번호, 서브 디렉터리의 유무(디렉터리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하나 위의 디렉터리 이름이 표시됩니다. ・ 위 계층 표시.......누르면, 현재보다 하나 위의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⑬ REPEAT 버튼 이 버튼이 켜져 있으면 커런트 송의 재생 종료 후, 리스트 내에 PLAY 체크가 들어간 다음 곡이 없으면 리스트 처음으로 돌아가서 PLAY 체크가 들어간 첫 번째 송을 재생합니다. 꺼져 있으면 커런트 송 재생 종료 후, 리스트 내에 PLAY 체크가 들어간 다음 곡이 없으면 정지 합니다. SINGLE 버튼과 REPEAT 버튼의 온/오프 설정에 따른 재생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서브 디렉터리.............누르면, 그것의 서브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NOTE ・ 폴더를 바꾸면 그 폴더가 녹음 장소로 선택됩니다. ・ 선택할 수 있는 폴더는 TYPE 폴더 안의 SONGS 폴더 또는 그보다 아래 계층의 폴더에 한합 니다.
⑥ SONG TITLE/FILE NAME 버튼 RECORDER 화면(USB 탭 선택 시) SONG TITLE/FILE NAME 필드에 표시하는 항목(송 타이틀 또는 파일 이름)을 선택합니다. 컴퓨터의 DAW로 녹음/재생하기 QL 시리즈를 사용한 시스템의 오디오 네트워크에 Steinberg Nuendo 등의 DAW 소프트웨어를 도입할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Dante Virtual Soundcard(이하 DVS)를 사용합니다. DVS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며 QL 시리즈와 I/O 디바이스가 접속된 오디오 네트워크와 오디오 신호를 주고받습니다. 이 로 인해, 라이브 연주의 멀티 트랙 녹음 및 전날에 본방을 녹음한 소재를 이용한 버추얼 사운드 체크 등이 가능합니다. 여기에서는, 오디오 네트워크에 DAW 소프트웨어를 도입 할 때에 필요한 작업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 다.
NOTE 워드 클록의 설정 Dante 네트워크에서는 마스터 기기가 정확한 워드 클록을 네트워크 안의 다른 기기에 공급합니다. 마 자세한 ASIO 설정(Windows OS)에 대해서는 Dante 버추얼 사운드 카드 유저 가이드를 참조해 스터가 네트워크에서 이탈하거나, 고장 나거나 할 경우에는 다른 기기가 자동으로 클록 마스터 역할을 주세요. 이어서 합니다. Dante Accelerator 의 설정 설정은,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 → WORD CLOCK/SLOT 버튼을 눌러 WORD Dante Accelerator 카드를 컴퓨터에 장착한 후, Dante Accelerator Driver를 인스톨하고,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합니다. 자세한 드라이버 인스톨에 대해서는 드라이버에 부속된 인스톨 가이드를 참조해주세 CLOCK/SLOT 화면에서 합니다. 요.
Dante Controller의 설정 DAW 소프트웨어의 설정 컴퓨터의 네트워크 포트를 기가 비트 대응 스위칭 허브에 접속합니다. 컴퓨터의 IP 주소 설정은 자동 취득(디폴트 설정)으로 해둡니다. DAW 소프트웨어에서 드라이버의 설정을 합니다. 디바이스 설정을 하는 화면에서 입출력하는 사운드 카드(또는 오디오 드라이버)로서 "Dante Virtual Soundcard-ASIO"(Windows PC) 또는 "Dante"(Mac)를 선택합니다. Dante Controller에서 가능한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멀티 트랙 녹음을 하기 위해 I/O 디바이스의 오디오 신호를 DVS 또는 DANTE-ACCEL에 패치한다. ・버추얼 사운드 체크를 하기 위해 컴퓨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Dante 오디오 네트워크로 출력하여 QL 시리즈의 채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패치한다(→ P.127). 다음의 예는 I/O 디바이스의 1~16채널을 DVS에 패치했을 때의 Dante Controller의 설정입니다.
Nuendo Live와의 제휴 RECORDER 화면(Nuendo Live탭 선택 시) QL 시리즈에는 Steinberg의 DAW 소프트웨어인 Nuendo Live와의 연계 기능이 있습니다. QL 시리즈와 Nuendo Live와의 연계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Yamaha Console Extension"을 컴퓨터에 설치함으로써 QL 시리즈에서 Nuendo Live를 조정하여 멀티 트랙 녹음 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QL 시리즈에서 Nuendo Live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프로젝트의 준비 "컴퓨터의 DAW에서 녹음/재생"(→ P.152)에서와 같이,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합니다. ・ Dante Virtual Soundcard 또는 Dante Accelerator의 설정 ・ Dante Controller에서의 설정 ・ Nuendo Live의 설정 프로젝트에 녹음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RECORDER 버튼을 누른다. 2.
■ 트랜스포트 필드 DVS 또는 Dante Accelerator를 지정 Nuendo Live의 트랜스포트를 조절합니다. 이 조절 전에 DANTE SETUP에서 마운트 하는 I/O 디바이스를 결정해주세요. 자세한 것은 "Dante 오 디오 네트워크에 있는 I/O 디바이스를 마운트"(→ P.197)를 참조해 주세요. ⑦ GO TO PROJECT START 버튼 로케이션을 프로젝트의 처음으로 이동시킵니다. 순서 1 .Nuendo Live 화면에서 NUENDO Live SETUP 버튼을 누른다. 2. NUENDO LIVE SETUP 화면에서 설정 방법 선택 버튼을 누른다. 3.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설정한다. 4. 설정이 끝났으면 OK 버튼을 눌러 화면을 닫는다. ⑧ GO TO PREVIOUS MARKER 버튼 로케이션을 하나 앞의 마커로 이동시킵니다. ⑨ GO TO NEXT MARKER 버튼 로케이션을 하나 뒤의 마커로 이동시킵니다.
① 설정 방법 선택 버튼 DVS와 Dante Accelerator를 지정하는 방법을 다음 중에서 선택합니다. ・ NO ASSIGN.............................. 설정하지 않는다. ・ DVS.........................................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DVS를 선택하여 설정한다. ・ SPECIFIED IP ADDRESS........... Dante Accelerator를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의 IP 주소를 지정하여 설정한다. ■ 설정 방법 선택 버튼 = SPECIFIED IP ADDRESS일 때 Dante Accelerator를 사용하는 경우, SPECIFIED IP ADDRESS 필드에서 컴퓨터의 IP 주소를 지정합니 다. Dante Accelerator의 IP 주소와 Yamaha Console Extension이 사용하는 IP 주소가 다르므로 수동 으로 IP 주소를 지정해야 합니다.
NOTE ・ Dante Accelerator는 펌웨어의 버전에 따라 리던던시 네트워크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수 있습 니다. 다음의 웹 사이트에서 Dante Accelerator의 펌웨어가 리던던시 네트워크에 대응하고 있 는 버전인지 확인해 주세요. http://www.yamahaproaudio.com/japan/jp/ 멀티 트랙의 프로젝트를 재생 순서 1. RECORDER 화면의 Nuendo Live 페이지에서 DANTE INPUT PATCH 버튼을 누른다. 2. DANTE INPUT PATCH 화면에서 Nuendo Live로부터의 신호를 할당하고 싶은 포트의 PORT SELECT 버튼을 누른다. 3. PORT SELECT 화면 좌측 리스트에서 Nuendo Live에서 사용하고 있는 DVS를 선택하고 할당하는 포트를 선택한다. 4. 화면 상부에 있는 + 버튼을 눌러 포트를 바꾸고, 마찬가지로 DVS의 포트를 할당한다. 5. 설정이 끝났으면 CLOSE 버튼을 눌러 화면을 종료한다. 6.
