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Manual

reface 참고 설명서
3
연산자 세부 설정 변경
다음과 같이 연산자 1 ~ 4 설정합니다.
1.[EDIT] 버튼을 눌러 편집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2.[OP1] ~ [OP4] 버튼 하나를 눌러 설정할 연산자를 선택합니다.
해당 연산자의 설정 화면이 표시됩니다.
3. 필요에 따라 버튼 눌러 설정 화면에서 필요한 페이지를 선택합니다. 설정 화면에 여러 페이지가 있는 경우
“”(, 1 / 3페이지)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4. 슬라이더와 스위치를 사용하여 연산자 설정을 조절합니다.
5. 이때 필요에 따라 다른 설정도 조절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산자 1 설정 화면의 3페이지가 표시되어 있을 [OP2] 버튼을 누르면 연산자 2 설정 화면의 3페이지가
표시됩니다.
마찬가지로 연산자 2 설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EG level] 또는 [EG rate] 버튼을 누르면 연산자 2 EG 조절할
있습니다.
6. 설정을 마친 후에는 [EDIT] 버튼을 다시 눌러 편집 모드를 종료합니다.
연산자 설정 화면(1페이지)
1
OP (연산자) ON 또는 Off 연산자를 켜고 끕니다.
2 MODE
주파수 설정 방법을 선택합니다.
Ratio
표준 피치와의 비율로 주파수가 설정됩니다.
주파수는 [FREQ] 버튼을 눌러도 비율로 표시됩니.
Fixed
어떤 건반을 눌러도 상관없이 주파수가 고정됩니다.
주파수는 [FREQ] 버튼을 누르면 헤르츠(Hz) 표시됩니다.
3
FREQ(주파수)
주파수를 숫자로 지정합니다.
모드가 “Ratio” 설정되
었을 :
0.500~31.99
표준 1. 0 0 기준으로 값을 지정합니다.
값이 배가 되면 옥타브 증가하고,
값이 절반이 되면 옥타브 떨어집니다.
값은 [FREQ] 버튼을 눌러도 표시됩니다.
모드가 “Fixed” 설정되
었을 :
1.000 ~ 9,772 Hz
주파수를 헤르츠(Hz) 지정합니다.
값은 [FREQ] 버튼을 눌러도 표시됩니다.
4
DTUNE (디튠)
-64~0~+63
“FREQ” 설정된 주파수를 디튜닝합니다. 주파수를 살짝 디튜닝
하면 코러스와 같은 이펙트를 냅니다.
1234