셋업 ⓸ PASSWORD CHANGE 버튼 누르면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PASSWORD CHANGE 화면이 표시됩니다. SETUP 화면에 대해서 QL 시리즈 전체에 관한 각종 설정은 SETUP 화면에서 합니다. SETUP 화면을 불러오려면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릅니다. 화면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⑤ SAVE KEY 버튼 누르면 유저 인증키를 저장하는 SAVE KEY 화면이 표시됩니다(→ P.165). ■ STORAGE 필드 유저 인증키의 신규 작성 및 세이브/로드를 합니다. ⑥ CREATE USER KEY 버튼 누르면 신규 유저의 인증키를 작성하는 CREATE USER KEY 화면이 표시됩니다. ⑦ SAVE/LOAD 버튼 누르면 유저 인증키, 콘솔 파일 등의 세이브/로드를 하는 SAVE/LOAD 화면이 표시됩니다. ■ SYSTEM SETUP 필드 QL 시리즈 전체에 관한 각종 설정을 합니다.
■ BUS SETUP 필드 ■ CONTRAST/BRIGHTNESS 필드 버스에 관한 설정을 합니다. LED의 밝기나 콘트라스트를 설정합니다. ⑭ BUS SETUP 버튼 누르면 MIX버스/MATRIX 버스에 관한 설정을 하는 BUS SETUP 화면이 표시됩니다. ⑱ BANK A/BANK B 버튼 브라이트니스/콘트라스트의 설정을 저장하는 뱅크를 선택합니다. 뱅크 A/B의 각각에 설정을 저 장해 두고 필요에 따라 뱅크를 바꿀 수 있습니다. ■ DATE/TIME 버튼 누르면 날짜와 시간을 설정하는 DATE/TIME 화면이 표시됩니다. ⑲ CONTRAST NAME 노브 채널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를 조절합니다. ■ NETWORK 버튼 누르면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하는 NETWORK 화면이 표시됩니다. ⑳ BRIGHTNESS NAME 노브 채널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절합니다. ■ 인디케이터 필드 본체의 각종 정보를 표시합니다.
유저의 종류와 유저 인증키 유저의 종류에는 다음의 3가지 있습니다. QL 시리즈를 조절하려면 다음중 하나의 유저로 로그인합니 다. ・ 관리자(Administrator)....... QL 시리즈의 관리자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설정은 본체에 1개만 저장됩니다. 다른 유저의 유저 인증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유저가 로크한 콘솔이어도 관리자는 관리자 패스워드로 로크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패스워드의 설정 공장 출하 시의 상태에서는 관리자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누구라도 관리자 권한으로 로그인 하고 모든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유저의 조절을 제한하고 싶다면 반드시 관리자 패스워드를 설정해 주세요.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의 PASSWORD CHANGE 버튼을 누른다. 3.
CREATE USER KEY 화면 순서 1. 유저 인증키를 USB 메모리에 작성하는 경우, USB 메모리를 USB 단자에 삽입한다. 2.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3. SETUP 화면의 CREATE USER KEY 버튼을 누른다. 4. CREATE USER KEY 화면에서, 유저 이름, 코멘트, 패스워드, 파워 유저 속성의 온/오프, 각종 유저 권한을 설정했으면 CREATE 버튼을 누른다. 5. 본체의 내부 메모리에 유저 인증키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CREATE KEY 화면에 있는 CREATE TO INTERNAL STORAGE 필드의 버튼을 누른다. USB 메모리에 작성하는 경우에는 CREATE TO USB STRAGE 필드의 버튼을 누른다. 6. CREATE TO 버튼을 누른다. 7. 확인 화면의 OK 버튼을 누른다. SETUP 화면 C REATE USER KEY 화면 ① USER NAME 유저 이름이 표시됩니다.
로그인 ■ 게스트로 로그인 QL 시리즈를 조절하려면 관리자, 게스트, 또는 유저 중 어느 하나로 로그인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의 CURRENT USER 버튼을 누른다. 3. LOGIN 화면의 GUEST 버튼을 누른 후 LOGIN 버튼을 누른다. 관리자와 게스트 유저 설정은 본체에 저장되어 있지만 유저로 로그인할 때는, 본체 내부 메모리에 저 장된 키를 선택하거나 유저 인증키가 저장된 USB 메모리를 삽입해야 합니다. USB 메모리의 유저 인 증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로그인 후에 USB 메모리를 뽑아도, 로그인 한 유저의 상태가 유지됩니다. NOTE 전원을 다시 켜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마지막에 전원을 넣었을 때의 로그인 상태로 기동합니다.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유저인 경우에는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며 입력을 취소한 경우에는 게스트로 로그인됩니다. ■ 관리자로 로그인 순서 1.
NOTE ・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순서 6에서 LOAD 버튼을 누르면 그대로 로그인이 됩니다. ・ 패스워드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화면 하부에 "Wrong Password!"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 다. ・ 다른 QL 시리즈에서 작성한 유저 인증키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하는 QL 시리즈의 관리자 패 스워드를 입력하는 키보드 화면이 표시됩니다(관리자 패스워드가 같을 경우 표시되지 않습니 다). 올바른 관리자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선택한 유저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키보드 화면이 표시됩니다. 유저 인증키를 다시 저장하면 그 다음부터는 관리자 패스워드 확인이 생략됩니 다. 「유저 인증키의 편집」(→ P.165) 참조. ・ USB 메모리로부터의 로드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USB 메모리로부터 파일을 로드」 (→ P.180)를 참조해 주세요.
유저 인증키의 편집 유저 레벨의 변경 유저 레벨을 표시/변경합니다. 유저로 로그인하고 있는 경우, 로그인하고 있는 유저의(레퍼런스 설정, USER-DEFINED키, USER-DEFINED 노브, 어사인어블 인코더, 커스텀 페이더 뱅크, 마스터 페이더, 코멘트나 패스워드를 편집하고, 유저 인증키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워 유저로 로그인하고 있는 경우에는 한층 더 유저 레벨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사용자로 로그인하고, 프리퍼런스 설정(→ P.167), USER DEFINED키(→ P.169), USER DEFINED 노브(→ P.173), 커스텀 페이더 뱅크(→ P.175)를 편집한다. 2. USER SETUP 화면을 닫는다. 3. SETUP 화면의 SAVE KEY 버튼을 누른다. 4. SAVE KEY 화면에서 저장 장소의 버튼을 선택하고 SAVE TO 버튼을 누른다. 5. 사용자 인증키의 덮어쓰기 저장을 확인하는 대화 상자의 OK 버튼을 누른다.
・ DCA MASTER................그 DCA 그룹의 페이더, ON/OFF, ICON/COLOR/NAME의 조절을 제 한합니다. ・ DCA GROUP ASSIGN.......그 DCA 그룹에 대한 어사인의 변경을 제한합니다. ・ SET BY SEL....................이 버튼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패널에서 해당하는 채널의 [SEL]키 를 누름으로써 그 채널의 위에서 서술한 조절 권한을 한꺼번에 설 정/해제합니다. USER SETUP 화면 ② CURRENT SCENE 커런트 씬 메모리에 대해서 조절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합니다. ・ INPUT PATCH/INPUT NAME....... 인풋계열 채널의 패치나 이름에 대한 조절을 제한합니다. ・ OUTPUT PATCH/INPUT NAME.... 아웃풋계열 채널의 패치나 이름에 대한 조절을 제한합니다. ・ BUS SETUP.............................. .버스의 셋업에 대한 조절을 제한합니다.
⑤ FILE LOAD USB 메모리로부터 로드하는 파일에 대해서 어느 설정을 반영할지를 지정합니다. 유저 인증키에 는 유저 레벨, 프리퍼런스 및 USER DEFINED키 등의 각종 설정(USER SETUP설정)이 저장됩니 다. 그외의 데이터는 "ALL" 파일에 저장됩니다. "ALL" 파일에는, 관리자(Administrator)나 게스트(Guest)의 USER SETUP 설정도 포함됩니다. ・ ・ ・ ・ ・ USER SETUP 화면(PREFERENCE 페이지) USER SETUP(프리퍼런스, USER DEFINED키 설정 등) SYSTEM SETUP/MONITOR SETUP(시스템 셋업 및 모니터 셋업) CURRENT SCENE SCENE LIST LIBRARY LIST ⑥ MONITOR SETUP 모니터 셋업의 조절 가능한 범위를 설정합니다. ・ OSCILLATOR(오실레이터) ・ TALKBACK(토크 백) ⑦ SYSTEM SETUP 시스템 셋업의 조절 가능한 범위를 설정합니다.
・ DIGITAL I/O ERROR 켜면 디지털 오디오의 입출력에 에러가 일어났을 때에 에러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씬 메모리와 각종 라이브러리의 화면에 표시되는 리스트의 순서를 선택합니다. "NORMAL"에서는 번호가 작은 순,"REVERSE"에서는 번호가 큰 순으로 표시됩니다. ・ MIDI I/O ERROR 켜면 MIDI의 송수신에 에러가 일어났을 때 에러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NAME DISPLAY 채널 스트립 섹션의 네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내용을 선택합니다. "NAME ONLY"에서는 채널 이름과 채널 번호가 표시됩니다. "GR METER"에서는 GR METER 의 정보, 페이더의 레벨 값도 함께 표시됩니다. ➄ PANEL OPERATION 패널 조절에 관한 옵션 기능을 선택합니다. ・ AUTO CHANNEL SELECT 어느 채널의 [ON]키나 페이더를 조절했을 때에, 그 채널을 선택 상태로 할지의 여부를 설정 합니다.
USER DEFINED키 ALTERNATE 기능을 사용 톱 패널의 USER DEFINED KEYS 섹션에 있는 USER DEFINED키에 기능을 할당해 두고, 그 기능을 실 행하는 방법을 설명 하겠습니다. USER DEFINED키에 ALTERNATE 기능(ALTERNATE FUNCTION)을 할당하고 그 키를 켜면, SELECTED CHANNEL SECTION의 노브를 조절하여 파라미터의 온/오프 전환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유저로 로그인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유저의 USER DEFINED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로 로그 인하고 있는 경우에는 게스트의 USER DEFINED키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ALTERNATE 기능이 할당된 USER DEFINED키를 누른 상태(켠 상태)를 ALTERNATE 모드라고 합니다. ALTERNATE 기능에서는 LATCH와 UNLATCH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USER DEFINED키에 할당 가능한 기능 펑션 파라미터 1 파라미터 2 해설 - 할당 없음. LATCH - 누를 때마다, ALTERNATE FUNCTION을 전환 시킨다. UNLATCH - 누르고 있는 동안만 ALTERNATE FUNCTION으로 전환한다. - override 버튼이 켜져 있는 그룹 a 채널은, 0dB(유니티 게인)까 지 페이드 인한다. 꺼져 있는 채널은 모두 뮤트된다. - 그룹 a의 채널이 점등 preset 인디케이터 옆에 있는 모드 버튼 (man, auto, mute)의 모드로 들어간다.
펑션 파리미터 1 파리미터 2 OUTPUT CUE GAIN KNOB FUNCTION GEQ FREQ BANK GPI OUT SPECIFICCH *2) MONITOR ON 리스트 2)에서 선택한 채널을 CUE 한다. OUTPUT EFFECT RACK1–8 PREMIUM RACK1A PREMIUM RACK1B : PREMIUM RACK8A PREMIUM RACK8B 파리미터 2 SELECTED CH ASSIGN MONITOR LATCH - UNLATCH - INC DEC LATCH HELP SELECTEDC HVIEW OVERVIEW TOGGLE METER 파리미터 1 큐 모드를 선택한다. PEAK HOLD ON PROGRAMC HANGE CONTROLC HANGE MIDI GAIN KNOB의 기능(ANALOG GAIN/DIGITAL GAIN)을 전환한다. DIGITAL GAIN일 때 점등.
함수 PARAMETER1 PARAMETER2 BOOKMARK PAGE CHANGE BOOKMARK with “SEL” PREVIOUS PAGE NEXT PAGE CLOSE POPUP AUTO REC REC & START NO ASSIGN (TITLE 1) DIRECT PLAY SCENE SEND MODE MIX/MATRIX MIX1–MIX16 MTRX1–MTRX8 SENDS ON FADER MIX ON FADER MATRIX ON FADER SENDS ON FADER SCENE #000–#300 SET [PRE SEND] SET [TO STEREO] SET [TO MONO] SET [TO LCR] SET DEFAULT VALUE SET NOMINAL VALUE LATCH TALKBACK ON UNLATCH TALKBACK SELECTED CH ASSIGN DIRECT ASSIGN CURRENT PAGE TAP TEMPO EFFECT RACK1–8 *1) *2) *3) *4)
USER DEFINED 노브 TOUCH AND TURN에 대해서 터치스크린 아래에 표시되어 있는 USER DEFINED 노브에 기능을 할당해 두고, 그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유저로 로그인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유저의 USER DEFINED 노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로 로그인하고 있는 경우에는 게스트의 USER DEFINED 노브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터치스크린에서 조절하고 싶은 노브를 눌러, [TOUCH AND TURN] 노브로 바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때 터치스크린 내의 조절할 수 있는 노브에 핑크색 테두리가 표시됩니다. NOTE 할당할 수 있는 FUNCTION이나 그 파라미터에 대해서는「USER DEFINED 노브로 할당 가능한 기능」(→ P.174)을 참조해 주세요.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의 USER SETUP 버튼을 누른다. 3.
USER DEFINED 노브에 할당 가능한 기능 함수 PARAMETER1 PARAMETER2 WEIGHT *1) NO ASSIGN AUTOMIXER LAMP PARAMETER1 PARAMETER2 EQ HIGH GAIN *2) EXTERNALHA GAIN1–GAIN8 *10) HPF I/O DEVICE PANEL BRIGHTNESS 함수 INPUT DELAY SCREEN CH COLOR INPUT GAIN NAME INPUT PFL TRIM CUE MIDI CONTROL CHANGE OUTPUT PFL TRIM RANGE MONITOR RATIO ATTACK OSCILLATOR KNEE *13) TALKBACK DIMMER LEVEL MONITOR DELAY HPF LPF WIDTH THRESHOLD INTERVAL RATIO OUTPUT LEVEL FREQUENCY *4) OUTPUT PORT LEVEL DELAY TIME GAIN *
커스텀 페이더 뱅크 USER SETUP 화면 (CUSTOM FADER BANK/MASTER FADER 페이지) 톱 패널의 페이더에 전개되는 조합을 페이더 뱅크라 부릅니다. 페이더 뱅크에는, 인풋계열 채널, 아웃풋계열 채널 외에 채널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합할 수 있는 커스 텀 페이더 뱅크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커스텀 페이더 뱅크를 설정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의 USER SETUP 버튼을 누른다. 3. USER SETUP 화면의 CUSTOM FADER 탭을 누른다. 4. 뱅크 셀렉트 키로 커스텀 페이더 뱅크에 등록하고 싶은 채널이 있는 페이더를 톱 패널에 불러낸다. 5. CUSTOM FADER BANK/MASTER FADER 페이지에서, 설정하고 싶은 커스텀 페이더 뱅크의 뱅크 선택 버튼을 누른다. 6. CHANNEL ASSIGN 필드에서, 설정하고 싶은 페이더 선택 버튼을 누른다. 7.
씬 데이터 중의 커스텀 페이더 뱅크 커스텀 페이더 뱅크의 설정은 씬별로 스토어/리콜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포커스 리콜 기능을 사용"(→ P.80)을 참조해 주십시오. 콘솔 로크(LOCK) 잘못된 조절을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콘솔의 조절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의도하지 않았는데 조절 단 자에 손이 닿거나 오퍼레이터가 휴식하는 사이에 다른 사람이 조절하지 못하도록, 패널에 있는 조절 단자를 조절할 수 없도록 설정합니다. 현재 로그인하고 있는 유저에게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로크 합 니다. 콘솔 로크가 활성화되면, CONSOLE LOCK 화면이 표시되며, 모든 조절 단자를 조절할 수 없게 됩니다. NOTE ・ 커스텀 페이더의 설정은 모델에 따라 다르며, 호환성은 없습니다. 예를 들면, QL5에서 스토어 한 씬은 QL1에서 리콜 할 수 없습니다. ・ 또한, 커스텀 페이더 뱅크의 설정은 유저 레벨에 따라 스토어/리콜 됩니다.
설정 데이터를 USB 메모리에 저장/로드 디스플레이 우측면의 USB 단자에 USB 메모리를 삽입하여 QL 시리즈 내부의 설정 데이터 및 유저 인 증키를 USB 메모리에 저장/로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주의사항 저장/로드/삭제 등 데이터의 접속 중에는 ACCESS 인디케이터가 FUNCTION ACCESS AREA에 표 시 됩니다. 이 때는 USB 단자를 뽑거나, QL 시리즈의 전원을 끄거나 하지 마세요. 기억 미디어의 데이터가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SETUP 화면 NOTE ・ USB 플래시 메모리만 작동을 보증하고 있습니다. ・ USB 메모리 용량은 32GB까지 작동 확인이 되었습니다(단, 모든 USB 메모리의 작동을 보증 하지는 않습니다). 지원하는 포맷 형식은 FAT16/FAT32입니다. 또, 포맷할 경우에는 4GB 이 상의 메모리는 FAT32로 2GB이하의 메모리는 FAT16으로 포맷됩니다. 콘솔 로크를 해제 순서 1. CONSOLE LOCK의 화면을 누른다. 2.
⑦ 파일 리스트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나 서브 디렉터리가 표시됩니다. 반전된 열은 조절 대 상으로 선택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파일 리스트의 다음과 같은 항목 이름을 누르면 그 항목 이름이 오렌지색으로 바뀌며, 목록이 정렬합니다. 누를 때마다 정렬 순서가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이 서로 바뀝니다. SAVE/LOAD 화면 저장되어 있는 파일 및 서브 디렉터리가 리스트 표시됩니다. ・ FILE NAME.......파일 이름 또는 디렉터리 이름과 그 타입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 COMMENT........QL 시리즈의 파일에 써넣은 코멘트가 표시됩니다. 이 부분에 커서를 맞추고 [ENTER]키를 누르면 파일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키보드 창이 표시됩니다. ・ READ ONLY.......라이트 프로텍트가 걸린 파일에는 자물쇠 마크가 표시됩니다.이 부분을 누르 면, 프로텍트의 활성/비활성이 전환합니다. 라이트 프로텍트가 걸린 파일은, 덮어쓰기를 할 수 없게 됩니다. ・ TYPE...
QL의 내부 데이터를 USB 메모리에 저장 QL 시리즈의 모든 내부 데이터를 USB 메모리에 설정 파일로서 저장합니다. 저장된 파일의 확장자는 ".CLF"가 됩니다. 순서 1. SAVE/LOAD 화면의 SAVE 버튼을 누른다. 2. SAVE SELECT 화면에서 저장할 데이터, 데이터의 타입, 저장할 장소를 선택한다. 3. SAVE SELECT 화면의 SAVE 버튼을 누른다. 4. 파일 이름과 코멘트를 입력한다. 5. SAVE 버튼을 눌러 저장을 실행한다. SAVE SELECT 화면 버튼 데이터 내용 IN CH LIB 인풋 채널 라이브러리 OUT CH LIB 아웃 채널 라이브러리 IN EQ LIB 인풋 EQ라이브러리 OUT EQ LIB 아웃 EQ라이브러리 DYNA LIB 다이내믹스 라이브러리 ● EFFECT/GEQ 탭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NOTE 아웃풋 포트의 항목을 개별로 저장한 경우에는, 포트에 할당된 채널의 설정은 저장되지 않습니 다. 그 채널 설정이 있는 입출력의 패칭을 포함한 씬(SCENE)도 동시에 저장해 주세요. ② SOURCE 필드 QL 시리즈의 내부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USB 메모리에서 파일을 로드(LOAD) USB 메모리에 저장된 QL 설정 파일(확장자. CLF)을 QL 시리즈에 로드합니다. 같은 순서로 설정 파일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파일을 로드할 수도 있습니다. ③ DESTINATION 필드 저장하는 장소를 표시합니다. ⓸ 데이터 선택 노브 필드에 표시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노브입니다. 확장자 타입 파일의 내용 . CLF ALL QL 시리즈의 내부 설정 파일 . CLU KEY QL 시리즈의 유저 인증키 . XML XML 도움말 표시용 XML 파일 . TXT TEXT 도움말 표시용 텍스트 파일 .
・ EFFECT/GEQ 탭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LOAD SELECT 화면 버튼 데이터 내용 EFFECT LIB EFFECT 라이브러리 GEQ LIB GEQ 라이브러리 ・ PREMIUM 탭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버튼 데이터 내용 5033 LIB Portico5033 라이브러리 5043 LIB Portico5043 라이브러리 U76 LIB U76 라이브러리 Opt-2A LIB Opt-2A 라이브러리 EQ-1A LIB EQ-1A 라이브러리 DynaEQ LIB DynamicEQ 라이브러리 ・ SETUP 탭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① TYPE 필드 ・ 로드하는 데이터의 타입을 표시합니다. 표시는 탭의 선택에 따라 다릅니다. ・ ALL 탭 모든 항목을 대상으로 합니다. ・ SCENE 탭 씬 메모리를 대상으로 합니다. ・ INPUT/OUTPUT 탭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 ADMIN 탭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버튼 데이터 내용 ADMIN PREF PREFERENCE (Administrator용) ADMIN UDEF USER DEFINED KEYS/USER DEFINED KNOBS (Administrator용) ADMIN FADER CUSTOM FADER BANK (Administrator용) GUEST PREF PREFERENCE (Guest용) GUEST UDEF USER DEFINED KEYS/USER DEFINED KNOBS (Guest용) GUEST FADER CUSTOM FADER BANK (Guest용) GUEST LEVEL USER LEVEL (Guest용) USB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편집 USB 메모리에 있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정렬하고, 파일이름/코멘트의 편집, 카피(복제), 페이스트(붙이기) 등의 편집을 합니다.
■ 파일 이름/코멘트의 변경 USB 메모리의 포맷 순서 1. SAVE/LOAD 화면의 각 파일의 FILE NAME 또는 COMMENT를 누른다. 2. 키보드 창에서 파일 이름/코멘트를 입력하고 RENAME 버튼 또는 SET 버튼을 누른다. USB 메모리를 포맷합니다. 4GB 이상의 USB 메모리는 FAT32로, 2GB 이하의 USB 메모리는 FAT16로 포맷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눌러 SETUP 화면을 불러온다. 2. SETUP 화면의 SAVE/LOAD 버튼을 누른다. 3. SAVE/LOAD 화면의 FORMAT 버튼을 누른다. 4. 볼륨 이름을 입력하고 FORMAT 버튼을 누른다. 5. OK 버튼을 눌러 포맷을 실행한다. NOTE 라이트 프로텍트가 걸려있는 파일은 파일 이름/코멘트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 파일을 카피/페이스트 임의의 파일을 버퍼 메모리에 카피하고, 다른 파일 이름을 붙여 페이스트(붙이기) 합니다. 순서 1.
USB 단자에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복귀 워드 클록/슬롯의 설정 USB 단자에 과전류가 발생함에 따라 USB 기기와의 접속이 끊겨도 본체의 전원을 다시 넣지 않고 USB 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워드 클록"이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타이밍의 기본이 되는 클록을 말합니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때는 상호의 기기를 동일한 워드 클록으로 동기 시켜야 합니다. 동기가 어긋난 상태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교환하면 샘플링 주파수가 같아도 데이터가 올바르게 송수신할 수 없거나 신호에 노이즈가 생기거나 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선 기준이 되는 워드 클록을 송신하는 기기(워드 클록 마스터)를 정하고 나머지 기기(워드 클록 슬레이브)는 워드 클록에 동기 하도록 설정합니다. QL 시리즈를 워드 클록 슬레이브로 사용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워드 클록에 동기 시키려면 클록 소스(워드 클록이 공급되는 포트)를 지정해야 합니다.
・ DANTE 48k ・ DANTE 44.1k 본체의 리어 패널에 있는 Dante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워드 클록을 클록 소스로 사용합니다. WORD CLOCK/SLOT 화면 ・ SLOT 1~2 본체의 슬롯에 장착된 디지털 I/O 카드를 통해 공급되는 워드 클록을 클록 소스로 사용합니 다. 워드 클록은 슬롯마다 2채널 단위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③ 클록 스테이터스 표시 클록 소스마다 마스터 클록에 대한 동기 상태(스테이터스)를 나타냅니다. 표시 내용은 다음과 같 습니다. ・ LOCKED(하늘색) 선택한 클록 소스와 동기화 된 클록이 입력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해당하는 단자/슬롯에 외 부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기기와 QL 시리즈와의 사이에서 정상적인 입출 력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단, 샘플링 주파수가 근접하고 있는 경우, 동기하고 있지 않아도 이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캐스케이드 접속을 이용 ■ SLOT 필드 QL의 리어 패널에 있는 MY 슬롯의 각종 설정을 합니다. ⓸ 카드 이름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의 종류가 표시됩니다.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라고 표 시됩니다. ⑤ SRC 버튼 SRC(샘플링 레이트 컨버터) 기능이 있는 MY 카드(MY8-AE96S)가 장착되어 있는 슬롯에서, SRC 기능의 온/오프를 전환 합니다. 그 외의 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또는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않은 경우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⑥ FREQUENCY 표시 AES/EBU 카드 등, 입력 신호의 서브 스테이터스를 검출할 수 있는 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입력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가 표시됩니다. 그 외의 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또는 카드가 장 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라고 표시됩니다. 여러 QL 시리즈, 또는 QL 시리즈와 외부 믹서(야마하 PM5D 등)를 캐스케이드 접속함으로써, 버스를 공통화 할 수 있습니다.
NOTE ・ PM5D와 캐스케이드 접속하는 경우에는 PM5D측의 CASCADE IN PORT SELECT를 슬롯에 할 당하는 것으로 QL 시리즈를 캐스케이드 슬레이브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단, 음성 신호의 캐스 케이드만으로 컨트롤 신호의 링크를 할 수 없습니다. ・ AD/DA 카드나 OMNI OUT 단자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믹서와 캐스케이드 접속할 수도 있습니 다. ・ 캐스케이드 접속할 수 있는 대수에 제한은 없지만, 캐스케이드 마스터의 대수에 따라 캐스케 이드 슬레이브의 신호의 지연이 커집니다. CASCADE 화면(CASCADE OUT PATCH장) 각종 버스를 출력하는 슬롯/출력 포트를 선택합니다. 캐스케이드 슬레이브 QL 시리즈의 조절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의 SYSTEM SETUP 필드에 있는 CASCADE 버튼을 누른다. 3. CASCADE 화면의 CASCADE OUT PATCH 탭을 누른다. 4.
・ ・ ・ ・ 씬의 스토어 조절 DIMMER(MONITOR 화면)의 조절 패널 LED와 디스플레이의 브라이트니스(SETUP 화면)의 조절 마스터의 뮤트 그룹의 조절 캐스케이드 마스터 QL 시리즈의 조절 ③ CASCADE COMM PORT QL 시리즈 끼리를 캐스케이드 접속하여 큐 조절이나 씬의 스토어/리콜 조절 등을 링크시킬 때, 링크 정보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통신 포트를 선택합니다. ・ NONE............링크 동작 없음 ・ MIDI...............MIDI 포트를 사용 ・ SLOT1...........SLOT1을 사용 ⓸ 탭 항목을 바꿉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의 SYSTEM SETUP 필드에 있는 CASCADE 버튼을 누른다. 3. CASCADE 화면의 CASCADE IN PATCH 탭을 누른다. 4.
MIX 버스/MATRIX 버스의 기본 설정 BUS SETUP 화면 MIX 버스/MATRIX 버스의 각종 설정을 합니다. MIX 버스나 MATRIX 버스의 기본 설정(스테레오/모노의 전환, 인풋 계열 채널에서 신호를 보낼 때의 송출 위치 등)을 변경합니다. 다음의 조절로 설정한 내용은 씬의 일부로 저장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의 BUS SETUP 버튼을 누른다. 3. BUS SETUP 화면의 탭을 사용하여 설정을 변경하고 싶은 버스를 선택한다. 4. 시그널 타입 전환 버튼을 사용하여, 버스마다 STEREO(홀수/짝수 번호순으로 정열 된 2개의 버스 단위로 주요 파라미터를 연동시킨다) 또는 MONOx2(모노 × 2채널로 사용한다)를 선택한다. 5. 버스 타입/센드 포인트 선택 버튼을 사용하여 버스 타입과 인풋계열 채널에서 신호가 보내지는 위 치를 선택한다. 6. 필요에 따라 PAN LINK 필드 버튼의 온/오프를 설정한다.
⓸ PAN LINK 버튼 이 버튼은 SIGNAL TYPE이 STEREO로 버스 타입이 VARI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됩니 다. 이 버튼이 켜지면 INPUT 채널에서 해당하는 2개의 버스로 전송되는 신호의 PAN이 STEREO 버스의 PAN과 연동합니다. 터치스크린/LED/이름 표시/램프의 휘도를 설정 ⑤ 탭 MIX/MATRIX 버스를 전환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2. SETUP 화면 하단 우측에 있는 필드에서, BANK A 또는 BANK B 버튼을 누른다. 3.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각각의 휘도를 조절한다. 팬텀 전원 전체의 온/오프를 전환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눌러, SETUP 화면을 표시시킨다. 2. SETUP 화면의 중앙에 있는 +48V MASTER 필드에서 ON 버튼 또는 OFF 버튼을 누른다.
⑤ SCREEN 터치스크린의 밝기를 설정합니다. 휘도를 2이하로 설정했을 때에는 화면이 완전히 안 보이게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하며 다음 전원 을 켰을 때, 휘도 2로 기동합니다. ③ FORMAT(표시 형식) 내장 시계의 날짜/시각의 표시 방법을 선택합니다. 표시 방법은 다음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날짜 MM/DD/YYYY(월/일/서기년) DD/MM/YYYY(일/월/서기년) YYYY/MM/DD(서기년/월/일) ⑥ PANEL 톱 패널의 LED 밝기를 설정합니다. NOTE AD8HR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AD8HR의 LED 밝기도 변합니다. ・ 시각 24-Hour(시간을 0~23시로 표시) 12-Hour(시간을 AM 0~AM 11시, PM 0~PM 11시로 표시) ⑦ LAMP 리어 패널의 LAMP 단자에 접속된 램프의 밝기를 설정합니다.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 내장 시계의 시간을 설정 QL 시리즈 NETWORK 단자를 사용하여 컴퓨터와 접속할 때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합니다.
Dante 오디오 네트워크를 설정 NETWORK 화면 ① IP ADDRESS 인터넷과 LAN에서 각각의 장치를 식별하는 주소를 설정합니다. QL 시리즈 본체, 및 본체의 Dante 단자와 접속하는 I/O 디바이스의 Dante 오디오 네트워크 설정은, QL 시리즈에서 합니다. 여기에서는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의 설정에 대해 설명합니다. ② GATEWAY ADDRESS 네트워크 내부에서 매체 및 프로토콜이 다른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기기(게이트웨이)를 식별 하는 주소를 설정합니다. 순서 1.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눌러, SETUP 화면을 표시시킨다. 2. 화면 중앙의 DANTE 필드에 있는 DANTE SETUP 버튼을 눌러 DANTE SETUP 화면을 표시시킨다. 3. DANTE SETUP 화면 하부의 SETUP 탭을 누른다. ③ SUBNET MASK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 주소 중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주소로 몇 비트를 사용할지를 정의합니다.
⑥ BIT 선택 버튼 오디오의 비트 레이트를 24비트와 32비트에서 선택합니다. DANTE SETUP 화면(SETUP 페이지) ・ 24bit.............Rio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QL 시리즈의 시스템에서는 이 설정으로 사용합니다. ・ 32bit.............25bit 이상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될 경우(캐스케이드, 게인 컴펜세이션 사용 시)에 유리하지만 데이터 통신량은 24bit 때보다 20~30% 가량 증가합니다. ⑦ LATENCY 선택 버튼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의 레이텐시를 0.25ms/0.5ms/1.0ms/2.0ms/5.0ms 중에서 선택합니다. 접속 방법과 규모에 따라 레이텐시의 설정은 바뀝니다. 자세한 것은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의 레이텐시를 설정」(→ P.194)을 참조해주십시오. ⑧ DANTE PATCH BY 선택 버튼 Dante Controller를 사용하여 Dante의 패치를 할 때에 사용하는 선택 버튼입니다.
NOTE ・ SECONDARY PORT를 변경하는 경우, QL 시리즈와 I/O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도 변경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REDUNDANT로 설정했을 때의 연결 상태에서 DAISY CHAIN으로 변경 하면, 음성신호를 주고받을 수 없게 됩니다. 설정을 변경하기 전에 케이블을 빼 놓도록 하세 요. ・ CONSOLE ID와 SECONDARY PORT의 설정은 QL 시리즈를 초기화해도 변경되지 않습니다. ・ CONSOLE ID를 OFF 또는 2, 3, 4로 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있는 CONSOLE ID=1로 설정된 QL 시리즈 본체의 DANTE SETUP 화면에서 BIT와 LATENCY를 변경해도, CONSOLE ID가 OFF 또는 2, 3, 4로 되어 있는 QL 시리즈 본체의 BIT/LATENCY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 CONSOLE ID를 OFF로 한 경우, DANTE PATCH BY 필드가 "DANTE CONTROLLER"로 고정 됩니다.
■ 접속 예와 레이턴시 설정 리던던시 접속 심플한 64 인 48 아웃 디지 체인 접속 심플한 64인 48아웃 4 홉 = 0.5ms 리던던시 접속 FOH/모니터에서 64 인 48 아웃을 공유 3홉=0.25ms 3홉=0.25ms 디지 체인 접속 FOH/모니터로 64인 48아웃을 공용 4 홉 = 0.5ms 4홉=0.5ms 3홉=0.
디지 체인 접속 256 채널 HA 리모트(최대 규모) 9 홉 = 1.0ms 리던던시 접속 256 채널 HA 리모트(최대 규모)를 2대의 콘솔에서 공용 4 홉 = 0.5ms 5 홉 = 0.
③ I/O 디바이스 선택 버튼 누르면, DEVICE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버튼 상단에는 디바이스 라벨이 표시됩니다. 버튼 의 하단에는 제품 이름과 입출력 수가 표시됩니다. 마운트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단에 "---"라고 표시되고, 하단은 표시 없음으로 됩니다.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에 있는 I/O 디바이스를 마운트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에 있는 I/O 디바이스 중에서 어떤 기기를 사용하는지를 선택하여 마운트 합니 다. 1대의 QL 시리즈에 대해 최대 24대 마운트 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DANTE SETUP 화면 하부의 DEVICE MOUNT 탭을 누른다. 2. I/O 디바이스 선택 버튼을 누른다. 3. DEVICE SELECT 화면에서, 설정 방법 선택 버튼을 누른다. 4.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하여 설정한다. 5. 설정이 끝났으면 OK 버튼을 눌러 화면을 닫는다.
■ 설정 방법 선택 버튼=DEVICE LIST일 때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에 있는 I/O 디바이스의 목록에서 선택하여 마운트 하는 경우에는 DEVICE LIST 버튼을 눌러 DEVICE LIST 필드를 표시합니다. ■ 설정 방법 선택 버튼=SUPPORTED DEVICE일 때 QL 시리즈가 서포트하고 있는 I/O 디바이스에서 선택하여 마운트 하는 경우에는 SUPPORTED DEVICE 버튼을 눌러 SUPPORTED DEVICE 필드를 표시합니다.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아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① DEVICE LIST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에 있는 I/O 디바이스의 리스트가 표시됩니다. 리스트에서 마운트 하는 I/O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① DEVICE TYPE QL 시리즈가 서포트하고 있는 I/O 디바이스 타입이 목록 표시됩니다. 리스트에서 마운트 하는 I/O 디바이스 타입을 선택합니다.
NOTE ・ I/O 디바이스가 1대인 경우에는, I/O 디바이스의 UNIT ID를 "1"로 설정합니다. ・ 접속하는 기기가 여러 개인 경우, ID는 기기끼리 겹치지 않게 할당합니다. ・ R시리즈 이외에는, 기종이 다르면 Rio 시리즈나 그 밖의 종류의 기종과 같은 ID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단, I/O 디바이스의 입출력 포트 화면의 표시는 UNIT ID로 표시되기 때문에 구별하 기 어려워지므로 되도록 겹치지 않게 설정해 주세요. ・ 패널, 설정 화면 등에서 UNIT ID, 디바이스 라벨을 변경할 수 없는 기기(Dante-MY16-AUD 카 드, Dante Accelerator 등)를 SUPPORTED DEVICE로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 Dante Controller 에서 디바이스 라벨을 변경해야 합니다. ・ I/O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라벨을 다음과 같이 붙이면 SUPPORTED DEVICE로 인식합니다.
REMOTE HA의 설정 Dante 오디오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 HA 디바이스 중에서, 어떤 기기를 사용할지를 선택하고 마운트 합니다. 1대의 QL 시리즈에 최대 8대까지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DANTE SETUP 화면 하부의 REMOTE HA ASSIGN 탭을 누른다. 2. HA 디바이스 선택 버튼을 눌러 REMOTE HA SELECT 화면을 표시한다. 3. 마운트 할 HA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누른다. WITH RECALL 버튼을 누르고 설정을 변경한 경우에는, 확인 다이얼로그에서 OK 버튼을 누른다. ③ HA 디바이스 선택 버튼 누르면, REMOTE HA SELECT 화면이 표시됩니다. 버튼 상단에는 디바이스 라벨이 표시됩니다. 버튼의 하단에는 제품 이름과 입출력 수가 표시됩니다. 마운트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단에 "---"라고 표시되고, 하단은 표시 없음으로 됩니다. 이 버튼의 아래에 표시되는 VIRTUAL/CONFLICT/DUPLICATE에 대해서는, P.
기기 상태의 표시 접속되어 있는 QL 시리즈 및 R 시리즈(Ro8-D 제외)의 기기 상태나 Dante의 상태를 터치스크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 시리즈의 상태를 콘솔에서 확인하려면, DANTE SETUP에서 REMOTE HA로 어 사인 해야 합니다. ■ R 시리즈 I/O DEVICE 화면의 Rio 필드에서, R 시리즈 본체와 Dante 네트워크의 상태가 인디케이터 표시됩니다. V1.60 대응하기 전의 펌웨어인 경우, 버전 표시가 노란색이 되며 인디케이터는 소등합니다. ■ QL 시리즈 DANTE SETUP 화면의 SETUP 필드에서, QL 시리즈 본체와 Dante 네트워크의 상태가 인디케이터 표 시됩니다. 메시지 일람 오류/경고/인포메이션의 각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또, Dante Controller의 Error Status에도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각 인디케이터의 점등/점멸은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 기재 없음 점등 점멸 2회 점멸 3회 점멸 - 201 - 소등 계속 점등합니다.
■ 에러 메시지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 SYSTEM의 인디케이터가 다음과 같이 점등/정기적으로 점멸 합니다.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QL5/QL1 취급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는 야마하 수리 상담 센터에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SYSTEM] 인디게이터 내용 ■ 경고 메시지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 인디케이터는 계속하여 점등/정기적으로 점멸합니다. 녹색[SYNC] 인디케이터가 소등되어 있으면 기기의 클록이 미확정인 것을 나타냅니다. [SYSTEM] 인디게이터 내용 대책방법 워드 클록의 설정이 잘못됨. QL5/QL1 네이티브 대응 기기 또는 Dante Controller에서 클록 마스터와 샘플링 주파수를 올바르게 맞추어 주세요. Dante 네트워크의 회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 Ethernet 케이블이 빠져 있지 않은지, 또는 단선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해 주세요. Dante 네트워크의 연결이 잘못되었으므로, 다른 Dante 기기를 발견할 수 없음.
■ 인포메이션 메시지 인디케이터는 점등/정기적으로 점멸하여, 상태를 통지합니다. 주황색[SYNC] 인디케이터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녹색[SYNC] 인디케이터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기의 클록이 미확정인 것을 나타냅니다. [SYSTEM]인디게이터 내용 동기 처리를 하고 있음. 대책방법 동기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주십시오.. 동기가 완료될 때까지 최대 45초가 걸릴 수 있습니다. 점등 리어 패널에 있는 GPI단자는 GPI(General Purpose Interface)의 입출력 단자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단자는 5계통의 GPI IN 포트와 5계통의 GPI OUT 포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부 스 위치 등을 사용하여 QL 시리즈 내부의 파라미터나 씬(SCENE)의 전환을 조절하거나, 반대로 QL 시리 즈의 조절이나 씬(SCENE)의 전환에 따라 외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할 수 있습니다.
NOTE ・ 래치 작동에서는 외부 스위치로부터의 트리거가 입력될 때마다 활성화/비활성화가 바뀝니다. 이 경우, 외부 스위치는 NON-LOCKING 타입을 추천합니다. ・ 언 래치 작동에서는 외부 스위치로부터의 신호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일 때만 활성화됩 니다. 이 경우, 외부 스위치는 사용 목적에 따라 NON-LOCKING 타입 또는 LOCKING 타입을 사용하여 주세요. ・ MIDI/GPI 화면의 GPI 페이지 설정은, 모든 씬에 공통입니다. 또, SETUP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습니다. ③ POLARITY MODE 선택 버튼 GPI IN 포트의 극성을 선택합니다. .....................(로우 액티브) 온/오프 전환식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스위치가 접지 했을 때 활성화 됩니다. .....................(하이 액티브) 온/오프 전환식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스위치가 오픈되었을 때, 또는 하이 레벨의 전압이 입력되었을 때 활성화됩니다.
② POLARITY MODE 선택 버튼 GPI OUT 포트의 극성을 선택합니다. ...........................(로우 액티브) GPI OUT 포트가 활성화일 때에 접지합니다. ...........................(하이 액티브) GPI OUT 포트가 활성화일 때에 오픈됩니다. ③ GPI OUT SETUP 버튼 현재 설정하고 있는 Function 이름과 파라미터 이름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GPI-OUT SETUP 화면이 표시됩니다. SETUP 화면 MIDE\I/GDI 화면 MIDI/GPI 화면(GPI페이지)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FADER START의 사용 MIDI/GPI 화면(FADER START 페이지) GPI OUT 포트에 접속한 기기를 페이더 조절에 연동시키는 경우에는, FADER START를 설정합니다. 순서 1. QL 시리즈의 GPI 단자에 외부 기기를 접속한다. 2.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3. SETUP 화면의 MIDI/GPI 버튼을 누른다. 4. MIDI/GPI 화면의 FADER START 탭을 누른다. 5. GPI OUT 포트마다 외부 기기를 연동시키는 채널과 작동을 설정한다. ① CLEAR ALL 버튼 모든 선택을 해제합니다. ② OUTPUT DESTINATION 필드 SETUP 화면 ・ GPI OUT1~GPI OUT5 버튼 설정하는 GPI OUT 포트를 선택합니다. MIDI/GPI 화면 ③ 페이더 표시 선택된 페이더를 표시합니다. 본체 패널의 [SEL]키로 페이더를 선택합니다. NOTE QL1인 경우, 그 기종에 없는 채널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➃ THRESHOLD 필드 다음 그림은 각각의 페이더 모드로 페이더를 조절했을 때 GPI OUT 포트의 출력 신호가 어떻게 변화 할지를 나타낸 것입니다. THRESHOLD 필드의 UPSTROKE는 -60.00, DOWNSTROKE는 -∞로 설정한 경우입니다. (이 그림은 GPI OUT 포트의 POLARITY로서 선택한 경우입니다. POLARITY가 인 경우에는 출력 신호의 극성이 반대로 됩니다). ・ UPSTROKE/DOWNSTROKE 노브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때의 기준이 되는 레벨을 설정합니다. UPSTROKE는 그 레벨을 넘어섰을 때, DOWNSTROKE는 그 레벨을 밑돌았을 때 트리거 신호가 출력됩니다. [TOUCH AND TURN] 노브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NOTE ・ UPSTROKE/DOWNSTROKE 노브로 설정하는 THRESHOLD 값은, 각 채널(페이더), 각 GPI OUT PORT에 대해 공통 적용됩니다. 단, GPI OUT PORT별로 채널(페이더)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HELP) 기능 NOTE 텍스트 파일의 문자 코드는, 표준에서 UTF-8로 인식됩니다. 단, 파일 처음에 [Shift_JIS] 또는 [ISO-8859-1]와 같은 행을 추가해 두면, 그 문자 코드로서 인식이 가능합니다. 사용하시는 텍 스트 에디터에서 파일을 저장할 때, 적절한 문자 코드를 지정하여 저장해 주세요. 도움말 기능으로 표시할 수 있는 텍스트 파일(문자 코드/언어)은, 다음과 같습니다. 야마하에서 제공되고 있는 도움말 파일(확장자. xml)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 파일의 최신 정보 에 대해서는 야마하 프로 오디오 웹 사이트를 참조해 주세요. http://proaudio.yamaha.co.jp/ ・ ・ ・ ・ 또, 일반적인 텍스트 에디터나 Microsoft Windows 시리즈 부속의 "메모장"등을 사용하여 작성한 텍스 트 파일(확장자. txt)을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 패널 조절 단자에 대한 도움말을 직접 불러낼 경우 도움말 기능을 할당한 USER DEFINED키를 누르면서, 기능의 개요를 알고 싶은 패널의 조절 단자를 누르면(또는 돌리면) 그 조절 단자의 설명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항목의 도움말이 표시됩니다. 도움말 기능을 할당한 USER DEFINED키를 다시 한 번 누르면 화면이 닫힙니다. USER DEFINED키를 사용하여 도움말을 직접 불러내기 ■ USER DEFINED키에 도움말 기능을 할당 순서 1. USB 메모리로부터 도움말 파일을 로드한다. 2. FUNCTION ACCESS AREA의 SETUP 버튼을 누른다. 3. SETUP 화면 좌측 상단의 USER SETUP 버튼을 누른다. 4. USER SETUP 화면의 USER DEFINED KEYS 탭을 누른다. 5. USER DEFINED KEYS 페이지에서 도움말 기능을 할당하고 싶은 USER DEFINED키에 대응하는 버 튼을 누른다. 6.
그 밖의 기능 터치스크린의 검지(DETECTION) 위치를 조정(보정 기능) LCD 표시와 터치스크린의 위치를 보정합니다. 여기에서는 QL 시리즈의 그 밖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본체를 출고 시 설정으로 초기화 1. 2. 3. 4. 5. 6. 본체의 내장 메모리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 또는 패스워드를 잊어버려서 작업할 수 없게 되었을 때는, 다음의 설정으로 내장 메모리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내장 메모리의 초기화에는 다음 2종류가 있습니다. INITIALIZE ALL MEMORIES 씬 메모리나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모든 메모리를 출고 시의 설정으로 되돌립니다. 패널의 마스터 섹션 페이더 B의 [SEL]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넣는다. 시작 메뉴 화면의 TOUCH SCREEN CALIBRATION 버튼을 누른다. TOUCH SCREEN CALIBRATION MODE 화면의 START 버튼을 누른다. 확인 다이얼로그의 OK 버튼을 눌러 보정을 시작한다.
NOTE ・ 기동 시의 체크에서 문제가 검출된 페이더는, 순서3에 자동으로 선택되어 집니다. ・ RESTART 버튼이 표시된 경우에는 보정에 실패한 상태입니다. RESTART 버튼을 눌러 다시 보 정을 실행해 주세요. 초기화가 완료된 후, EXIT 버튼을 누르지 않고 계속해서 다른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페이더의 조정(보정 기능)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모터 페이더의 작동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작동의 차이는 보정 기능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NOTE 이 설정으로, 지정한 채널 스트립 섹션, 마스터 섹션의 페이더에 대해 반자동으로 보정을 합니 다. 본체를 부팅할 때에 페이더 설정에 문제가 검출된 경우에도 이 화면이 표시됩니다. 순서 1. 패널의 마스터 섹션의 페이더 B의 [SEL]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넣는다. 2. 시작 메뉴 화면의 FADER CALIBRATION 버튼을 누른다. 3. [SEL]키를 눌러 보정할 페이더를 선택한다. 4.
INPUT PORT TRIM(아날로그 입력 게인의 미세 조정) INPUT PORT TRIM 화면을 표시하고, 지정한 아날로그 입력 포트의 게인을 0.1dB 단위로 미세 조정합 니다. ・SLOT OUTPUT TRIM(출력 포트의 미세 조정) SLOT OUTPUT TRIM 화면을 표시하고, 지정한 SLOT의 출력 포트의 게인을 0.01dB 단위로 미세 조 정합니다. ・OUTPUT PORT TRIM(출력 포트의 미세 조정) OUTPUT PORT TRIM 화면을 표시하고, 지정한 출력 포트의 게인을 0.01dB 단위로 미세 조정합니 다.
LED컬러의 조정(보정 기능) 채널 이름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정 필요에 따라 LED 컬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LED컬러의 조정은 하나씩 합니다. 필요에 따라 채널 이름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패널의 마스터 섹션의 페이더 B의 [SEL]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넣는다. 2. 시작 메뉴 화면의 LED COLOR CALIBRATION 버튼을 누른다. 3. 채널 색상을 조정하고 싶은 인디케이터를 패널의 [SEL]키로 선택한다. [TOUCH AND TURN] 노브의 인디케이터 컬러를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LED 필드에 있는 TOUCH AND TURN 버튼을 누른다. 4. COLOR 필드의 컬러 버튼을 눌러 조정하고 싶은 색을 선택한다. 5. [SEL]키가 점등하고 있지 않은 다른 인디케이터와 비교하면서 [TOUCH AND TURN] 노브를 사용 하여 RGB ADJUSTMENT 필드에 있는 RGB 노브를 돌려 색을 조정한다. 6.
채널 네임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농도를 조정 필요에 따라 채널 이름임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농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순서 1. 패널의 마스터 섹션의 페이더 B의 [SEL]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넣는다. 2. 시작 메뉴 화면의 LED COLOR CALIBRATION 버튼을 누른다. 3. SELECTED CHANNEL SECTION의 [GAIN] 노브를 돌리다. 좌측으로 돌리면 모든 채널의 콘트라스트가 옅어지고 우측으로 돌리면 모든 채널의 콘트라스트가 진해집니다. 4. 다른 것과 콘트라스트가 다른 채널을 조정하는 경우, 해당 채널의 [SEL]키를 누르면서 [CUE]키 또 는 [ON]키를 누른다. [CUE]키를 누르면 콘트라스트가 진해지고 [ON]키를 누르면 콘트라스트가 옅어집니다. 5. 조정이 끝나면 화면 우측의 APPLY 버튼을 눌러 변경을 확정한다. 6. 부팅 메뉴 화면의 EXIT 버튼을 누르고 평소의 모드로 기동한다. NOTE ・ APPLY 버튼은 값을 변경했을 때만 표시됩니다.
경고/에러 메세지 메시지 개요 xxx Parameters Copied.xxx xxx의 파라미터가 카피 버퍼에 카피된. xxx Parameters Initialized. xxx의 파라미터가 초기화됨. xxx Parameters Pasted. xxx의 파라미터가 카피 버퍼에서 페이스트 됨. xxx Parameters Swapped with Copy Buffer. xxx의 파라미터와 카피 버퍼의 내용을 바꿈. ALTERNATE FUNCTION: Turned off! ALTERNATE FUNCTION이 해제됨. Cannot Assign! QL1의 USER DEFINED KEYS 팝업등에서 그기종에는 설정할 수 없는 항목을 설정하려했다. Cannot Bookmark This Popup.。 이 팝업은 책갈피 등록할 수 없음 Cannot Mount This Type of Device in This Position. 특정의 디바이스를 마운트할 수 없는 위치에 마운트하려 함.
메시지 개요 메시지 개요 MIDI: Tx Buffer Full! MIDI 출력포트의 송신 데이터양이 너무 많다. Saving Aborted. USB 메모리로의 저장이 중단됐다. Monitor Assignment is Restricted to Max. 8 Sources! 모니터의 DEFINE 기능은 최대8개의 소스까지 밖에 선택할 수 없는데 그 이상의 소스를 할당하려 했다. Saving Finished. USB USB 메모리로의 저장을 완료했다. SCENE #xxx is Empty! 리콜하려던 씬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았거나 또는 데이터가 파손되어 리콜할 수 없다. No Access From Recorder! RECORDER 화면에서 YPE/SONGS/ 보다위의 계층으로 이동할 수 없다. SCENE #xxx is Protected! 프로텍트가 걸린 씬에 대해, 덮어쓰기 저장을 하려고 했다. No Channel Selected.
메시지 개요 Unit ID Duplicated! Dante 오디오네트워크에서 UINT ID가 중복되어 있다. Unsupported File Format! USB 메모리로부터, 대응하고 있지 않은 포맷의 파일을 읽으려고 했다. USB Currently Active Recorder function! for USB Memory Recorder가 녹음 재생 중이어서 Save/Load 등의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다. USB Currently Active SAVE or LOAD! for USB 메모리에 믹서의 씬메모리/라이브러리 등의 데이터를 세이브/로드하고 있으므로 레코더의 조절이 어렵다. USB Memory Recorder Stopped! Busy: USB 메모리의 처리에 시간이 걸려 녹음/재생을 정지했다. USB Memory Full ! USB 메모리의 빈 용량이 부족해 RECORDER의 플레이 리스트를 저장할 수 없다.
색인 - 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